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양산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산군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양산군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양산시
양산타워에서 바라본 모습
양산타워에서 바라본 모습
시기슬로건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경상남도
행정 구역1읍 4면 8행정동 21법정동
청사 소재지양산시중앙로 39 (남부동 505)
양산시 북안남2길 36 (북부동 481,제2청사)
양산시 진등길 40 주진동 72-2,웅상출장소)
단체장나동연(국민의힘)
국회의원:윤영석(국민의힘)
:김태호(국민의힘)
지리
면적485.60 km2
인문
인구354,874명(2023년)
인구 밀도728.12명/km2
상징
시목이팝나무
시화목련
지역 부호
지역번호055[1]
웹사이트www.yangsan.go.kr
양산시청
양산 구시가지 전경

양산시(梁山市)는대한민국경상남도 동부에 있는이다. 동쪽은 수영강을 경계로부산광역시,기장군과 북쪽은천성산영축산의 산악 지형으로통도사가 있고, 서쪽은낙동강을 경계로김해시와 접하며, 남쪽은금정산을 경계로부산광역시금정구 그리고북구와 접하고, 북쪽은울산광역시밀양시에 접하고 있다.부산,울산과의 기능분담으로 인해 연담도시권을 형성하고 있으나 현재 조성 중인물금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교통, 교육, 문화 등 도시기반시설 및 편의 시설을 확충하면서 독립된 도시 형태를 갖추어 가고 있다.[2]경상남도에서창원,김해에 이어 3번째로 인구가 많다. 시청 소재지는남부동이고, 행정구역은 1읍 4면 8동이다.

지리

[편집]

양산시는 전체적으로이 대부분이다. 시가지를 중심으로남쪽으로는금정산이 있으며동쪽으로는천성산자락이 있으며,북서쪽으로는신불산,영축산이 위치해 있다. 특히양산은 대체적으로남쪽북쪽으로 도로가 발달되어 있고,서쪽동쪽으로의 도로가 취약하다. 그로 인해천성산을 기준으로 서쪽의 양산, 물금은부산광역시와 생활권이 이어져 있다. 동쪽의 웅상지역은울산광역시,부산광역시와 생활권이 이어져 있다.

웅상의 경우,천성산으로 가로막혀 부산광역시기장군정관읍 월평리를 경유하지 않으면 양산 도심은 물론 양산시 다른 지역으로 갈 수 없는실질월경지이다.

기후

[편집]

남부 지방에 위치하여 대체로 온난하나 산악지대이기 때문에 기온의 교차는 비교적 크고 해안지역은 온난하다. 연평균 기온 15.1°C 정도다. 강우량은 소백산맥 동쪽 기슭에 해당하는 북동기류의 영향을 많이 받아 비교적 많은 편이며 적설량이 적은 편이다. 첫 서리는 10월말에서 11월초 사이에 내리고 눈은 12월 하순경에 내리나 다른 지방에 비해서 눈 오는 날이 극히 적으며 연간 5일에 불과하다.

지질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양산시의 지질입니다.

양산시의 지질은 대부분불국사 화강암으로 구성되며화산암경상 누층군 유천층군주산안산암질암과 운문사유문암질암류가 분포한다.

역사

[편집]
Daedongyeojido (Gyujanggak) 18-02.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18-01.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19-02.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19-01.jpg
통폐합 전통폐합 후 (합천군)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양산군 읍내면(邑內面)이동, 다방동, 명곡동, 장동/서부동 일부/북안동 일부, 북정동, 산막동, 북안동 일부, 일동/삼동/서부동 일부, 호계동읍내면남부리, 다방리, 명곡리, 북부리, 북정리, 산막리, 신기리, 중부리, 호계리
양산군 동면(東面)가산동/(부산부 좌이면) 공창동 일부, 개곡동, 금산동, 내송동, 본법동/창기동 일부, 사배동/외송동/(부산부 북면) 녹동 일부, 죽산동/계석동, 여락동/(부산부 북면) 송정동 일부동면가산리, 개곡리, 금산리, 내송리, 법기리, 사송리, 석산리, 여락리
양산군 상북면(上北面)대석동, 반회동/소석동 일부/(중북면) 삼계동, 소석동 일부/(중북면) 계리동, 소토동상북면대석리, 석계리, 소석리, 소토리
양산군 중북면(中北面)내석동, 상삼동/좌삼동 일부/신전동 일부, 신전동 일부, 외석동, 좌삼동 일부내석리, 상삼리, 신전리, 외석리, 좌삼리
양산군 하북면(下北面)답곡동/성천동/(언양군 삼동면) 조일리 일부, 백학동/녹동, 삼감동, 삼수동, 순지동/신평동, 용연동, 지산동/서리동, 초산동하북면답곡리, 백록리, 삼감리, 삼수리, 순지리, 용연리, 지산리, 초산리
양산군 상서면(上西面)명전동/내포동 일부, 대리동, 범서동 일부/용포동 일부, 장선동/중선동 일부, 어영동/어포동, 검세리 일부, 원동/함포동/용포동 일부, 지라동/명언동/내화동/외화동/범서동 일부상서면내포리, 대리, 서룡리, 선리, 영포리, 용당리, 원리, 화제리
양산군 하서면(下西面)가촌동, 교동/양동, 범어동, 어곡동/화룡동, 유산동, 사지동/증산동, 학산동/화산동하서면가촌동, 교동, 범어동, 어곡동, 유산동, 증산동, 화학동(華鶴洞)

행정 구역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양산시의 행정 구역입니다.

양산시는 1, 4, 8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484.55 km2이고, 인구는2020년1월 주민등록 기준으로 351,168 명, 145,712 가구이다.[16]

읍면동한자면적인구세대행정 지도
물금읍勿禁邑19.61118,70445,525
동면東面56.3335,36414,152
원동면院東面148.023,4312,019
상북면上北面68.7213,2686,330
하북면下北面68.608,5924,279
중앙동中央洞13.7811,2116,287
양주동梁州洞1.8734,25412,733
삼성동三城洞15.9822,46910,294
강서동江西洞29.789,2493,845
서창동西倉洞22.0029,1079,133
소주동召周洞18.4120,2079,133
평산동平山洞10.7431,16912,725
덕계동德溪洞13.3714,1465,829
양산시梁山市487.21351,168145,712

*인구·세대는 2020년 1월 기준

부산권·울산권

[편집]

2014년국토교통부에서 확정한 20개중추도시생활권에서부산광역시,김해시,울주군과 함께부산권으로울산광역시,경주시,밀양시와 함께울산권으로 중복 포함되었다. 이는 경상남도측은 양산시의 자율적인 의사를 최대한 존중하면서 부울경 지역 특수성에 입각해 생활권을 구성했다고 설명했다.[17]

양산신도시

[편집]
양산신도시 1단계 구역

양산신도시는 남부권 최대의신도시로 정식명칭은양산물금 택지개발지구이다.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추진하는 도시 광역화에 따른 생활 행정 실현 및 국토 건설 종합 계획의 구현과 지역 균형 개발의 촉진을 위해 부산권 개발 계획에 포함되는 양산물금 택지개발사업에 의해 조성되는 신시가지로,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조성 사업과부산도시철도 1,2호선 연장을 함께 추진했다.

1994년 택지개발 예정지구로 지정된 이후1994년 12월부터2015년 말까지 진행되는 사업이다. 면적은 10,683,000m2이며 수용인구는 152,126명이다. 당초2000년 12월 말 공사를 끝낼 계획이었지만,2003년 12월 말로 한 차례 연기됐고, 또다시2004년 12월,2010년 6월 말,2014년 6월 말,2015년 말로 5차례나 연기되면서 사업 지연에 따른 기반시설 노후화 등으로 시민들의 불편이 잇따르고 있다.[18] 2014년 12월 기준으로, 인근 지역의 전입 수요와 기반시설 완공, 아파트 건설 붐으로 인해 현재 택지 분양률이 99%에 이르는 등 건설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다.[19][20]

인구

[편집]
  • 양산시의 연도별 인구 추이[21]
연도총인구 
1967년58,105명
1970년58,564명
1975년127,432명
1980년143,036명
1985년142,475명
1990년159,848명
1995년161,953명
2000년194,442명
2005년224,943명
2010년260,239명
2015년301,291명
2018년347,227명
2019년350,759명

정치

[편집]

시장

[편집]
 양산시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양산시장 선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현재 시장은 9대 나동연(국민의힘)이다. 나동연 현 양산시장과 전직 김일권 시장을 제외한 이전의 민선 양산시장들은 모두 비리사건과 연루되어 불명예퇴진 혹은 중도하차한 바 있다.[22]

국회의원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양산시의 국회의원입니다.
 양산시 갑양산시 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현재양산시보관됨 2022-03-07 -웨이백 머신를 일원으로 하는 지역구의 국회의원은 갑 선거구윤영석(새누리당→자유한국당,20대 국회의원,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선거구서형수(더불어민주당,20대 국회의원,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이다.

1948년제헌 국회 총선에서 양산군을 일원으로 하는 단일 지역구로 시작하였다.1963년6대 총선에서동래군과 함께 지역구로 묶였으나,1973년부터는김해군과 함께 묶였다.1988년13대 총선에서 소선거구제로 재개편되면서 현재까지 단일 지역구를 유지해오고 있다.2014년10월 30일,대한민국 헌법재판소가 국회의원 선거구의 인구편차가 2:1을 초과하면 위헌이라고 판결하면서, 2016년에 열린20대 총선에서 양산시의 인구가 인구 상한선을 초과함에 따라 선거구가 갑,을 2개로 분할되었다.[23]

시의회

[편집]
 양산시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양산시의회의 의원 정수는 총 19명으로 지역구 17명, 비례대표 2명이다.

제8대 양산시의회 정당별 의석수
합계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
합계19118
지역구17107
비례대표211

관광

[편집]
통도사
영축산 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로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은 국보 제290호로 지정되어 있다. 신라선덕여왕 재위 중인646년자장율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다.해인사,송광사와 함께 삼보사찰로 꼽히는 큰 절이다. 통도사는 자장이당나라에서 가져온석가모니사리와 가사를 봉안하여 불보 사찰이라 불린다, 2018년 6월 30일 기준유네스코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보물 제1120호. 양산시원동면 영포리 268. 축조연대가 정확하지는 않으나 신라시대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며 건축구조로 보아 고려말의 건축물로 추정되는데 특히 내부의 벽화가 우수하다.건물의 좌우 측면벽의 내외부와 전후 포벽의 내외부에는 불상, 신장상, 꽃 등의 벽화가 그려져 있는데, 대부분 17세기 중엽에 그려진 것이며, 일부는 18세기에 다시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팔작지붕의 익공식 집으로 정면, 측면 2칸의 나무로 된 기와집이다.

산업

[편집]

기후가 온화하고 대소비지 부산에 근접하여 원예 농업이 발달하여 포도·수박·참외 및 채소와 과수의 재배가 성하다. 특히 경부고속도로의 개통으로 경제작물 재배, 낙농단지, 포도단지 조성 등 다각적 영농으로 전환하고 있다. 지하 자원으로는 고령토·납석·철광 등이 있다.

특산물로는 선옥죽차·박공예·도자기·양산박·방울토마토·오경계란·원동딸기·원동매실·상북당근·물금감자·버섯(느타리, 팽이)·화제청결미 등이 유명하다.

또한 유산동, 어곡동, 산막동 일대에 산업단지가 조성되어있어 현재 많은 공장들이 입주해 운영중이며 이에 따라 공업도 양산시의 주요 산업이 되었다.

교육

[편집]
 경상남도양산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특수학교
  

대형마트

[편집]

영화관

[편집]

FM 라디오 주파수 방송 목록

[편집]

교통

[편집]
철도
노선
고속도로
노선
나들목·분기점
일반도로
국도
국지도
지방도
주요 간선도로
간선도로
보조도로
교량
터널
버스
시내
고속·시외
기타
시내
  1. 2000년7월 1일 이전에는0523라고 쓰였다. (당시울산 아님)
  2. “양산시청 홈페이지의 양산시 일반현황”. 2014년 3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6일에 확인함. 
  3. 행정 구역을 정비하면서 광역행정구역인9주 중 하나가 되어 1개 소경, 12개 군 34개 현을 관할하였다.
  4. 조선총독부령 제35호 "경상남도 내 군의 관할구역 중 변경" (1912년 3월 22일)
  5. 경상남도령 제2호 (1936년3월 3일)
  6. 법률 제2597호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1973년3월 12일)
  7.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4월 7일)
  8.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년10월 21일)
  9. 대통령령 제11027호
  10.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년9월 26일)
  11. 양산군 조례 제980호
  12. 양산군 조례 제1288호
  13. 법률 제4802호
  14.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년12월 6일)
  15. 양산시 나이를 아시나요?《오마이뉴스》2006년 3월 3일 전영준 기자
  16.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2019년 1월 5일 확인
  17. 김갑성,양산, 경남아닌 울산·부산과 한묶음보관됨 2016-03-05 -웨이백 머신, 경상일보, 2014년 2월 5일
  18. 양산신도시 조기 완공 촉구, 《부산일보》2010년2월 22일
  19. 김태권,양산신도시 20년 만에 마무리 단계, 부산일보, 2014년 9월 26일
  20. 이민용,양산 유입 인구 꾸준히 늘어 '아파트 건설 붐', 국제신문, 2014년 12월 1일
  21. 양산시통계홈페이지
  22. 안진우,역대 민선 양산시장 수난…3명 재임 중 비리사건 연루, MBN, 2009년 11월 27일
  23. 김영만,경남 국회의원 선거구 어떻게 조정될까, 연합뉴스, 2014년 10월 31일

도로

[편집]
고속도로

시의 남북으로경부고속도로가 관통하고 있으며,남쪽으로중앙고속도로지선이 위치해 있다.

1
고속국도 제1호선
(부산) ↔노포 나들목양산 분기점양산 나들목통도사 하이패스 나들목통도사 나들목 ↔ (서울)
14
고속국도 제14호선
(밀양) ↔밀양 분기점배내골 나들목서울주 분기점 ↔ (울산)
551
고속국도 제551호선
김해 분기점대동 분기점물금 나들목남양산 나들목양산 분기점
국도
지방도

철도

[편집]
부산 도시철도 2호선양산역

버스

[편집]
양산시내버스 2300번

시내버스·마을버스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양산시의 시내버스입니다.
 이 부분의 본문은양산시의 마을버스입니다.

시외버스

[편집]
  • 양산시외버스터미널 : 양산시 중부동에 위치해있다. 2007년 6월 15일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 통도사시외버스터미널 : 양산시 하북면 순지리에 위치하며신평시외버스터미널,통도사시외버스정류소 라고도 불린다.
  • 용당정류소·서창정류소·덕계정류소 : 각각 용당동, 삼호동, 덕계동에 위치하며, 울산~부산, 방어진~부산 등의 노선이 중간정차한다.

자매 도시

[편집]

출신 인물

[편집]
 분류:양산시 출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지자체별 현황”.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양산시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다음커뮤니케이션(현카카오)에서GFDL 또는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경상남도 밀양시울산광역시 울주군
경상남도 김해시부산광역시 기장군
  경상남도 양산시    
부산광역시 북구부산광역시 금정구
  • 시청소재지: 중앙동
도청소재지: 창원시
전거 통제: 지리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양산시&oldid=40889672"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