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순천향대학) | |
|---|---|
역사 | |
역명판 | |
![]() | |
| 개괄 |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천안아산관리역 |
| 소재지 | 충청남도아산시신창면 행목로 50 (행목리 346-49) |
| 좌표 | 북위 36° 46′ 10.66″동경 126° 57′ 2.92″ / 북위 36.7696278° 동경 126.9508111° /36.7696278; 126.9508111 |
| 개업일 | 1922년6월 15일 |
| 역번 | P177 |
| 종별 | 보통역 |
| 등급 | 3급 |
| 승강장 수 | 2면 4선(쌍섬식) |
| 비고 | 수도권 전철 1호선 종착역,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 거리표 | |
| 장항선 | |
| 천안 기점 19.4 km |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 천안 기점 19.4 km[1] | |
| ITX-마음 | |
| 천안 기점 19.4km | |
신창(순천향대학)역(Shinchang Station, 新昌驛)은충청남도아산시신창면 행목리에 있는장항선의 철도역이며수도권 전철 1호선의전철역으로,수도권 전철 1호선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수도권 전철 1호선은 이 역부터남영역까지 지상 구간이고한국철도공사 구간이다.수도권 전철 1호선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수도권 전철 1호선은 이 역부터아산역까지아산시 구간이다.
본래 이 역은 과거충청남도신창군의 본거지인 구 신창군 소동면 오목리에 있었다. 이후학성면 오목리를 거쳐 현재의 아산시 신창면 '오목리'에서 유래한오목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했고, 1926년 역명을충남신창역으로 개칭했으며 1955년에 현재의신창역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이 역은장항선 일반열차가 정차하는 역이었지만 2004년 7월 16일 여객 서비스 종료로 모든 여객열차가 무정차 통과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2007년에는 천안 ~ 신례원 구간이 복선 전철화로 개량되면서 기존 신창역에서 약 4.2km 정도 떨어진 행목리로 이전하였고,2008년12월 15일수도권 전철 연장 개통과 함께 새로 이전한 역에서 여객 취급을 재개했다. 지금의 신창역은순천향대라는 병기역명을 표기하고 있으며[2], 부기역명은 개통 당시에한국폴리텍Ⅳ대학이 사용된 적이 있으며 인근에순천향대학교,한국폴리텍Ⅳ대학 아산캠퍼스가 위치하고 있다. 현재는 부기역명은 없어진 채 병기역명만 있다.
2009년 6월 1일부터서울 - 신창간누리로가 운행되기 시작하면서 이 역에서 시·종착하고 있다. 누리로 열차는2016년12월 9일부터 잠시 운행 중단되었다가 2017년 2월 28일에 운행이 재개되었다.[3] 그러나 누리로 열차는 열차 시간표 개정에 따라2019년12월 30일부터2020년1월 12일까지 임시로 다시 운행 중지되고 급행열차가 증편 운행된다.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순천향대가 열차 내 강의프로그램을 중단하면서 임시 운행중단 상태이다.[4]2008년부터2025년까지 2세대 운행 했었지만 3세대와 중복으로 운행 횟수가 많지 않고 2세대가 더 이상 신창행을 운행하기 싫기 때문에 2세대는 신창급행만 운행 중이다. 하지만 2세대 신창행 일반열차는 더 이상 운행 하지 않는다.[5]2024년에도시바VVVF-GTO는 마지막 운행 기념으로 이루어졌다.[6]
2면 4선의쌍섬식 승강장이며수도권 전철 1호선은 주로 2번 승강장을 이용한다. 출구는 1개였으나2013년8월 30일부로 2번 출구를 신설하였다. 현재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온양온천 |
| |12 | |34 | |
| 시·종착역(1호선)/신례원(장항선) ↓ |
| 1 | 장항선 | ITX-마음 | 천안 · 수원 · 용산 방면 | |
|---|---|---|---|---|
| 2 | ●수도권 전철 1호선 | 구로 · 서울역 · 청량리 · 광운대 방면 | ||
| 3 | 당역 종착 | |||
| 4 | ITX-마음 | 예산 · 홍성 방면 |
2, 3번 승강장에서만 전철 취급을 하고 있다. 그나마도 대부분 2번 승강장에서만 전철 취급하고 3번 승강장은 출퇴근 시간 외에는 잘 취급을 안 한다. 스크린도어 또한 1~4번 승강장 중 2번 승강장 한 군데에만 설치되어 있다.
| 노선 | 승차 인원 | 주 석 | |||||||||
|---|---|---|---|---|---|---|---|---|---|---|---|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 장항선 | 1,078 | 1,948 | 2,059 | 2,327 | 9,4150 | 2,290 | 2,493 | 2,295 | 2,207 | 2,185 | [15]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 2,157 | 2,118 | 1,082 | 1,361 | 1,928 | |||||||
| 장항선 | ||
|---|---|---|
| 온양온천 용산 방면 | ITX-마음 장항선 | 신례원 홍성 방면 |
| P176온양온천 광운대 방면 청량리 (지하) 방면 서울역 (지상)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완행 경부선급행 A 경부선급행 B (일부 열차 이 역 시발) | 시·종착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