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신창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평라선의 역에 대해서는신창역 (은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역사
역사
역명판
역명판
Map
개괄
관할 기관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천안아산관리역
소재지충청남도아산시신창면 행목로 50 (행목리 346-49)
좌표북위 36° 46′ 10.66″동경 126° 57′ 2.92″ / 북위 36.7696278° 동경 126.9508111° /36.7696278; 126.9508111
개업일1922년6월 15일
역번P177
종별보통역
등급3급
승강장 수2면 4선(쌍섬식)
비고수도권 전철 1호선 종착역,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거리표
장항선
천안 기점 19.4 km
온양온천
(5.1 km)
도고온천
(5.8 km)
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 기점 19.4 km[1]
← P176온양온천
(5.1 km)
ITX-마음
천안 기점 19.4km
온양온천
(5.1 km)
신례원
(10.3 km)

신창(순천향대학)(Shinchang Station, 新昌驛)은충청남도아산시신창면 행목리에 있는장항선의 철도역이며수도권 전철 1호선전철역으로,수도권 전철 1호선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수도권 전철 1호선은 이 역부터남영역까지 지상 구간이고한국철도공사 구간이다.수도권 전철 1호선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수도권 전철 1호선은 이 역부터아산역까지아산시 구간이다.

개요

[편집]

본래 이 역은 과거충청남도신창군의 본거지인 구 신창군 소동면 오목리에 있었다. 이후학성면 오목리를 거쳐 현재의 아산시 신창면 '오목리'에서 유래한오목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했고, 1926년 역명을충남신창역으로 개칭했으며 1955년에 현재의신창역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이 역은장항선 일반열차가 정차하는 역이었지만 2004년 7월 16일 여객 서비스 종료로 모든 여객열차가 무정차 통과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2007년에는 천안 ~ 신례원 구간이 복선 전철화로 개량되면서 기존 신창역에서 약 4.2km 정도 떨어진 행목리로 이전하였고,2008년12월 15일수도권 전철 연장 개통과 함께 새로 이전한 역에서 여객 취급을 재개했다. 지금의 신창역은순천향대라는 병기역명을 표기하고 있으며[2], 부기역명은 개통 당시에한국폴리텍Ⅳ대학이 사용된 적이 있으며 인근에순천향대학교,한국폴리텍Ⅳ대학 아산캠퍼스가 위치하고 있다. 현재는 부기역명은 없어진 채 병기역명만 있다.

2009년 6월 1일부터서울 - 신창간누리로가 운행되기 시작하면서 이 역에서 시·종착하고 있다. 누리로 열차는2016년12월 9일부터 잠시 운행 중단되었다가 2017년 2월 28일에 운행이 재개되었다.[3] 그러나 누리로 열차는 열차 시간표 개정에 따라2019년12월 30일부터2020년1월 12일까지 임시로 다시 운행 중지되고 급행열차가 증편 운행된다.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순천향대가 열차 내 강의프로그램을 중단하면서 임시 운행중단 상태이다.[4]2008년부터2025년까지 2세대 운행 했었지만 3세대와 중복으로 운행 횟수가 많지 않고 2세대가 더 이상 신창행을 운행하기 싫기 때문에 2세대는 신창급행만 운행 중이다. 하지만 2세대 신창행 일반열차는 더 이상 운행 하지 않는다.[5]2024년도시바VVVF-GTO는 마지막 운행 기념으로 이루어졌다.[6]

역사

[편집]

역 구조

[편집]

2면 4선의쌍섬식 승강장이며수도권 전철 1호선은 주로 2번 승강장을 이용한다. 출구는 1개였으나2013년8월 30일부로 2번 출구를 신설하였다. 현재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편집]
온양온천
| | | |
시·종착역(1호선)/신례원(장항선) ↓
1장항선ITX-마음천안 · 수원 · 용산 방면
2수도권 전철 1호선구로 · 서울역 · 청량리 · 광운대 방면
3당역 종착
4ITX-마음예산 · 홍성 방면

2, 3번 승강장에서만 전철 취급을 하고 있다. 그나마도 대부분 2번 승강장에서만 전철 취급하고 3번 승강장은 출퇴근 시간 외에는 잘 취급을 안 한다. 스크린도어 또한 1~4번 승강장 중 2번 승강장 한 군데에만 설치되어 있다.

역 주변

[편집]

사진

[편집]
  • 1, 2번 승강장 (2번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1, 2번 승강장 (2번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 역 주변의 버스 정류장
    역 주변의 버스 정류장
  • 2번 출구 신설 안내문
    2번 출구 신설 안내문
  • 2번 출구
    2번 출구
  • 구 역사 앞모습
    구 역사 앞모습
  • 구 역사 뒷모습
    구 역사 뒷모습

승차량 변동

[편집]
노선승차 인원
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장항선1,0781,9482,0592,3279,41502,2902,4932,2952,2072,185[15]
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
2,1572,1181,0821,3611,928

인접한 역

[편집]
장항선
온양온천
용산 방면
ITX-마음
장항선
신례원
홍성 방면
P176온양온천
광운대 방면
청량리 (지하) 방면
서울역 (지상)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완행
경부선급행 A
경부선급행 B (일부 열차 이 역 시발)
시·종착역

각주

[편집]
  1. 연천 기점 184.0km
  2.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706호
  3. 서울~신창(아산)간 누리로열차 내년 2월 운행 재개, 중앙일보, 2016년 12월 12일 작성.
  4. 원, 예린 (2020년 6월 19일).“12년 만의 누리로 폐지, 대책은?”. 《순천향대신문》. 2020년 12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4일에 확인함. 
  5. 사람들은 신창행 2세대 일반열차는 더 이상 탈 수 없게 되었다.
  6. 2세대는도시바VVVF-GTO는 폐지되고도시바VVVF-IGBT만 남았다.
  7.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1922년 6월 21일
  8. 대한민국관보 교통부고시 제417호, 1955년 6월 29일
  9.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호, 1983년 1월 31일
  10.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997-53호, 1997년 10월 11일
  11.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2004-30호, 2004년 7월 16일
  12.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2004년 11월 29일.
  13.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706호, 2008년 12월 8일
  14.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788호, 2008년 12월 24일
  15.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2년 1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폐역.
경부선 계통
서울~부산
서울~신해운대
경전선 계통
서울~진주
동해선 계통
부전~강릉
동대구~부전
동대구~강릉
호남선 계통
용산~목포
용산~익산
용산~광주
전라선 계통
용산~여수엑스포
중앙선 계통
청량리~부전
태백선 계통
청량리~동해
서해선 계통
서화성~홍성
평택선 (순환) 계통
홍성~홍성
장항선 계통
용산~홍성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장항선
경인선
병점기지선
경부고속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창역&oldid=40865003"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