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신당동 (서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당동
新堂洞
신당동주민센터
신당동주민센터

로마자 표기Sindang-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서울특별시 중구
행정 구역17, 90
법정동신당동 일부, 흥인동, 무학동
관청 소재지서울특별시중구다산로33길 3
지리
면적0.55 km2
인문
인구7,394명(2025년 8월)
세대4,712세대
인구 밀도13,000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중구 신당동 주민센터
신당제5동
新堂第5洞
신당제5동주민센터
신당제5동주민센터
로마자 표기Sindang 5(o)-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서울특별시 중구
행정 구역20, 126
법정동신당동 일부
관청 소재지서울특별시중구다산로44길 85
지리
면적0.39 km2
인문
인구10,261명(2022년 8월)
세대4,538세대
인구 밀도26,000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중구 신당제5동 주민센터

신당동(新堂洞)은서울특별시중구이다.

역사

[편집]

유래

[편집]

신당동이라는 동명은 옛날 마을에 신을 모시던 당집이 있어 붙었고,다산로 동서쪽에 위치한 흥인동의 동명은동대문의 이름인 '흥인지문'에서 유래되었다. 신당동 사거리 남서쪽의 무학동의 동명은 도로교통공단 남쪽에 위치한 무학봉(92m)의 산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하며, 이 산은 학이 내려와 춤을 추었다고 해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 내려온다.[1]

연혁

[편집]
  • 1955년4월 18일 : 행정동제를 실시하면서 동회의 명칭과 관할구역이 재조정되었다.[2]
  • 1966년7월 6일 : 흥인동과 무학동이 각각 분동되었다.[3]
  • 1970년5월 5일 : 흥인동 사무소와 무학동 사무소를 신당1동사무소로 변경하여 을지로7가 종점을 기점으로 신당동 264-1번지, 274-2번지, 295-27번지에 이르는 도로 서쪽과 398-38번지를 경유하여 중구 경계선의 동쪽 지역과 흥인동, 무학동 전역을 관할하였다.[4]
  • 1975년10월 1일 :성동구에서 중구로 편입되었다.[5]
  • 2013년7월 20일 : 신당1·2·3·4·6동이 각각 신당·다산·약수·청구·동화동으로 변경되었다. 신당제5동은 백학동과 유락동 두 동명 후보에 대한 주민 선호도가 비슷하여 변경이 보류되었다.[6]

법정동

[편집]

법정동 신당동은 여섯개 행정동이 각각 일부를 관할한다. 행정동으로서의 신당동은 법정동 신당동의 일부 및흥인동,무학동 일원을 관할 구역으로 한다.

법정동행정동
흥인동신당동
무학동
신당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신당제5동
동화동

명소

[편집]

신당동신당역청구역 사이에 위치한 신당동떡볶이 거리는 골목 양쪽으로 떡볶이 전문점이 길게 늘어서 있어 ‘떡볶이 골목’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교육 기관

[편집]

신당동

[편집]

신당제5동

[편집]

사진

[편집]
  • 신당동 떡볶이 타운 입구
    신당동 떡볶이 타운 입구
  • 동명 변경 전의 신당동주민센터(옛 신당1동주민센터)
    동명 변경 전의 신당동주민센터(옛 신당1동주민센터)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신당동의 동명 유래 및 연혁, 2017년 7월 9일 확인
  2. 서울특별시 조례 제66호
  3. 서울특별시 조례 제419호, 동 관할구역 조정
  4. 서울특별시조례 제613호, 동장정원및 명칭과 관할구역 변경조례
  5. 대통령령 제7816호
  6. 신당1·2·3·4·6동 → 신당·다산·약수·청구·동화동 세계일보, 2013년 7월 15일.

외부 링크

[편집]
  • 구청소재지: 광희동
지리
자연
경계
도심권
역사
조선한성부
도성
도성 안
궁궐
도시계획
옛 지명
대한제국황성
일제경성부
대한민국서울
정치
관청가
집회 명소
경제
기업 본사
주요 산업
상업 지역
문화
주요 박물관
미술
공연
영화
음식
종교
교통
주요 도로
대중교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당동_(서울)&oldid=40671684"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