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스위스 항공의보잉 747-300 | |||||||
| |||||||
창립일 | 1931년3월 26일 | ||||||
---|---|---|---|---|---|---|---|
운항중단일 | 2002년3월 31일 | ||||||
허브 공항 | |||||||
동맹체 | 퀼리 플라이어 | ||||||
VIP 라운지 |
| ||||||
보유 항공기 | 76 | ||||||
취항지 수 | 157[1] | ||||||
본사 | ![]() | ||||||
핵심 인물 | Mario Corti (CEO) | ||||||
모기업 |
| ||||||
자회사 |
| ||||||
웹사이트 | http://www.swissair.com/ |
스위스 항공(영어:Swissair,독일어:Schweizerische Luftverkehr-AG,틀:LLlang)은1931년에 설립되어2001년에 도산된스위스의 항공사로허브 공항은바젤 뮐루즈 프라이부르크 공항,취리히 공항,제네바 국제공항으로스위스의 최대의 항공사이자 최초로항공 동맹인 퀼리 플라이어를 결성한 항공사 중 하나이기도 했다. 또한스위스의 대표적 국적기 중 하나로 일컬어지기도 했으며 여러 개의 자회사를 거두었으며 자금 안정성으로 '하늘의 스위스 은행'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1990년대, 스위스 항공은 항공사 지분 인수를 통한 그룹 확장 전략인 'Hunter Strategy'와스위스 항공 111편 추락 사고에 따라2001년10월경 운항을 중단하게 되었다. 그러나 스위스 연방정부의 지원에 따라2002년3월 31일까지 운영을 할 수 있었으며 이후 자회사인크로스 에어가 운영권을 인수하여2002년4월 1일 최종적으로 파산하게 되었다.
1931년스위스의 항공 회사 벨에어(영어:Baliar)와 아드 아스타 에어로(영어:Ad Astra Aero)가 합병해 설립되었다.1934년, 스위스 항공은 유럽 항공사 최초로 여성 객실승무원을 채용하였으며1936년에는더글러스 DC-2와더글러스 DC-3을 도입, 유럽 노선을 확대하였으며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1945년7월 30일, 운항을 전면 재개하였다.
1945년국영 항공사가 되었고1948년, 스위스 연방정부와 지방정부 등 공공기관이 스위스 항공의 지분 30%를 인수하였으며허브 공항을뒤벤도르프 공항에서취리히 국제공항으로 이전하였다.
1950년대부터 스위스 항공은제트 여객기 도입을 시작하였으며 북미, 아시아 노선을 취항하였다.1970년에는 광동체 항공기인맥도넬 더글러스 DC-10과보잉 747을 도입하였으며 중국 노선을 취항하였다.1979년에는에어버스 A310과보잉 747-300을 최초로 도입하기도 하였으며 화물예약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1980년대 스위스 항공은루프트한자,에어 프랑스,영국항공와 합병하여 유럽시장 진출을 계획하였으나 추진이 취소되었다. 대신 스위스 항공은 유럽 내 항공사 지분 인수를 통하여 시장성을 확대하는 'Hunter Strategy'를 진행하였다. 스위스 항공은 이에사베나 벨기에 항공,LOT 폴란드 항공,LTU 등 유럽 항공사와 함께남아프리카 항공의 지분도 인수하였고 당시에어 링구스,말레브 헝가리 항공,핀에어,TAM 항공의 지분 안수도 추진하였다. 이후1990년대 후반에크로스 에어와바루 에어를 설립하고 호텔 사업을 시작하는 등 SAirGroup을 설립했다.사베나 항공과 함께항공 동맹인퀼리 플라이어를 창립하여 전성기를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1990년대 말부터 자회사인AOM 프랑스 항공과사베나 항공의 실적이 급속히 악화되면서 경영에 악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1998년스위스 항공 111편 추락 사고를 계기로 회사의 적자가 심화되어네슬레를 비롯해 여러 경영자를 초빙해 구조 조정을 시도했으나 성과를 내지 못하고2001년에9·11 테러로 수요가 침체되면서 자회사인사베나 항공이 실적 악화로 인해 도산되고 스위스 항공도사베나 항공과 공멸되는 형태로2002년에 파산했다.
자회사인크로스 에어는2002년에 스위스 항공을 인수, 합병하였으며스위스 연방정부의 지원으로2002년과2005년에스위스 국제항공과스위스 유럽항공이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또한중화민국에 다른 항공사와 마찬가지로스위스 아시아 항공(영어:Swissair asia)으로 설립했다. 일반적인 수직 꼬리는스위스 국기를 표현한 것으로스위스를 나타낸 한자가 별도로 그려져 있었다.
기종 | 대수 | 주문 | 승객 | 비고 | |||
---|---|---|---|---|---|---|---|
F | C | Y | 합계 | ||||
에어버스 A319-100 | 9 | 0 | 0 | 75 | 35 | 110 | |
에어버스 A320-200 | 20 | 0 | 0 | 72 | 62 | 134 | |
에어버스 A321-200 | 12 | 0 | 0 | 76 | 94 | 170 | |
에어버스 A330-200 | 16 | 0 | 12 | 42 | 142 | 196 | |
에어버스 A340-600 | 0 | 9 | 12 | 48 | 247 | 307 | 주문 후에 따른 파산으로 자동 주문취소 |
맥도넬더글러스 MD-11 | 19 | 0 | 12 | 49 | 180 | 241 | |
합계 | 76 | 9 |
기종 | 대수 | 도입 년도 | 퇴역 년도 | 비고 |
---|---|---|---|---|
노드 1000 | 1 | 1948년 | 1953년 | |
도르니에 머큐어 | 2 | 1931년 | 1931년 | |
록히드 모델 9 | 2 | 1932년 | 1936년 | |
매서슈미츠 M18 d | 1 | 1931년 | 1938년 | |
더글러스 DC-2 | 6 | 1935년 | 1952년 | |
더글러스 DC-3 | 16 | 1937년 | 1969년 | |
더글러스 DC-4 | 5 | 1946년 | 1959년 | |
더글러스 DC-6A | 1 | 1958년 | 1961년 | |
더글러스 DC-6B | 8 | 1951년 | 1962년 | |
더글러스 DC-7C | 5 | 1956년 | 1962년 | |
더글러스 DC-8-30 | 3 | 1960년 | 1967년 | |
더글러스 DC-8-50 | 2 | 1963년 | 1976년 | |
더글러스 DC-8-60 | 7 | 1967년 | 1984년 | |
더글러스 DC-9-10 | 5 | 1966년 | 1968년 | |
더글러스 DC-9-30 | 22 | 1967년 | 1988년 | |
더글러스 DC-9-40 | 4 | 1974년 | 1975년 | |
더글러스 DC-9-50 | 12 | 1975년 | 1988년 | |
드 하빌랜드 DH-89 | 3 | 1937년 | 1954년 | |
드 하빌랜드 DH-98 | 1 | 1945년 | 1945년 | |
맥도넬더글러스 DC-10-30 | 10 | 1972년 | 1992년 | |
맥도넬더글러스 DC-10-30ER | 4 | 1972년 | 1992년 | |
맥도넬더글러스 MD-11 | 19 | 1991년 | 2002년 | |
1 | 1991년 | 1997년 | 스위스 항공 111편 추락 사고로 완파 | |
멕도넬더글러스 MD-81 | 24 | 1980년 | 1998년 | |
맥도넬더글러스 MD-82 | 3 | 1980년 | 1998년 | |
맥도넬더글러스 MD-83 | 2 | 1980년 | 1998년 | |
보잉 747-200B | 2 | 1971년 | 1984년 | |
보잉 747-300B | 2 | 1983년 | 2000년 | |
보잉 747-300M | 5 | 1983년 | 2000년 | |
수드 에비에이션 카라벨 | 8 | 1960년 | 1971년 | |
스코티시 에비에이션 트윈 피오니에르 | 1 | 1957년 | 1957년 | |
에어버스 A310-200 | 5 | 1983년 | 1995년 | |
에어버스 A310-300 | 6 | 1985년 | 2000년 | |
에어버스 A319-100 | 10 | 1996년 | 2002년 | |
에어버스 A320-200 | 20 | 1995년 | 2002년 | |
에어버스 A321-100 | 12 | 1995년 | 2002년 | |
에어버스 A330-200 | 16 | 1998년 | 2002년 | |
에어버스 A340-600 | 9 | 도입 취소 | ||
융커스 Ju-86 | 2 | 1936년 | 1939년 | |
커티스 AT-32C 콘도르 | 1 | 1934년 | 1934년 | |
콘베어 CV-240 | 8 | 1947년 | 1957년 | |
콘베어 CV-440 | 12 | 1956년 | 1968년 | |
콘베어 CV-880 | 2 | 1961년 | 1962년 | |
콘베어 CV-990 | 8 | 1962년 | 1975년 | 1대는1970년 하이재킹으로 강제폭파됨 |
콤테 AC-4 | 1 | 1931년 | 1947년 | |
클라크 GA-43 | 2 | 1934년 | 1936년 | |
포커 7A | 1 | 1930년 | 1931년 | |
포커 7B | 8 | 1931년 | 1935년 | |
포커 27 | 3 | 1965년 | 1972년 | |
포커 100 | 6 | 1988년 | 1996년 | |
피에슬러 Fi 156 | 1 | 1948년 | 1950년 | |
BAC 원 일레븐 | 3 | 1967년 | 1970년 |
스위스 항공 아시아는중화민국 내에서대만타이베이를 서비스하기 위해 결성되었고, 스위스항공른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서비스를 유지하고 있었다.1995년에취리히와타이베이 사이를 2주 간격으로방콕을 경유하여 운행하기 시작했다. 항공사는맥도널 더글러스 MD-11항공기 2대(HB-IWN, HB-IWG)를 보유하였다. 이전에 스위스에어 아시아가 사용하던 항공기는 꼬리 지느러미에 십자가 대신 꼬리 지느러미에 한자 瑞(ruì,스위스의중국어 번역본에서 "瑞士" (Ruìshì))가 적혀 있었다. 이 항공사는 대만을 운항할 목적으로 '아시아'라는 이름으로 운항하는 여러 항공사자회사 중 하나로일본 아시아 항공(일본항공의 자회사),KLM 아시아,영국 아시아 항공,루프트한자 아시에,에어프랑스 아시에,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콴타스 항공 자회사) 등이 포함됐다.
|출처=
(도움말)|출처=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