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라바야(인도네시아어:Surabaya)는인도네시아의 제2의 도시이자자와티무르주의 주도이다. 인구는 약 300만 명이다.자와섬 북쪽 해안의마스강 하구에 위치한다. 인도네시아의 최대의 항만이다.
15~16 세기 이슬람계술탄국이 존재하였다.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에는 상업항으로서 발전했지만,1942년일본이 침략하여,1944년 연합군의 폭격을 받았다.1945년일본의 패망 후,1945년10월 25일 수라바야에 상륙한 영국군 제49여단과 현지 주민과 전투가 발생하여서,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의 발단이 되었다. 이 전투 이후에인도네시아 독립 지지파가 수라바야를 점령했지만,1947년네덜란드군이 재점령하여,네덜란드군이 물러난1949년에 간신히인도네시아에 편입되었다.
연도별 인구| 연도 | 인구 | ±% |
|---|
| 1883 | 122,000 | — |
|---|
| 1897 | 142,980 | +17.2% |
|---|
| 1900 | 150,000 | +4.9% |
|---|
| 1930 | 341,700 | +127.8% |
|---|
| 1940 | 403,000 | +17.9% |
|---|
| 1945 | 618,000 | +53.3% |
|---|
| 1949 | 500,000 | −19.1% |
|---|
| 1950 | 715,000 | +43.0% |
|---|
| 1955 | 808,267 | +13.0% |
|---|
| 1961 | 1,008,000 | +24.7% |
|---|
| 1965 | 1,183,851 | +17.4% |
|---|
| 1971 | 1,556,255 | +31.5% |
|---|
| 1980 | 2,008,335 | +29.0% |
|---|
| 1990 | 2,467,089 | +22.8% |
|---|
| 2000 | 2,610,519 | +5.8% |
|---|
| 2010 | 2,768,225 | +6.0% |
|---|
| 2015 | 3,457,409 | +24.9% |
|---|
| 출처:Various sources 1883–1961 : Surabaya: City of Work[1] 1897 :New International Encyclopedia[2] 1930 : Workers, Unions and Politics: Indonesia in the 1920s and 1930s[3] 1965 : World Population Review[4] 1971–2010 :Statistics Indonesia (BPS)
2015 : citypopulation.de (estimated) |
| 수라바야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 역대 최고 기온 °C (°F) | 33.3 (91.9) | 34.4 (93.9) | 33.9 (93.0) | 33.3 (91.9) | 33.9 (93.0) | 33.9 (93.0) | 33.9 (93.0) | 34.4 (93.9) | 33.9 (93.0) | 35 (95) | 35.6 (96.1) | 35 (95) | 35.6 (96.1) |
|---|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33.3 (91.9) | 33.2 (91.8) | 33.6 (92.5) | 33.7 (92.7) | 33.6 (92.5) | 33.2 (91.8) | 32.8 (91.0) | 33.1 (91.6) | 34.0 (93.2) | 34.8 (94.6) | 34.5 (94.1) | 33.6 (92.5) | 33.6 (92.5) |
|---|
| 일일 평균 기온 °C (°F) | 28.1 (82.6) | 28.0 (82.4) | 28.2 (82.8) | 28.5 (83.3) | 28.5 (83.3) | 28.0 (82.4) | 27.6 (81.7) | 27.7 (81.9) | 28.4 (83.1) | 29.2 (84.6) | 29.1 (84.4) | 28.3 (82.9) | 28.3 (82.9) |
|---|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25.2 (77.4) | 25.1 (77.2) | 25.3 (77.5) | 25.6 (78.1) | 25.4 (77.7) | 24.8 (76.6) | 24.1 (75.4) | 24.1 (75.4) | 24.6 (76.3) | 25.5 (77.9) | 25.8 (78.4) | 25.3 (77.5) | 25.1 (77.2) |
|---|
| 역대 최저 기온 °C (°F) | 21.1 (70.0) | 21.1 (70.0) | 20.6 (69.1) | 18.3 (64.9) | 16.7 (62.1) | 15.6 (60.1) | 14.4 (57.9) | 16.1 (61.0) | 16.7 (62.1) | 17.8 (64.0) | 19.4 (66.9) | 20 (68) | 14.4 (57.9) |
|---|
| 평균강수량 mm (인치) | 183.1 (7.21) | 179.2 (7.06) | 160.4 (6.31) | 107.5 (4.23) | 54.6 (2.15) | 38.6 (1.52) | 16.4 (0.65) | 7.9 (0.31) | 8.2 (0.32) | 36.3 (1.43) | 81.3 (3.20) | 161.8 (6.37) | 1,035.3 (40.76) |
|---|
| 평균 강수일수(≥ 0.1 mm) | 18.4 | 16.9 | 15.4 | 12.2 | 7.4 | 4.8 | 2.4 | 1.0 | 1.0 | 4.2 | 9.6 | 16.4 | 109.7 |
|---|
| 평균상대 습도 (%) | 66.61 | 69.1 | 66.3 | 67.23 | 64.87 | 60.27 | 60.84 | 57.87 | 54.53 | 56.06 | 56.13 | 63.03 | 61.90 |
|---|
| 평균 월간일조시간 | 140.6 | 123.6 | 143.2 | 155.8 | 188.9 | 199.3 | 223.8 | 245.5 | 228.8 | 221.0 | 182.6 | 138.1 | 2,191.2 |
|---|
| 출처 1:세계기상기구 (평년값: 1991년~2020년)[5] |
| 출처 2: Worldwide Bioclimatic Classification System (극값: 1963년~1980년)[6][7] WeatherOnline (일조시간: 2000년~2019년)[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