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병희 孫秉熙 | |
|---|---|
![]() | |
| 출생 | 1861년 4월 8일(1861-04-08) 조선충청도청주목청원군 산외이면 대주리 |
| 사망 | 1922년 5월 19일(1922-05-19)(61세) 일제강점기경성부 |
| 매장지 | 대한민국충청북도청주시청원구북이면 금암리 |
| 거주지 | 대한제국한성부 |
| 국적 | 대한제국 |
| 민족 | 한민족(밀양 손씨) |
| 별칭 | 자(字)는 응구(應九) 도호(道號)는 의암(義菴) 타지로 잠시 한때 망명하던 시기 가명은이상헌(李祥憲) |
| 경력 | 대한국민의회 대통령(1919년 2월 1일~1919년 3월 21일) 조선민국 임시정부 대통령(1919년 4월 10일~1919년 4월 13일) |
| 활동 기간 | 1882년~1921년 1월 18일 |
| 교파 | 동학[1] |
| 수행 성직 | 천도교[2] |
| 칭호 | 천도교 제3대 교주 |
| 칭호 기간 | 1897년 4월 11일 (1897-04-11)[3]~1908년 1월 18일 (1908-01-18) |
| 직업 | 천도교(동학)의 지도자 및독립운동가 겸저술가 |
| 전임자 | 최시형 |
| 후임자 | 박인호 |
| 배우자 | 사별 초배현풍 곽씨 부인 사별 계배남양 홍응화 최후 삼취신안 주옥경 |
| 자녀 | 손용화(셋째딸) |
| 부모 | 손두흥(부),최씨측실(모) |
| 친척 | 손시화(이복 서얼 여동생) 손병흠(이복 서얼 남동생) 손천민(이복 서얼 조카) 방정환(셋째사위) 최시형(이복 서얼 매제) |
| 상훈 | 1962년 대한민국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
| 웹사이트 〈손병희〉. 《두피디아》. (주)두산. | |
손병희(孫秉熙,1861년4월 8일~1922년5월 19일)는천도교(동학)의 지도자요, 제3대 교주이자대한제국의독립운동가로, 1919년3·1 대한 독립 만세 운동 당시의 기미민족 대표 33인의 일원이다.본은밀양(密陽)이고,충청도청주목청원군 생이다
자(字)는 응구(應九)이며, 타지로 망명하던 중에 사용한 가명은이상헌(李祥憲)이고, 배다른서얼 매제최시형(동학 제2대 교주)에게 받은도호(道號)는 의암(義菴)이다.
| 천도교 |
| 주요 인물 |
|---|
| 최제우 · 최시형 · 손병희 · 박인호 전봉준 |
| 경전 |
| 동경대전 · 용담유사 해월신사 법설 의암성사 법설 |
| 교리 |
| 시천주 · 사인여천 · 인내천 · 후천개벽 |
| 역사 |
| 동학 · 동학 농민 혁명 |
| 관련 단체 |
| 천도교 중앙총부 천도교 연원회 천도교유지재단 천도교청우당 |
| 문화유산 |
| 천도교 중앙대교당 · 천도교 임실교당 |
v • d • e • h |
충청도청주목(지금의충청북도청주시)에서 세금 징수를 담당하는향리였던 아버지 손의조(훗날개명하여 손두흥)의 첩실최씨의 소생의 아들(서자)로 태어났다.1882년 배다른 조카 손천민의 권유로동학에 입도했는데, 이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동학의 교리 때문이었다. 3년 뒤최시형을 만나 그의 수제자가 되었다. 최시형 선생은 일부러 손병희에게 어려운 문제를 풀게 했는데, 정성껏 문제를 풀려고 애쓰는 모습을 보고 제자로 받아들였다 한다.[4]
1894년동학농민운동 때는 북접 소속으로서 남접의전봉준과 함께 관군에 맞서 싸웠으며, 관군과 일본군의 폭력으로 수많은 신도들이 순도(殉道,순교)를 했다. 관군의 추격을 피해원산 및 관서지방으로 피신한 그는동학농민혁명실패로 무너진동학의 재건과 포교 활동에 큰 공을 세움으로써1897년 정신적 스승이었던최시형 선생의 뒤를 이은 제3대 교주가 되었다. 한편 관에 자수한 최시형은 이듬해 혹세무민했다는 죄목으로 처형당함으로써 순도한다. 이후 손병희는 동학운동의 지도자만이 아닌 근대화 운동의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보인다.독립협회 인사 등 개화파 인물들과 만나서 일부는 동학에 입교시켰으며, 이들로부터 개화 사상을 받아들였다.
그러던 와중에 동학에 대한 탄압이 거세지면서 먼저 동학에 입교하여, 자신에게 포교했던 조카손천민이 체포되어 처형당했다. 탄압을 피해 손병희 선생은안경장수로 변장하여 중국에 피신했으나 '손병희의 망명을 받아들이지 말라'는 조선정부의 압력으로 중국에서 살 수 없었기 때문에,1901년일본으로망명했다. 여기에서도 같은 망명자 신분이었던오세창,권동진,박영효,조희연 등 개화파 전직 관료들과 교류하였고,상하이와메이지 유신(1867년) 이후 개혁의 바람이 불고 있던도쿄 등을 돌아보면서 인재 양성이 시급함을 깨달았다. 이에 따라1903년부터 24명의 똑똑한 청년들을 선발하여 일본에 유학시키게 된다. 망명 중신문 기고 등으로 내정개혁론과 근대화론을 설파하다가1904년에는갑진개혁운동을 일으켜,권동진,오세창과 더불어진보회를 조직했다. 회원들에게 머리를 자르고 개화복을 입을 것을 명하는 등 개화 운동의 확산을 위한 단체였다.
1905년에는 동학을천도교로 개칭하고1906년일본에서 귀국했다. 동학교도 즉, 천도교 신도라면 무조건 잡아갈 정도로 천도교를 극심히 탄압하던대한제국이 외세의 간섭으로 무기력해진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천도교 내부에서는일진회의송병준,이용구와 기타 세력 간의 반목이 심해져서, 손병희는 친일 조직인 일진회 인물들에게 출교 처분을 내림으로써 이들과 결별한다.
귀국 후에는 교령 자리를박인호에게 승계하고교육 사업(보성전문학교,동덕여학단 인수)과출판사업에 관심을 쏟다가,1919년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3·1 운동을 주도했다.기미독립선언서 낭독 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병보석으로 출옥한 후1922년5월 19일 가족들이 보는 가운데상춘원에서 별세하였다.[5][6]
이외에 <수수명실록 授受明實錄>·<도결 道訣>·<천도태원설 天道太元說>·<대종정의설 大宗正義說>·<교(敎)의 신인시대(神人時代)>·<무체법경 無體法經>·<성심신삼단 性心身三端>·<신통고 神通考>·<견성해 見性解>·<삼성과 三性科>·<삼심관 三心觀>·<극락설 極樂說>·<성범설 聖凡說>·<진심불염 眞心不染>·<후경 後經>·<십삼관법 十三觀法>·<몽중문답가>·<무하사>·<권도문>등이 있다.[7]
어린이 운동으로 유명한방정환은 손병희의 사위로서 천도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방정환의 부친은 천도교 신자였으며, 방정환 자신도1923년 천도교계 잡지에서작가로 활동하였고,그가어린이들에게구연동화를 들려준 장소도 천도교 회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