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소요산역

좌표:북위 37° 56′ 53″동경 127° 03′ 39″ / 북위 37.947986° 동경 127.060714° /37.947986; 127.06071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소요산역 역사 전경 (현재 철거)
소요산역 역사 전경 (현재 철거)
역명판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및 단선 승강장 폐쇄 전)
역명판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및 단선 승강장 폐쇄 전)
Map
개괄
관할 기관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수도권동부지역관리단의정부관리역
소재지경기도동두천시평화로 2925 (상봉암동)
좌표북위 37° 56′ 53″동경 127° 03′ 39″ / 북위 37.947986° 동경 127.060714° /37.947986; 127.060714
노선경원선
개업일경원선:1975년12월 23일
1호선:2006년12월 15일
역번100
종별무배치간이역
등급3급
역 코드한국철도공사 역 코드: 411
수도권 전철 AFC: 1916
비고수도권전철 4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
거리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연천 기점 17.8㎞
← 100-1청산
(4.1㎞ km)
101동두천
(2.4㎞ km)

소요산역(逍遙山驛, Soyosan station)은경기도동두천시상봉암동에 있는경원선수도권 전철 1호선전철역이다. 역명은 역 주변의소요산에서 유래되었다. 이 역부터지행역까지동두천시 구간이다.

역 구조

[편집]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되기 이전에는 2면 2선의상대식 승강장이었다. 역사가 있는 쪽은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는 고상홈, 반대쪽은통근열차가 운행하는 저상홈이었다. 회차 방식은 승강장에 도착 후 그 자리에서인천방면으로 출발하며, 개찰구는 분리되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연천 연장을 앞두고 신 역사를 착공했다. 신 역사의 승강장은 고가로 올라가며,통근열차 승강장은 폐지된다. 다만2023년12월 16일부터연천으로 1호선이 연장한 후에도 아직 반대편 승강장이 완공되지 못해, 완공될 때까지 연천방향 전동차와 인천방향 전동차를 1개의 승강장에서 취급한다.

배선도

[편집]
소요산역-동두천역 배선도
100
소요산역
강변로794번길
101
동두천역

승강장

[편집]
동두천
| |
청산
하행수도권 전철 1호선광운대 · 청량리 · 서울역·구로·인천 방면
상행청산 · 전곡 · 연천 방면

현재 연천구간 전철화 공사로 인해 선로 이전 및 임시 승강장이 새로 지어졌다. 전에 사용하던 통근열차 승강장과 전철 승강장은 임시 승강장 선로 건너편에 위치해 있으며, 통근열차 승강장과 전철 승강장은 소요산역 고가화로 인해 철거되어 그 자리에 고상홈 승강장이 들어설 예정이었으나 선로를 복선으로 운영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고가화 되었다. 승강장이 고가화로 이전함과 동시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였다.

역 주변

[편집]

역사

[편집]

정보

[편집]
  • 역의 이름처럼소요산으로 가는 입구에 해당되어 주말에는 등산객들로 역은 붐비고 과거 통근 열차만이 운행할 때에는 오후 시간 대에 매우 혼잡하였으나 수도권 전철 개통 관계로 그 혼잡도가 많이 완화되었다. 이러한 요인 때문에 단선으로 운행 간격이 뜸하지만 수도권 전철이 이 역까지 연장되었다. 당초 계획은 현재의동두천역인 동안역이 수도권 전철의 종점이었다.
  • 수도권 전철 개통 전에 비하여 이용객 수가 5배 이상 증가하여 역 구내 확장 및 열차 운행 증편을 고려하고 있다.[3]
  • 수도권 전철 개통 이전의 소요산역에 관한 글이 〈소요산역엔 아름다운 마음이 있다.〉라는 제목으로 제7차 교육 과정중학교 2학년 1학기국어 교과서에 실려있었다. 그 후 2007년 개정 교육 과정중학교 1학년 1학기국어 교과서에 같은 글이 수록되어 있다.
  • 한때 소요산역은 2개 정거장(수도권 전철용, 통근열차용)이 있었는데,수도권 전철 1호선동두천 -연천 연장 구간이 당초2023년10월로 가닥을 잡았다가, 수도권 광역 전철 요금 인상에 따른 정산 시스템 개편에 따라2023년12월에 최종 확정되어, 기존에 사용하던 2개 정거장은 개량되어 수도권 전철용 정거장으로 전환되어 운행할 방침이다.

이용객 변동

[편집]

2006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6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7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호선승차미개통2,2262,8303,0793,219[4]
하차2,5732,8993,0773,043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
1호선승차3,7564,1904,6844,9315,0064,7884,8184,7794,4494,2902,9222,999[4]
하차3,5543,8034,0474,0294,1153,9514,0204,0033,7323,5982,4852,601

사진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소요산역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청산 방면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및 연천 연장 전, 기존위치에 있는 선로 철거)
    청산 방면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및 연천 연장 전, 기존위치에 있는 선로 철거)
  • 동두천 방면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및 연천 연장 전, 기존위치에 있는 선로 철거)
    동두천 방면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및 연천 연장 전, 기존위치에 있는 선로 철거)
  • 통근열차 승강장 역명판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통근열차 승강장 역명판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 개찰구 (통근열차 운행중지 전,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개찰구 (통근열차 운행중지 전,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 매표창구 (사용중지 전)
    매표창구 (사용중지 전)
  • 통근열차 승강장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및 운행중지 전)
    통근열차 승강장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및 운행중지 전)
  • 수도권전철 1호선 승강장(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수도권전철 1호선 승강장(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인접한 역

[편집]
경원선
100-1청산
연천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경인선 완행
101동두천
인천 방면

각주

[편집]
  1. 철도청 고시 제70호(1964.04.22)
  2. 대한민국 관보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6 - 523호, 2006년 12월 11일
  3. “소요산 운행 전철 너무 적어”. 경인일보. 2012년 1월 9일. 2012년 1월 9일에 확인함. 
  4.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외부 링크

[편집]
  :폐역. †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위치. 1. 영업거리표 미기재. 공식적으로 미개업.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장항선
경인선
병점기지선
경부고속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소요산역&oldid=40864695"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