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성인 (종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인을 그린,스타라야라도가의 12세기 프레스코화.

성인(聖人, saint)은종교에서 성인됨(聖, holiness)의 상태를 선천적으로건 후천적으로건 가졌거나 보인 사람들로서 타 신도들에게 모범이 되는 사람을 말한다. (이 문서에서는 각 종교들을 가나다순으로 나열한다.) 한편, 종교 외적으로도, 윤리적으로 특히 훌륭한 삶을 산 사람을 높여 부를 때 성인이라 하기도 한다.

기독교의 경우 특히 모범적이고영적인 삶을 살았거나순교하거나 하여 타인 내지 타 신도들에게 본보기가 된 사람을 일컫는다.

불교의 경우무루혜(無漏慧)를 일부라도 증득한 사람을 말한다.[1][2]

유교의 경우(禮)의 창작자 또는의 체득자를 말한다.

기독교의 성인

[편집]

기독교 중에서로마가톨릭교회,동방 정교회,성공회,오리엔트 정교회 등에서는 성인 공경을 중시하고 있으나, 성공회를 제외한개신교에서는 성인에 대한 공경은 없다. 단지 개신교회에서는 기독교의 중요한 역사적 인물로 보는 시각을 지니며, 다른 종파에서 성인으로 보는 인물을 기독교의 위인 정도로 여긴다.루터교는 기독교 신앙의 모범이 되는 인물들을 기념하며,감리교에도 기독교 신앙의 모범이 되는사도들과교부, 순교자들, 신학자들,존 웨슬리를 포함하는 기독교 활동가 등의 인물을 기념한다.장로교의 창시자격인장 칼뱅신학과 삶을문서선교로 기념한다.신약성서에서는 모든 기독교 신자들에 대한 명칭으로 '성도(聖徒)' 또는 '성스러운 사람들'이라는 말이 쓰이고 있지만(골로사이인들에게 보낸 편지 1:2), '성인'이라는 칭호는 초기 교회에서 '성덕이 뛰어난 사람들'을 일컬을 때에만 불렀다.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인

[편집]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말하는 성인은 생존시에 영웅적인 덕행으로써 모든 신자들의 모범이 되어,로마 가톨릭교회가 보편적인 교도권에 의해 성인으로 선포하는 사람 또는 《성인록》에 올라 장엄한 선언에 의해서 성인으로 선포된 사람을 가리킨다.교황이 특정 인물을 성인으로 선포하는 것을시성(諡聖)이라고 한다. 교회가 어떤 이의 성성(聖性)을 공인하는 것은, 사도신조의 '거룩하고 보편된 교회와 모든 성인의 통공을 믿으며.'라는 신앙고백에 논거하여 하늘나라에서 영광스러운 자리에 올라 전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그 성인에게 전구(轉求)를, 즉 대신 간구해 줄 것을 요청하여도 된다고 믿는다. 생존시 덕행이나순교 등이 바로 기독교 신앙의 증언이요, 본보기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천주교회의 성인

[편집]
현재 이 문단은 주로 한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6월)

천주교 박해로 세상을 떠난천주교 순교자들 가운데 103명이1984년5월 6일여의도광장에서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이들 가운데 79명은1925년에 시복된기해박해(1839년)와 한국 최초의 천주교 신부인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를 비롯한병오박해(1846년) 순교자들이며, 24명은1968년에 시복된병인박해(1866년) 순교자들이다. 현재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에서는 다른 순교자들 중 열정적인전교목회를 실천하다가 순직한최양업사제를 비롯한 125명에 대한 시복, 시성을 추진하고 있다. 그 중 모친의장례유교가 아닌천주교전례에 따라 치른 진산사건으로 순교한윤지충을 포함한 124명이2014년8월 16일광화문광장에서교황 프란치스코에 의해 시복식이 집전되었다.

성인과 세례명

[편집]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들의세례명은 거의 모두성서교회역사에 나오는 성인의 이름을 딴 것이다. 보통남자는 남자 성인의 이름을,여자는 여자 성인의 이름을 따서 세례명을 짓지만, ‘라이너 마리아 릴케’나 ‘호세 마리아 구티에레스’와 같이 이성 성인의 이름을 붙이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 각 성인의축일은 그 성인의 이름을 세례명으로 하는 사람의영명축일이 된다. 예컨대베드로의 영명축일은6월 29일이고,프란치스코의 영명축일은10월 4일이다.

성공회의 성인

[편집]

성공회에서는종교개혁 이전 성공회가 공경하던 성인을 공경하고 있으며,바우로,베드로,스테파노, 힐러리,아모스,요셉,니콜라,어거스틴,마티아,마가,루가성서나 교회사 속의 성인들의 이름을 딴신명세례받은 신자에게 붙여 준다. 이는 성인들의 모범적인 신앙과 삶을 본받으라는 의미가 있다. 현재대한성공회의 수호성인은 성 니콜라이다.

불교의 성인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성인 (불교)입니다.

불교에서의성인(聖人) 또는성자(聖者)는무루혜(無漏慧)를 일부라도 성취한 사람을 말하며, 그렇지 못한 사람을범부(凡夫)라고 한다. 이 기준은부파불교대승불교 모두에서 인정하는 기준이다.[1][2]구사론》에서세친지혜[慧]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이유로 불교에서는무루혜성혜(聖慧) 또는무루성혜(無漏聖慧)라 부르기도 한다.

慧有二種。有漏無漏。唯無漏慧立以聖名。

지혜[慧]에는 유루혜와 무루혜의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이 중에서 무루혜에만 '성(聖)'이라는 명칭을 쓴다.

— 《구사론》 제26권 〈7. 분별지품(分別智品)〉.한문본 &한글본

유교의 성인

[편집]

유교에서의 성인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는의 창작자라는 의미이다. 성인이란 예를 만들어 인류에게문명을 가져다 주는 사람으로 해석한다. 예는 원래 고대 중국 사회에서 행해졌던 전통적인 모든 관행을 정리하고 제도화한 것으로서 그 기원은 분명치 않다. 유교에서는 예(전통적 문명)는 전설상의 제왕(帝王)인 요·순과 하왕조(夏王朝)를 창시한 우(禹)·은(殷)의 탕왕(湯王), 주의 문왕·무왕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전해졌으며, 주공(周公)에 의해 대성되었다. 그것은 그 후 공자·맹자에 의해 후세에 전해져 오늘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사람을 작례성인(作禮聖人)이라 하고 숭앙했다.

둘째는 예의 체득자(體得者)라는 의미이다. 예는 사회의 여러 관행을 제도화한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는 사람이 행해야 할 길(규범)이라는 성격이 있다. 그리고 성인들은 예를 만들었기 때문에 예의 체득자였다는 것이며, 예의 체득을 목표로 하는 유교의 이상적 인격상(理想的人格像)이 되기에 이른다. 거기에서 성인은 '학(學:禮의 학습·실천)'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고방식이 생겨났다. 실제로조선의 여성유학자인임윤지당은 조카들에게 '학문을 하면 사람은 서늘한 기운이 나와부채질을 않아도 더위를 잊게 된다.'고 말하며 항상 공부에 힘쓰라고 격려했을 정도로 학문을 중요하게 생각했는데[3], 그 이유는 사람은 학문과 학문의 실천을 통해 성인 곧 이상적 인격을 갖게 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기타

[편집]

종교 외적으로도 성인은 특히 윤리적으로 훌륭한 삶을 산 사람을 높여 부르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운허, "凡夫(범부)". 2012년 11월 11일에 확인. sfn 오류: 대상 없음: CITEREF운허 (도움말)
  2. 星雲, "聖人". 2012년 11월 11일에 확인. sfn 오류: 대상 없음: CITEREF星雲 (도움말)
  3. 《여인열전》/이덕일 씀/김영사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성인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하느님의 종   →  가경자   →  복자   →  성인
이 문서에는다음커뮤니케이션(현카카오)에서GFDL 또는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국제
국가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성인_(종교)&oldid=39023822"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