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교 |
|---|
선법(善法,산스크리트어:kuśalā dharmāh,팔리어:kusala dhamma) 또는착한 법은선한 교법의 줄임말로,5계(五戒) · 10선(十善) · 3혜(三慧) · 4혜(四慧) · 4성제(四聖諦) · 3학(三學) · 5온설(五蘊說) · 12연기설(十二緣起說) · 8정도(八正道) · 37도품(三十七道品) · 6바라밀(六波羅蜜) 등 이치에 맞고, 자신과 세상을 이익되게 하는법(法), 즉도리와방편, 즉 가르침 또는선한행위와수행법을 말한다.[1][2] 선법을착한 것,착한 일 또는닦아야 할 것이라고도 한다.[3][4][5][6][7]
선법(善法)의 반대를불선법(不善法,산스크리트어:akuśalā dharmāh,팔리어:akusala dhamma),악법(惡法) 또는착하지 않은 법이라 하며,5악(五惡) · 10악(十惡) · 바라이죄(波羅夷罪) · 8사행(八邪行) 등의불선(악)한행위와견해들이 여기에 속한다.[8] 불선법을나쁜 것,나쁜 일 또는단멸해야 할 것이라고도 한다.[3][4][5][6][7]
선법도 불선법도 아닌 법을무기법(無記法) 또는착하지도 착하지 않지도 않은 법이라 한다.
선법은 크게세간의 선법(世間善法)과출세간의 선법(出世間善法)으로 나뉘는데,5계 · 10선 · 3혜 · 4혜 등이 세간의 선법에 해당하며,4성제 · 3학 · 5온설 · 12연기설 · 8정도(八正道) · 37도품 · 6바라밀 등이출세간의 선법에 해당한다.[2][9] 한편, 선법을계(戒)라고도 하는데, 이 경우 세간의 선법을속계(俗戒)라 하고 출세간의 선법을도계(道戒)라 한다.[10][11]
5계 · 10선 · 3혜 · 4혜 · 4성제 · 3학 · 5온설 · 12연기설 · 8정도 · 37도품 · 6바라밀 등의세간과출세간의법(法)에는 깊고 옅음의 차이가 있지만 이들은 모두 이치에 맞고 자신과 세상을 이익되게 하는법 또는도리와방편이므로 모두 통칭하여 선법(善法)이라 부른다.[2]
선법(善法)은 크게세간의 선법과출세간의 선법으로 나뉜다.[1][2][9][12]
세간의 선법,세간선법(世間善法),세간법(世間法),세간의 선 또는세간선(世間善)은 자신과 세상을 편안하고 이익되게 하는 것으로 이번 생과다음 생에서 편안한과보를 받게 하는 선법을 말한다. 대표적으로5계(五戒)와10선(十善)과3혜(三慧) 또는4혜(四慧)의세간정견(世間正見)이 여기에 속한다.
출세간의 선법,출세간선법(出世間善法),출세간법(出世間法),출세법(出世法),출세간의 선 또는출세간선(出世間善)은세간을 벗어날[出] 수 있게 하는 선법, 즉,세간(世間) 즉3계(三界)를 뛰어넘어[出]열반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선법을 말한다. 달리 말하면, 생멸 변화하는 미혹한 세계를 벗어나해탈 경계에 들어가기 위해 닦는 가르침과 수행법을 말한다.[12][13]4성제(四聖諦) · 3학(三學) · 5온설(五蘊說) · 12연기설(十二緣起說) · 8정도(八正道) · 37도품(三十七道品) · 6바라밀(六波羅蜜)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출세간의 선법의 경우 엄밀히 수행법만을 말하자면,8정도는37도품의 7번째 그룹에 해당하고,6바라밀은초기불교의37도품이대승불교에 의해 종합되어 새로운 형태로 제출된 것이므로출세간의 선법이란37도품을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대승불교의 주요 인물인용수는 《대지도론》 제30권에서 선법에 관련된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하고 있다.
問曰: 善法亦有三果: 下者為人,中者為天,上者涅槃。
答曰: 是中 不應說涅槃,但應分別眾生果報住處, 涅槃非報故。善法有二種:一者、三十七品能至涅槃,二者、能生後世樂。今但說受身善法,不說至涅槃善法。
世間善有三品:上分因緣故,天道果報;中分因緣故,人道果報;下分因緣故,阿修羅道果報。— 《대지도론》 제30권한문본
[문] [6도(六道)와 관련된] 착한 법에도 역시 세 가지 과보가 있나니, 아래는사람이요 중간에는하늘이며 맨 위는열반이다.
[답] [6도(六道)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여기서는열반을 말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중생이과보로서 머무를 곳만을 분별해야 하나니, [6도 즉 3계를 벗어난 상태인]열반은 [6도(六道)의]과보가 아니기 때문이다. 착한 법[善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37품(三十七品, 즉 37도품)으로는열반에 이르게 하고, 둘째는 뒷세상[後世]의 즐거움을 내게 하는 것이다. 지금은 다만 몸을 받는 착한 법[受身善法]을 말할 뿐이요열반에 이르는 착한 법[至涅槃善法]은 말하지 않는다.
세간의 선[世間善]에는 세 가지가 있다. 위 갈래[上分]의 인연 때문에천도(天道)의 과보가 있고, 중간 갈래[中分]의 인연 때문에인도(人道)의 과보가 있으며, 아래 갈래[下分]의 인연 때문에아수라도(阿修羅道)의 과보가 있다.— 《대지도론》 제30권한글본
위의 단락에서 인용된 바와 같이 《대지도론》 제30권에서용수는출세간의 선법을 닦았을 때의과보는 궁극적으로 최고의선인열반(涅槃)의 증득이며, 이에 대해세간의 선법을 닦으면 그 갈래[分]에 따라 다음 생에서6도(六道) 중천상도 · 인간도 · 수라도로 태어나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즉,6도(六道) 중지옥도 · 아귀도 · 축생도는 불선법 즉 악법에 따른 과보로 태어나는 곳, 즉악도(惡道: 악한 길 즉 악한 세계) 또는악취(惡趣: 악한 곳으로 나아감 즉 악한 세계)이고,수라도 · 인간도 · 천상도는 선법에 따른 과보로 태어나는 곳, 즉선도(善道: 선한 길 즉 선한 세계) 또는선취(善趣: 선한 곳으로 나아감 즉 선한 세계)라 말하고 있다. 이러한 구분에 대하여용수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問曰: 經 說有五道,云何言六道?
答曰: 佛去久遠,經法流傳五百年後,多有別異,部部不同:或言五道,或言六道。若說五者,於佛經迴文說五;若說六者,於佛經迴文說六。又摩訶衍中,《法華經》說有六趣眾生。
觀諸義旨,應有六道。
復次,分別善惡故有六道:善有上、中、下故,有三善道:天、人、阿修羅;惡有上、中、下故,地獄、畜生、餓鬼道。若不 爾者,惡有三果報,而善有二果,是事相違; 若有六道,於義無違。— 《대지도론》 제30권한문본
[문] 경에서는5도(五道)가 있다고 말씀하는데 어떻게6도(六道)라고 하는가?
[답] 부처님께서 가신 지 오래되고 경전과 법이 전해진 지 5백년 뒤에는 많은 다른 것들이 있어서 [부파불교의] 각 부파마다[部部] 동일하지 않다. 어떤 부파에서는5도(五道)를 말하며 다른 부파에서는6도(六道)를 말한다.5도를 말하는 부파도 부처님의 경[佛經]에서 글을 끌어다 말하고 있으며6도를 말하는 부파도 부처님의 경[佛經]에서 글을 끌어다 말하고 있다. 또한[又],대승불교[摩訶衍][의 경전] 가운데 『법화경(法華經)』에서는 “6취(六趣) 중생이 있다”고 말씀하고 있다.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여러 경전들과 논서들에서 나타나는]이러한 모든이치[義旨]를 자세히 살펴보아 판단컨데 마땅히6도(六道)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觀諸義旨,應有六道].
또선악을 분별해 볼 때6도(六道)가 있[는 것이 마땅한 것으로 보인]다.선(善)에는 상 · 중 · 하가 있기 때문에 세 가지선도(善道)가 있으니,하늘 · 사람 · 아수라가 그것이다. [마찬가지로]악(惡)에도 상 · 중 · 하가 있으니,지옥과축생과아귀의 도(道)가 그것이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악에는 세 가지과보가 있으나선에는 두 가지과보가 있게 되어, 이일[事: 현상]에서는 서로 어긋난다. 만일6도(六道)가 있다 한다면이치[義, 즉 理]에 있어서 어긋남이 없을 것이다.— 《대지도론》 제30권한글본
한편,대승불교적 입장에서 《증일아함경》을 주석한 논서인 《분별공덕론(分別功德論)》[14]에서는 선법(善法)을계(戒)로,세간의 선법을속계(俗戒)로,출세간의 선법을도계(道戒)로 칭하고 있는데,계(戒)는 크게속계(俗戒)와도계(道戒)로 나뉘며,5계와10선이속계(俗戒)에 해당하고3삼매(三三昧)와4성제(四聖諦)의 묘혜(妙慧: 신묘한 지혜)가도계(道戒)에 해당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도계(道戒)와 합치된 상태, 즉3삼매(三三昧)를 성취한 상태, 즉4성제(四聖諦)의 묘혜(妙慧)가 성취된 상태, 즉3계(三界)를 벗어난 상태를 이루기 위해서는혜(慧: 즉, 일부의 무루혜도 성취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3혜 또는 4혜의 유루혜, 일부의 무루혜를 성취한 상태에서는 그 무루혜와 유루혜)로써계(戒: 즉 속계, 즉 5계와 10선)를 제어함으로써무루(無漏: 즉 무루혜, 무루지, 성혜, 무루성혜)를 성취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夫戒有二。有俗戒有道戒。
五戒十善為俗戒。三三昧為道戒。二百五十戒至五百戒。亦是俗戒。四諦妙慧為道戒也。
但行安戒不出三界。以慧御戒。使成無漏乃合道戒。— 《분별공덕론》 제2권.한문본
대체로계(戒)에 두 가지가 있다.속계(俗戒)와도계(道戒)이다.
5계(五戒)와10선(十善)은속계에 해당하며[為],3삼매(三三昧)는도계에 해당한다[為]. 250계부터 500계도 역시속계이며, [이와는 달리]4성제[四諦]의 묘혜(妙慧)는도계에 해당한다[為].
단지계(戒: 즉 속계)를 행하는 데 안주해서는3계(三界)를 벗어나지 못한다. [도계, 즉 3삼매와 4성제를 대상으로 하는]혜(慧: 즉 유루혜와 성취한 무루혜)로써계(戒: 즉 속계)를 제어함으로써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무루(無漏: 번뇌를 끊음)를 성취하게 하여야[以慧御戒 使成無漏] 곧도계(道戒)에 합치[合]한다.— 《분별공덕론》 제2권.한글본
부파불교의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법온족론》은고타마 붓다의 직제자인목건련이 저술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 논서의 제1권 〈1. 학처품(學處品)〉에서목건련은고타마 붓다가불선법인5악(五惡)과세간의 선법인5계(五戒)에 대해 설한 내용을 싣고 있다.
이 설법에서고타마 붓다는5악(五惡)을5포죄원(五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 또는 두려워해야 할 죄와 원한)이라 칭하면서5악이 가져오는 나쁜 과보와5악의 반대인5계가 가져오는 선한 과보에 대해 설하고 있다. 이 중에서5악에 대한 설법은 다음과 같다.
爾時世尊。告苾芻眾。
諸有於彼五怖罪怨不寂靜者。彼於現世。為諸聖賢同所訶厭。名為犯戒自損傷者。有罪有貶。生多非福。身壞命終。墮險惡趣。生地獄中。
何等為五。謂殺生者。殺生緣故。生怖罪怨。不離殺生。是名第一。
不與取者。劫盜緣故。生怖罪怨。不離劫盜。是名第二。
欲邪行者。邪行緣故。生怖罪怨。不離邪行。是名第三。
虛誑語者。虛誑緣故。生怖罪怨。不離虛誑。是名第四。
飲味諸酒放逸處者。飲味諸酒放逸處緣故。生怖罪怨。不離飲酒諸放逸處。是名第五。
有於如是五怖罪怨不寂靜者。彼於現世。為諸聖賢同所訶厭。名為犯戒自損傷者。有罪有貶。生多非福。身壞命終。墮險惡趣。生地獄中。— 《아비달마법온족론》 제1권 〈1. 학처품(學處品)〉.한문본
그때에고타마 붓다는비구[苾芻, 필추]들에게 말하였다.
저 5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에 대하여적정(寂靜: 고요하고 안정됨)하지 못하는 모든 사람은 그 누구든지간에 이번 생[現世]에서는 모든성현(聖賢)에게서 다 같이 꾸지람과 싫어함[訶厭]을 받을 뿐이요 [따라서 선법(善法)을 전수받아 증득할 기회를 얻지 못하며], 이를테면,계율을 범하여[犯戒] 스스로를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으로] 손상시키는 자가 되며, 죄도 범하고 타락[貶: 이전보다 나빠짐]하기도 하여, 대부분 박복하게 이번 생을 살아가고, 그러다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을 마친 후 [다시 태어날 때면] 험한악취(惡趣: 나쁜 세계)에 떨어지거나지옥에 태어난다.
어떤 것이 5가지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인가?
살생(殺生)을 범하는 이는 살생한 인연[殺生緣] 때문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낳아 살생[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 떠나지 못한다. 이에, 이것을 첫째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이라 한다.
불여취(不與取: 주지 않는데 취하는 것)를 범하는 이는 도둑질한 인연[劫盜緣] 때문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낳아 도둑질[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 떠나지 못한다. 이에, 이것을 둘째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이라 한다.
삿된 음행[欲邪行: 욕사행, 사음, 사행]을 범하는 이는 삿된 음행[邪行]의 인연 때문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낳아 삿된 음행[邪行][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 떠나지 못한다. 이에, 이것을 셋째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이라 한다.
거짓말을 하는 이[虛誑語者]는 남을 속인 인연 때문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낳아 거짓말[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 떠나지 못한다. 이에, 이것을 넷째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이라 한다.
온갖술[酒]을 마시고 방일한 이[放逸者]는 온갖 술을 마시고 방일한 인연 때문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낳아 온갖 술을 마시고 방일하는 것[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 떠나지 못한다. 이에, 이것을 다섯째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이라 한다.
이와 같은 5포죄원(怖罪怨)에 대하여적정(寂靜: 고요하고 안정됨)하지 못하는 이는 이번 생[現世]에서는 모든성현(聖賢)에게서 다 같이 꾸지람과 싫어함[訶厭]을 받을 뿐이요 [따라서 선법(善法)을 전수받아 증득할 기회를 얻지 못하며], 이를테면,계율을 범하여[犯戒] 스스로를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으로] 손상시키는 자가 되며, 죄도 범하고 타락[貶: 이전보다 나빠짐]하기도 하여, 대부분 박복하게 이번 생을 살아가고, 그렇게 살다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을 마친 후 [다시 태어날 때면] 험한악취(惡趣: 나쁜 세계)에 떨어지거나지옥에 태어난다.— 《아비달마법온족론》 제1권 〈1. 학처품(學處品)〉.한글본
부파불교의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법온족론》은고타마 붓다의 직제자인목건련이 저술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 논서의 제1권 〈1. 학처품(學處品)〉에서목건련은고타마 붓다가불선법인5악(五惡)과세간의 선법인5계(五戒)에 대해 설한 내용을 싣고 있다.
이 설법에서고타마 붓다는5악(五惡)을5포죄원(五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 또는 두려워해야 할 죄와 원한)이라 칭하면서5악이 가져오는 나쁜 과보와5악의 반대인5계가 가져오는 선한 과보에 대해 설하고 있다. 이 중에서5계에 대한 설법은 다음과 같다.
諸有於彼五怖罪怨能寂靜者。彼於現世。為諸聖賢同所欽歎。名為持戒自防護者。無罪無貶。生多勝福。身壞命終。升安善趣。生於天中。
何等為五。
謂離殺生者。離殺生緣故。滅怖罪怨。能離殺生。是名第一。
離不與取者。離劫盜緣故。滅怖罪怨。能離劫盜。是名第二。
離欲邪行者。離邪行緣故。滅怖罪怨。能離邪行。是名第三。
離虛誑語者。離虛誑緣故。滅怖罪怨。能離虛誑。是名第四。
離飲諸酒放逸處者。離飲諸酒放逸處緣故。滅怖罪怨。能離飲酒諸放逸處。是名第五。
有於如是五怖罪怨能寂靜者。彼於現世。為諸聖賢同所欽歎。名為持戒自防護者。無罪無貶。生多勝福。身壞命終。升安善趣。生於天中。— 《아비달마법온족론》 제1권 〈1. 학처품(學處品)〉.한문본
그러나 저 5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에 대하여적정(寂靜: 고요하고 안정됨)할 수 있는 이는 이번 생[現世]에서 모든성현에게서 다 같이 기뻐함과 찬탄을 받게 될 뿐만아니라. 이를테며계율을 지켜서[持戒] 스스로를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으로부터] 방호(防護)하는 자가 되며, 죄도 없고 타락[貶: 이전보다 나빠짐]함도 없어서, 대부분 다복하게 이번 생을 살아가고, 그러다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을 마친 후 [다시 태어날 때면] 안온한선취(善趣: 좋은 세계)로 올라가천상[天]에 태어난다.
어떤 것이 다섯 가지인가?
살생(殺生)을 떠난 이는살생하는 인연을 떠난 까닭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멸하여 능히 살생[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이 떠나게 된다. 이에, 이것을 첫째라 한다.
불여취(不與取)를 떠난 이는도둑질하는 인연을 떠난 까닭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멸하여 능히 도둑질[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이 떠나게 된다. 이에, 이것을 둘째라 한다.
삿된 음행[欲邪行: 욕사행, 사음, 사행]을 떠난 이는삿된 음행을 행하는 인연을 떠난 까닭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멸하여 능히 삿된 음행[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이 떠나게 된다. 이에, 이것을 셋째라 한다.
거짓말[虛誑語]을 떠난 이는남을 속이는 인연을 떠난 까닭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멸하여 능히 거짓말[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이 떠나게 된다. 이에, 이것을 넷째라 한다.
온갖술을 마시고 방일하는 것을 떠난 이는 온갖술을 마시고 방일하는 인연을 떠난 까닭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멸하여 능히 온갖 술을 마시고 방일하는 것[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 떠나게 된다. 이에, 이것을 다섯째라 한다.
이와 같은 5포죄원(怖罪怨)에 대하여적정(寂靜: 고요하고 안정됨)할 수 있는 이는 이번 생[現世]에서 모든성현에게서 다 같이 기뻐함과 찬탄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이를테면 계율을 지켜서[持戒] 스스로를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으로부터] 방호(防護)하는 자가 되며, 죄도 없고 타락[貶: 이전보다 나빠짐]함도 없어서, 대부분 다복하게 이번 생을 살아가고, 그렇게 살다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을 마친 후 [다시 태어날 때면] 안온한선취(善趣: 좋은 세계)로 올라가천상[天]에 태어난다.— 《아비달마법온족론》 제1권 〈1. 학처품(學處品)〉.한글본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date= (도움말);|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date= (도움말);|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date= (도움말);|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9684E6B395rowno3 善法(선법)]". 2012년 11월 12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383DTITLEB5BDAAk 善法]". 2012년 11월 12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