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서원주역

좌표:북위 37° 20′ 59″동경 127° 50′ 13″ / 북위 37.3498° 동경 127.837° /37.3498; 127.837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원주
서원주역 역사
서원주역 역사
KTX 승강장
KTX 승강장
일반열차 승강장
일반열차 승강장
Map
개괄
관할 기관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원주관리역
소재지강원특별자치도원주시지정면 간현리 1144
좌표북위 37° 20′ 59″동경 127° 50′ 13″ / 북위 37.3498° 동경 127.837° /37.3498; 127.837
개업일2012년9월 25일
종별보통역(원주역 관리)
승강장 수2면 7선
거리표
중앙선
청량리 기점 86.4 km
삼산
(7.2 km)
원주
(8.3 km)
경강선
서원주 기점 0.0 km
만종
(4.7 km)

서원주역(Seowonju station, 西原州驛)은강원특별자치도원주시지정면 간현리에 위치한중앙선강릉선철도역이다.

간현역 남쪽에 있으며, 기능상 간현역과동화역을 통합하는 형태로 신설되었다.강릉선은 이 역부터강릉역까지 모두 지상 구간이다.

경강선은 평면교차를 통하여 분기한다.동화역만종역은 강원본부로 이관되어 월경지가 되었고, 이후 동화역은 서원주역과 통합되는 형태로 폐역됐다. 승강장은 고상홈과 저상홈이 같이 붙어 있다. 구내에 검수고와 주박용 선로가 있다.

연혁

[편집]

역 구조

[편집]

승강장

[편집]

2면 7선의 쌍섬식(저상홈과 고상홈[4]) 승강장이다. KTX-이음 고상홈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삼산
| | | |4 3 | |2 1 |
원주(중앙선) ↓/만종(강릉선) ↓
1강릉선

중앙선

태백선

KTX강릉 · 동해방면
KTX · 무궁화호 · ITX-새마을 · ITX-마음제천 · 안동 · 부전방면
2무궁화호태백 · 동해방면
3중앙선

강릉선

KTX · 무궁화호 · ITX-새마을 · ITX-마음양평 · 청량리 · 서울방면
4KTX

KTX-이음 복합열차

[편집]

이 역에서는안동역에서 출발하는 700번대중앙선KTX-이음강릉역/동해역에서 출발하는 800, 840번대강릉선KTX-이음이 하나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상행 열차의 경우에는중앙선KTX-이음열차가 먼저 도착해 승객들을 승하차 시키는 중 자동병결장치를 돌출하고 대기한다. 뒤에 오는강릉선KTX-이음열차가 서원주역 구내에 진입하면중앙선KTX-이음 열차는 잠시 출입문을 닫는다.강릉선KTX-이음열차는 앞차와 2미터 정도 떨어진 상태로 도착후 전공일채 자동연결기 가림막을 열고 직원이 기기점검을 마친 후 무전지시를 한다.강릉선KTX-이음열차는 시속 2Km/h이내로 진입하면서중앙선KTX-이음 열차와 하나로 합병된다.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15초후에 두 열차의 뒷 쪽 집전장치가 올리면 두 열차의 출입문이 개방되면서 승객들을 승하차 시킨 후 정시가 되면 다음 정차역으로 출발한다.

반대로 하행 열차의 경우에는강릉선KTX-이음 열차가 앞에 있고중앙선KTX-이음 열차는 뒤에 연결되어 서원주역까지 운행된다. 도착 후 출입문이 열리면 승객들을 승하차 시키는 도중에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유압으로 분리작업이 잘 되는지 직원이 지켜본 후 무전으로 앞차에 분리양호를 알린다. 이후 선행강릉선KTX-이음 열차가 집전장치를 올린 뒤 정시가 되면 문을 닫고 자동연결장치로 분리되어 출발한다. 뒤에 있는중앙선KTX-이음 열차는 자동병결장치 가림막을 닫고 집전장치를 올린 뒤 문을 닫고 출발한다.KTX-이음은 1~6호차까지 있는데, 복합열차의 경우에는 1~12호차까지 있게 된다.[5]

역 주변

[편집]

사진

[편집]
  • 대합실
    대합실
  • 대합실
    대합실
  • KTX 승강장
    KTX 승강장
  • 일반열차 승강장
    일반열차 승강장

인접한 역

[편집]
경강선
양평
행신 방면
KTX
강릉선
만종
강릉 · 동해 방면
중앙선
양평
서울 방면
KTX
중앙선
원주
부전 방면
삼산
청량리 방면
ITX-새마을
중앙선
원주
안동 방면
양동
청량리 방면
ITX-마음
중앙선
원주
부전 방면
삼산
청량리 방면
무궁화
중앙선 · 태백선
원주
동해 · 제천 방면

각주

[편집]
  1. 국토해양부장관 (2012년 9월 18일).“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613호”. 대한민국관보 제17849호. 《대한민국 전자관보》. 30-31쪽. 2021년 2월 8일에 확인함. 
  2. “철도공단 강원본부, 원주~강릉 철도건설구간 일부 신선 건설 완료”. 《국가철도공단》. 2016년 8월 25일. 2020년 10월 3일에 확인함. 
  3. 서원주역 여객시설 건립 확정 출처: MBC
  4. 서원주역 마무리 공사 진행, 원주투데이
  5. 중앙선 열차는 1~6호차이고강릉선 열차는 7~12호차인데 이는 6, 7호차는 객실간의 동차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숫자가 합쳐졌다.

외부 링크

[편집]
서원주역
차량
국내용
운행 중
개발 중
수출형
운행 노선
경부선·경부고속선 계통
행신 ~부산
서울 ~수원 ~부산
행신 ~구포 ~부산
경전선 계통
행신 ~진주
동해선 계통
행신 ~포항
호남선·호남고속선 계통
행신 ~목포
행신 ~서대전 ~목포
전라선 계통
행신 ~여수엑스포
용산 ~서대전 ~여수엑스포
강릉선 계통
행신 ~강릉
서울 ~동해
중앙선 계통
서울 ~부전
중부내륙선 계통
판교 ~문경
경부선 계통
서울 ~부산
호남선 계통
용산 ~목포
용산 ~광주
광주 ~목포
충북선 계통
서울 ~제천
대전 ~제천
경전선 계통
부전 ~광주송정
동대구 ~진주
장항선 계통
용산 ~익산
전라선 계통
용산 ~여수엑스포
동해선 계통
포항 ~부전
동대구 ~포항
동대구 ~부전
영동선 계통
동해 ~영주
동해 ~동대구
경북선 계통
영주 ~김천
태백선 계통
청량리 ~동해
교외선 계통
대곡 ~의정부
경원선 계통
연천 ~백마고지
목포보성선 계통
순천 ~목포
경부선 계통
서울~부산
서울~신해운대
경전선 계통
서울~진주
동해선 계통
부전~강릉
동대구~부전
동대구~강릉
호남선 계통
용산~목포
용산~익산
용산~광주
전라선 계통
용산~여수엑스포
중앙선 계통
청량리~부전
태백선 계통
청량리~동해
서해선 계통
서화성~홍성
평택선 (순환) 계통
홍성~홍성
장항선 계통
용산~홍성
1:경강선(원주-강릉)으로 편입.
*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폐역
1: 한국철도공사 직제규정시행세칙 기준. 2: 경강선의 선로 위에 놓여있으나 경강선의 역으로 고시되지 않음
원주시의 교통
철도
노선
고속도로
노선
나들목·분기점
일반도로
국도
국지도
지방도
주요 간선도로
자동차전용
간선도로
교량
버스
시내
고속·시외
항공
공항
기타
교통카드
자전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원주역&oldid=40481449"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