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서울대공원

좌표:북위 37° 25′ 50″동경 127° 01′ 02″ / 북위 37.4306° 동경 127.0172° /37.4306; 127.017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대공원
위치경기도과천시 대공원광장로 102
좌표북위 37° 25′ 50″동경 127° 01′ 02″ / 북위 37.4306° 동경 127.0172° /37.4306; 127.0172
유형대공원
면적9,132,690m2
개원1984년5월 1일
운영서울특별시청
Map
웹사이트
서울대공원

서울대공원(서울大公園, Seoul Grand Park)은대한민국경기도과천시에 있는 공원이다.대한민국에서 가장 큰동물원식물원이 있고, 놀이공원인서울랜드가 있다. 경기도 과천에 위치하고 있으나 시설 운영관리는서울특별시청에서 담당한다.

역사

[편집]
1984년 개원 당시의 풍경

1909년 일제가창경궁의 용도를 유원지로 전환하면서 세워진 창경원이 시초이다. 창경원의 건물 일부가 철거되는 대신 일본식 정원, 동물원, 식물원, 벛꽃거리 등이 들어서면서 서울시민들의 휴양지로 각광받다가 고궁 복원을 위해1977년2월, ‘남서울대공원’의 명칭으로 대규모의 공원을 조성하여 창경원의 동물을 옮기는 계획이 발표되었다.[1]1978년에 서울시가 현재의 자리에 착공하여1984년5월 1일에 새로 문을 열었다.[2][3] 서울대공원 내의 동물원은2009년5월 1일부터 개원 100주년을 맞아 명칭을서울동물원(서울動物園, Seoul Zoo)으로 변경했다.

연혁

[편집]

시설

[편집]

서울동물원

[편집]

1984년5월 1일 개원한 동물원에는한국천연기념물황새,독수리,반달가슴곰이있고아시아코끼리,남부흰코뿔소,기린,피그미하마,하마,사자,시베리아호랑이,오랑우탄,고릴라,침팬지,맨드릴,뉴기니악어,나무늘보 등 비롯, 현재 296종(種) 2,372수(獸)의 동물을 사육하고 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고릴라,줄무늬하이에나,검은영양,피그미하마,맨드릴,아시아물소, 푸른찌르레기,화식조,뉴기니악어,말레이곰, 샤망,안데스콘도르,달마수리, 큰개미핥기, 물사슴, 아프리카흑따오기 를 볼 수 있는 곳이다.

식물원

[편집]

동물원이 개원(開園)한 이듬해인1985년5월 1일에 개원하였다.식물은 총 1,262종(種) 31,533본(本)이 있다.

운영과 관리

[편집]

서울대공원의 동물원, 식물원의 운영과 관리는서울특별시에서 하고 있으나 놀이시설인서울랜드는 주식회사서울랜드에서 하고 있다. 또한, 각 영역별로 입찰에 의한 민간위탁방식으로 운영되며 관리감독도 마찬가지로 주변영역별로서울특별시,과천시,한국마사회,국립현대미술관,한국철도공사,국방부 등이 나누어 하고 있다.

2010년1월 1일부터 만 6세 미만까지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4]

사건사고

[편집]

호랑이 사육사 습격

[편집]

2013년11월 24일 오전 10시 10분에 서울대공원의 수컷 시베리아호랑이 로스토프(3세)가 실내 방사장 문을 열고 나와 심재열(52세) 사육사의 목을 물어 사육사가 사망하였다.[5]

남방큰돌고래 방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3년 대한민국 남방큰돌고래 방사입니다.

2013년남방큰돌고래 중 건강상태가 양호한 제돌이가제주도 앞바다 자연으로 방사되었다.

우결핵으로 인한 남미관 동물 집단 안락사 및 은폐

[편집]

2021년부터2022년까지 남미관에서 발생한 우결핵으로 야외방사장의 모든 동물(이중 유일 보유종이었던 큰개미핥기, 아메리카테이퍼, 목도리페커리는 이 사건 이후로 국내에선 볼 수 없게 되었다.)을 안락사시키는 과정에서 1년동안 과도한 공포를 막는다며 이 사실을 은폐한 것이 큰 논란이 된 것이다.[6]

사진

[편집]
  • 겨울의 서울대공원 모습
    겨울의 서울대공원 모습
  • 여름의 서울대공원 저수지
    여름의 서울대공원 저수지
  • 케이블카(현대미술관앞)
    케이블카(현대미술관앞)

인접한 곳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서울 近郊에 자리잡을 매머드 南서울大公園, 《동아일보》,1977년2월 10일
  2. 서울大公園起工, 《경향신문》,1978년10월 30일
  3. 서울대공원 개원, 《동아일보》,1984년5월 1일
  4. 서울대공원 무료입장 내년부터 만4→6세 2009년 12월 21일 (연합뉴스)
  5. “호랑이에 물린 서울대공원 사육사 끝내 숨져”. 《연합뉴스》. 2013년 12월 8일. 
  6. 《SBS뉴스》. 2022년 9월 30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우결핵 '쉬쉬'…서울대공원 희귀동물 집단 안락사 lurl= (도움말);|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외부 링크

[편집]
본청 소속
소방재난본부
상수도사업본부
  • 서울물연구원
  • 수도자재관리센터
수도사업소
  • 중부
  • 서부
  • 동부
  • 북부
  • 강서
  • 남부
  • 강남
  • 강동
아리수정수센터
  • 광암
  • 구의
  • 뚝도
  • 영등포
  • 암사
  • 강북
시립병원
공원여가센터
  • 중부
  • 서부
  • 동부
  • 북부
도로사업소
  • 동부
  • 서부
  • 남부
  • 북부
  • 성동
  • 강서
물재생센터
  • 중랑
  • 난지
산하 기초자치단체
  • 종로구청
  • 중구청
  • 용산구청
  • 성동구청
  • 광진구청
  • 동대문구청
  • 중랑구청
  • 성북구청
  • 강북구청
  • 도봉구청
  • 노원구청
  • 은평구청
  • 서대문구청
  • 마포구청
  • 양천구청
  • 강서구청
  • 구로구청
  • 금천구청
  • 영등포구청
  • 동작구청
  • 관악구청
  • 서초구청
  • 강남구청
  • 송파구청
  • 강동구청
산하 공직유관단체
  • 서울특별시장은 장관급, 서울특별시 부시장(행정부시장은 국가직, 정무부시장은 지방직)은 차관급이다.[1]
  • 서울시립대학교 총장은 공립대학 총장으로 유일하게 장관급 예우(특1호봉)를 받는다.
가평군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
남양주시
부천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안성시
안양시
양주시
양평군
연천군
오산시
용인시
의왕시
이천시
파주시
전거 통제: 지리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대공원&oldid=39016114"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