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서아시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의 내용은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문서를 편집하여,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5월)
서아시아

서아시아(영어:Western Asia)는아시아의 서쪽 지방으로,유럽(지중해,에게해,흑해 반도)과아프리카(시나이반도 등) 대륙을 모두 접하는 길목이다. 현재중동의 일부로 분류된다. 유럽쪽으로는 아나톨리아 반도, 아프리카쪽으로는 아라비아 반도, 그리고 아시아 쪽으로는 인도양을 접하고 있다. 건조한 사막 지역으로 대부분 이루어져 있으며 원유가 많이 나오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북쪽으로캅카스(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남쪽으로 아라비아반도, 서쪽으로 이집트와 지중해, 동쪽으로 이란 고원과 중앙아시아에 접하고 있다. 주요 국가로는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튀르키예, 시리아,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레바논,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오만, 예멘, 바레인 등이 포함된다. 기후는 건조하고 사막 지대가 많으며, 일부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다.

세계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로,메소포타미아 문명(수메르,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페르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등이 존재했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가 모두 이 지역에서 탄생했으며, 현재도 강한 종교적 색채를 띠고 있다.

세계 최대 석유, 천연가스 매장 지역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UAE, 쿠웨이트 등의 산유국들이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걸프 협력회의(GCC) 소속 국가들은 두바이, 도하, 리야드 등에서 경제·금융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다. 튀르키예와 이란은 제조업과 농업이 발전했으며, 이스라엘은 첨단 기술 산업(IT, 바이오테크, 방산)이 강하다.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 이라크 전쟁, 시리아 내전, 이란-사우디아라비아 갈등 등 복잡한 지정학적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튀르키예와 이란은 지역 강국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며,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는 아랍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국, 러시아, 유럽 국가의 정부는 이 지역에서 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국가

[편집]
국명공용어수도면적Km²
튀르키예의 기튀르키예튀르키예어앙카라783,562
시리아의 기시리아아랍어다마스쿠스185,180
이란의 기이란페르시아어테헤란1,648,195
키프로스의 기키프로스튀르키예어·그리스어니코시아9,251
이스라엘의 기이스라엘히브리어예루살렘(정부 주장)·텔아비브(사실상)20,770
이라크의 기이라크아랍어・쿠르드어바그다드438,317
레바논의 기레바논아랍어・프랑스어베이루트10,452
사우디아라비아의 기사우디아라비아 아랍어리야드2,149,690
쿠웨이트의 기쿠웨이트아랍어쿠웨이트시티17,818
바레인의 기바레인아랍어마나마665
예멘의 기예멘아랍어사나(정부 주장)·아덴(사실상)527,968
팔레스타인의 기팔레스타인아랍어예루살렘(정부 주장)·라말라(사실상)6,020
요르단의 기요르단아랍어암만92,300
카타르의 기카타르아랍어·영어도하11,437
오만의 기오만아랍어무스카트212,460
아랍에미리트의 기아랍에미리트아랍어아부다비83,600
북키프로스의 기북키프로스튀르키예어니코시아3,355

때때로 포함되는 나라와 지역

[편집]

서아시아의 지역

[편집]

특징

[편집]

지형적으로 북부와 남부에 고원을 이룬 곳이 많으며, 그 사이에메소파타미아의 평야, 혹은 해안의 저지가 있다. 기온은 건조하며, 서아시아의 여름 평균 온도는 약 40도가 넘으며,아라비아의 사막 지역은 그보다 더 덥다. 하지만, 겨울엔 온도가 비교적 낮아 고산지역 같은 곳에선 적설을 볼 수 있다.강수량은 이라크로 따지면 연 140mm, 비가 많이 내리지 않아 사람이 사는 지역은 보통 강, 혹은 오아시스가 있는 곳이다. 그래서 옛날에는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이 매우 중요했다. 서아시아 지역 대부분은 건조지역이라 오랫동안유목이 발달했으나, 지금은 국경이 생겨 나라를 옮겨다니기 힘들어 유목민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 오아시스나 하천이 있는 데는 농업이 발달하기도 했으며, 지금은 건조 지역에 인공 수로로 물을 올려와 농사를 짓는다. 아라비아 사막은 석유가 많이 나 1980년대에는 이스라엘을 고립시키기 위해석유 파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에서 석유가 가장 많이 나며, 그 주변 국가도 석유 수출국 10위 내에 든다.

서아시아는 지리적으로 동양과 서양의 사이에 있어 과거에 침략의 대상이었다. 그래서페르시아알렉산드로스 대왕마케도니아 제국,바빌론 같은 거대한 제국은 서아시아에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서아시아는 역사가 매우 복잡하다. 서아시아는 이스라엘을 제외하고는 모두이슬람교를 믿는 아랍 국가다. 따라서 이스라엘은 제외하곤 공용어가아랍어다. (이스라엘은히브리어와 아랍어 둘 다 사용) 하지만, 이스라엘의예루살렘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의 공동성지다. 유대교는통곡의 벽이, 기독교는성묘 교회, 이슬람교는바위의 돔 사원이 있기 때문이다.사우디아라비아메카메디나는 이슬람 3대 성지라 예루살렘 바위 돔 사원과 같이 매년 수많은 무슬림이 순례를 다녀온다.

자연 환경

[편집]

지형은 대부분 사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표적인 사막은룹알할리 사막이 있다. 강으로는유프라테스강,티그리스강 등의 강이 있고 산맥은술라이만산맥,코페트산맥 등이 있다. 기후는 주로건조기후이며지중해 지역지중해성 기후를 띤다. 대부분의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50mm이하이며메소포타미아와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강 근처에는 약 250mm~700mm가 이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이다.

같이 보기

[편집]
서아시아의 나라와 지역
나라
때때로 포함되는 나라와 지역
서아시아의 지역
중동의 나라와 지역
중동 관련 지역
일반적 정의
북아프리카
비옥한 초승달 지대
(레반트메소포타미아)
아나톨리아
아라비아반도
이란고원
지중해
확장된 정의
(대중동 권역)
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뿔
중앙아시아
캅카스
아시아의 나라와 지역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북아시아
속령
미승인 국가
  1. 일부 영토가오세아니아에도 속한다.
  2.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국가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3. 일부 영토가유럽에도 속한다.
  4. 지리적으로는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유럽으로 분류한다.
  5. 일부 영토가아프리카에도 속한다.
  6. 중동 지역 이슬람 국가들의 조약 또는 합의에 의해 인정되고 있는 지역이며,국제 연합 옵서버 국가이다.
  7.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이다.
세계의 대륙과지역


지질학적초대륙 :곤드와나 · 로디니아 · 로라시아 · 우르 · 유라메리카 · 판노티아 · 판게아 · 컬럼비아


과거의 대륙 :아마조니아 · 북극대륙 · 아시아메리카 · 아틀란티카 · 아발로니아 · 발티카 · 심메리아 · 콩고 강괴 · 유라메리카 · 칼라하리아 · 카자흐스타니아 · 로렌시아 · 북중국 강괴 · 시베리아 · 남중국 · 동남극 · 인도 대륙


가라앉은 대륙 :케굴렌 고원 · 질랜디아 · 베링기아 · 카세이시아 · 도거랜드 · 얀마옌 소대륙 · 케르겔렌 소대륙 · 모리티아 · 사훌 대륙붕 · 세이셸 소대륙 · 순다 대륙붕 · 질랜디아


미래의초대륙 :판게아 울티마 · 아메이시아 · 노보판게아 · 오리카


전설상의 대륙 :아틀란티스 · 쿠마리 칸담 · 레무리아 · 메로피스 · 무 대륙 · 테라 아우스트랄리스 · 휘페르보레아

국제
국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아시아&oldid=40868262"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