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의 선조는 1370년대사마르칸트에서명나라로 귀순한 튀르크계 유목민들로, 티베트족과한족 및 후이족들과 통혼하였다. 이들은 명나라에서둔전을 일구었으며 지었으며, 티베트계 부족들로부터 간쑤성 국경을 방어하는 역할을 맡았다. 근대까지 유목 대신 농경이 경제 생활의 중심이었다.
살라르족의 전통의상은 이 지역의 다른 무슬림 민족들인후이족,둥샹족과 매우 유사하게 보인다. 남자들은 보통 수염을 기르고, 하얀 상의를 위에 입고, 흑 또는 백의 모자를 쓴다. 젊은 여인들은 중국식 밝은 색 계통의 옷을 입는 데 익숙해져 있고, 기혼녀는 흑백의 전통 베일을 쓴다.
살라르어는 크게 두 줄기의 방언그룹이 있다. 이러한 차이는 지리적인 영향으로 인해 중국과 티베트에 각각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곁가지는위구르어와카자흐어가 있다. 그러나 지금은 사라족 1/3 정도만 살라르어를 사용할 줄 안다.중국어 이외에도 많은 살라르족들이티베트어를 말할 줄 안다. 살라르어는 표기할 수 있는 문자를 가진 언어이지만, 좀처럼 사용되지 않는다. 살라르어는아제르바이잔어,튀르키예어와 매우 유사하다.
↑Han, Deyan (1999). Mostaert, Antoine, 편집. 번역 Ma Jianzhong and Kevin Stuart.“The Salar Khazui System”. 《Central Asiatic Journal》 2판 (O. Harrassowitz). 43–44: 212.
↑Evans-Pritchard, Edward Evan, 편집. (1972).《Peoples of the Earth: China (including Tibet), Japan and Korea》. 13 of Peoples of the Earth. Danbury Press. 142쪽.The Sa-la (also known as Salar) live in Hsun-hus Salar county of Tsing-hai, Hua-ling Hui Autonomous County of Tsing-hai, Lin-hsia ... Language group: Tibetan. ... Married women are mourned only by their husband's family, never by their 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