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사토 에이사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토 에이사쿠
佐藤 榮作
사토 에이사쿠(1964년)
사토 에이사쿠(1964년)
일본제61·62·63대 내각총리대신
임기1964년11월 9일~1972년7월 7일
전임:이케다 하야토(제58·59·60대)
후임:다나카 가쿠에이(제64·65대)

신상정보
출생일1901년 3월 27일(1901-03-27)
출생지일본야마구치현다부세정
사망일1975년 6월 3일(1975-06-03)(74세)
사망지일본도쿄
정당자유당 (1949 ~ 55)
자유민주당 (1955 ~ 75)
배우자마쓰오카 히로코
자녀2
서명
서훈1974년 노벨 평화상 수상

사토 에이사쿠(일본어:佐藤榮作,1901년3월 27일 ~1975년6월 3일)는일본의 정치인으로, 제61·62·63대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 전 수상기시 노부스케와는 친형제 관계이며, 전임 수상요시다 시게루와는 친인척 관계이다.

자유민주당에서 유일하게 4번이나 총재로 뽑혔으며, 총리 재임기간은 역대 총리중 2위, 연속 재임기간은 역대 총리중 가장 긴 7년 8개월(2,798일)이라는 최장수 재임 기록을 세웠다.[주 1] 퇴임 후1974년에 "핵무기를 만들지도, 갖지도, 반입하지도 않는다"라는비핵 3원칙을 내세운 공로로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뒤로는 비밀리에 독일에 핵무기 공동개발의사를 타진했다.[1]

어린 시절과 정치 경력

[편집]

사토는1901년3월 27일야마구치현다부세정에서 태어나도쿄 제국 대학에서독일의 법을 수학하였다.1923년 그는 최상급공무원 시험을 통과하였고, 졸업을 앞둔 이듬해철도성 공무원이 되었다. 그는1944년부터1946년까지오사카의 철도 국장,1947년부터1948년까지교통성의 부대신을 지냈다.

제4차 요시다 내각에서 (3번째 줄 왼쪽에서 2번째가 건설대신 사토)

1949년 자유당원으로서일본 국회에 입문하였다.

그는1951년7월부터1952년7월까지 우정대신을 지냈다. 사토는 일본 정치의 거물들을 통하여 점차 자라나1953년1월부터1954년7월까지 당시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주요 내각 서기관이 되었다. 그는1952년10월부터1953년2월까지 건설대신을 지냈다.

자유민주당을 형성하기 위해 자유당이일본 민주당과 합병되었을 때 사토는1957년12월부터1958년까지6월까지 당의 행정 의회의 의장을 지냈다. 사토는 자신의 형기시 노부스케이케다 하야토 내각들에서 대장대신이 되었다.

1961년7월부터1962년7월까지 사토는 통상대신을 지냈다.1963년7월부터1964년6월까지 동시에 그는홋카이도 개발청과학기술원의 우두머리였으며,1964년 도쿄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환경청 장관을 지내기도 하였다.

총리 재임

[편집]
오키나와의 귀환을 위하여닉슨과 협상한 사토 총리

이케다 총리가 건강 악화로 인하여 사임을 한 후, 사토는 그를 총리로서 뒤를 이었다. 그의 정부는 많은 이들보다 더욱 장기간 동안 집권하였다. 그는 번창하는 경제로 인하여 인기 있는 총리였고미국중국의 이해관계 속에서 균형을 이루며 결단력 있는 외교 정책을 펼쳤다.

총리로서 3개의 임기 후에 사토는 더 이상 4선을 위하여 나가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그의 후임인후쿠다 다케오가 다음의 국회 선거에서 사토파의 후원을 이겼으나 더욱 인기 있는 통상대신다나카 가쿠에이가 투표를 이겨 사토파의 지배를 끝냈다.

중화인민공화국과 타이완과의 관계

[편집]

사토는 자신의 임기 중에타이완을 방문한 마지막 일본 총리이다.1965년 사토는 타이완에 미국의 1만 5천 달러를 대부하는 데 찬성하였다. 그는1967년 타이완을 방문하였다.1969년 사토는 타이완의 국방이 일본의 안정을 위한 필요성이라고 주장하였다. 사토는 대부분의 주요 논쟁들에서 미국을 따랐으나닉슨의 방중을 반대하였다. 그는 또한1971년중화인민공화국유엔 가입을 가혹하게 반대하기도 하였다.

핵무기 정세

[편집]

사토는핵무기의 비생산, 비소유와 비전개를 의미한1967년12월 11일 3개의 비핵 3원칙을 소개하였다. 사토의 총리 재임 동안에 일본은 핵무기 비확산 조약에 참여했다. 일본 국회는1971년 정식으로 원칙들을 채택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 공로로 그는1974년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다.

하지만 최근의 조사들은 이면에 사토가 일본 국토에 핵무기들을 배치하는 미국의 계획들로 더욱 수용한 것으로 본다.2008년12월, 일본 정부는1965년1월 사토의 미국 방문 중에 그가 미국의 공무원들과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항하는 핵무기 사용의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었다고 보인 문서를 배제하였다.2009년12월, 그의 아들은 자신의 부친이 일본의 주권으로 되돌린오키나와에 핵무기 탄두를 배치시키는 것을 허용한1969년11월닉슨 미국 대통령과 대화에서 동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오키나와 논쟁들

[편집]

제2차 세계 대전 이래 오키나와는 미국에 의하여 점령되었다.1965년1월, 미국을 방문하는 동안에 사토는 공공연하게존슨 대통령에게 오키나와를 일본에 반환할 것을 요청하였다. 그 해8월 사토는 오키나와를 방문한 첫 전쟁 이후의 일본 총리가 되었다.

1969년, 사토는 오키나와를 반환하고 거기서 핵무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닉슨 대통령과 거래를 취하였으며, 이 거래는 반환 후에 오키나와에서 기지들을 유지하도록 미군을 허용하였기 때문에 논란이 있었다. 오키나와는 정식적으로1972년5월 15일 일본에 반환되었다.

동남아시아와 관계

[편집]
필리핀 방문 중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과 함께

사토의 임기 중에 일본은1966년아시아 개발 은행 설립에 참가하였고 동남아시아의 경제 개발에 장관급 회의를 개최하였다. 그 일은 전쟁 후의 기간에 일본 정부에 의하여 개최된 첫 국제 회의였다.1967년 그는싱가포르를 방문한 첫 일본 총리가 되었다. 그는베트남 전쟁이 일어나는 동안에남베트남 정부의 큰 지지자였다.

후반의 생애

[편집]

사토는1974년숀 맥브라이드와 함께 노벨 평화상을 나누었다. 그는 평화를 위한 일본 국민의 결심과 비핵 3원칙에 조인함으로 수상하였다. 그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첫 아시아인이었다. (1973년 베트남의 정치인레득토는 상을 수상할 첫 아시아인이 되었으나 거절하였다.)

서거

[편집]

1975년5월 19일, 식당에 있는 동안에 사토는혼수상태의 결과를 가져온 큰 발작을 일으켰다. 그는 74세의 나이로6월 3일 지케이 대학 의료소에서서거하였다. 장례식 후에 그의 유해는 다부세 정에 있는 가족 묘지에 안치되었다.

기시 노부스케와 사토 에이사쿠 형제

개인 생활

[편집]

사토는1926년 외교관마쓰오카 요스케의 딸 히로코와 결혼하여 2명의 아들 - 류타로와 신지를 두었다.1969년아사히 신문은 소설가엔도 슈사쿠와 인터뷰에서 사토의 아내가 그를 방탕자와 아내를 패는 사람으로 고발하였다고 한다.

그의 취미들은골프,낚시다도를 포함하였다. 57대 총리 기시 노부스케는 그의 형이며, 총리아베 신조는 그의 외종손이다.

사토 총리와 부인 히로코는 모두사무라이의 자손들이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내용주

[편집]
  1. 그러나 제90·96·97·98대 내각총리대신인 아베 신조가 2020년 8월 24일 재임기간을 2,799일로 역대 최장수 재임기간을 기록하면서 타이틀을 빼앗겼다.

참조주

[편집]
  1. "1960년대 日 핵무기 개발 검토". 2016년 6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사토 에이사쿠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전임
이케다 하야토
제61·62·63대일본 내각총리대신
1964년11월 9일 ~1972년7월 7일
후임
다나카 가쿠에이
전임
이케다 하야토
제5대자유민주당 총재
1964년 12월 1일 ~ 1972년 7월 5일
후임
다나카 가쿠에이
일본 제국
1868~1947
메이지 시대
1885~1912
다이쇼 시대
1912~1926
전전쇼와 시대
1926~1947
일본국
(내각법 규정)
전후 쇼와 시대
1947~1989
헤이세이 시대
1989~2019
레이와 시대
2019~
※1885년에 내각 제도가 창설됐으며, 시대 교체와 총리 유임을 반영하여 작성한다.
(출처: 역대 내각 - 총리대신 관저 홈페이지)
문부경
문부대신
국무대신 과학기술청장관
일본의 문부과학대신
일본 제국 대장경
(1868년 ~ 1885년)
일본 제국 대장대신
(1886년 ~ 1945년)
일본국 대장대신
(1945년 ~ 2000년)
일본국 재무대신
(2001년 ~ 현재)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학·의학상
문학상
평화상
1901 – 1925
1926 – 1950
1951 – 1975
1976 – 2000
2001 – 현재
← 1974년노벨상 수상자 →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학·의학상
문학상
평화상
경제학상
역사
1950년대:
55년 체제의 성립과
사회보장제도의 도입
55년 -하토야마 이치로
56년 -이시바시 단잔
57년 -기시 노부스케
1960년대:
고도경제성장
요시다 학교의 계보
60년 -이케다 하야토
64년 -사토 에이사쿠
1970년대:
삼각대복중과
어둠의 장군
72년 -다나카 가쿠에이
74년 -미키 다케오
76년 -후쿠다 다케오
78년 -오히라 마사요시
1980년대:
‘화의 정치’와
‘전후 정치의 총결산’
80년 -스즈키 젠코
82년 -나카소네 야스히로
87년 -다케시타 노보루
89년 -우노 소스케
89년 -가이후 도시키
1990년대:
야당 전락과
경세회의 지배
91년 -미야자와 기이치
93년 -고노 요헤이
95년 -하시모토 류타로
98년 -오부치 게이조
2000년대:
청화회의 지배와
야당 재전락
00년 -모리 요시로
01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06년 -아베 신조
07년 -후쿠다 야스오
08년 -아소 다로
09년 -다니가키 사다카즈
2010년대:
정권 재복귀와
일강다약의 시대
12년 -아베 신조
2020년대
20년 -스가 요시히데
21년 -기시다 후미오
24년 -이시바 시게루
25년 -다카이치 사나에
파벌
보수본류
굉지회,지공회(굉지회계)
굉지회(이케다파 → 마에오파 → 오다이라파 → 스즈키파 → 미야자와파 → 가토파), ※대용회(고노파 → 위공회(아소파) → 아소파에 합류×),지공회(아소파), ※굉지회 (다니가키파)(오자토파 → 다니가키파 → 고가파에 합류×),굉지회 (고가파)(호리우치파 → 니와·고가파 → 고가파),굉지회(고가파 →기시다파),유린회(다니가키 그룹)
헤이세이 연구회(목요연구회계)
목요 클럽(사토파),주산회(사토파), 주산 클럽(호리파 → 후쿠다파에 합류×), ※칠일회(다나카파), 정치동우회(다나카파),목요 클럽(다나카파 → 니카이도파 → ×), ※경세회(다케시타파 → 오부치파), ※개혁포럼21(하타·오자와파 →신생당에 합류×), 헤이세이 정치연구회(오부치파),헤이세이 연구회(오부치파 → 하시모토파 → 쓰시마파 → 누카가파 → 다케시타파 →모테기파)
수요회(오가타파 → 이시이파 → ×)
백정회
백정회(오노파), 목정회(오노파), 일신회(후나다파 → ×), ※일양회(무라카미파 → 손회(미즈다파 → ×))
보수방류
십일회(기시파 → ), 당풍쇄신간화회(후쿠다파), 당풍쇄신연맹(후쿠다파), ※애정회(후지야마파 → 미즈다파에 합류×), ※(난조·히라이파 → 후쿠다파에 합류×), ※교우구락부(가와시마파 → 시나파 → ×)、기미정회(후쿠다파), 팔일회(후쿠다파), 청화회(후쿠다파 → 아베파 → ), ※정진회(가토파 → 신생당에 합류×), 청화회(미쓰즈카파), 21세기를 생각하는 모임·신정책연구회(미쓰즈카파), ※(가메이 그룹 → 무라카미·가메이파에 합류×), 21세기를 생각하는 회·신정책연구회(미쓰즈카파 → 모리파),세이와 정책연구회(모리파 → 마치무라파 → 호소다파 →아베파)
춘추회(고노파 → 모리파 → 소노다파 → 후쿠다파에 합류×), ※신정동지회(나카소네파),정책과학연구소(나카소네파 → 와타나베파 → ), ※근미래정치연구회(야마사키파 →이시하라파), ※최고다 일본(아마리 그룹), 정책과학연구소(무라카미파),지수회(무라카미·가메이파 → 에토·가메이파 → 가메이파 → ), ※국익과 국민의 생활을 지키는 모임(히라누마 그룹 →일본의 마음에 합류×),지수회(이부키파 →니카이파)
정책연구회계
정책연구회(마쓰무라·미키파), 정책동지회(마쓰무라・미키파), 정책간담회(마쓰무라・미키파 → ), ※(마쓰무라파 → ×), 정책간담회(미키파), ※(하야카와파 → 후쿠다파에 합류×), 신정책연구회(고모토파),반초 정책연구소(고모토파 → 고무라파 → 오시마파 → 산토파 → 아소파에 합류×)
화요회(이시바시파), 이일회(이시다파 → 미키파에 합류×)
청람회
청람회,자유혁신동우회(나카가와 그룹 → 이시하라 그룹 → 후쿠다파에 합류×)
보수신당
보수신당,새로운 물결(니카이파 → 이부키파에 합류×)
83회
83회,새로운 바람(다케베 그룹),전통과 창조의 회(이나다 그룹)
수월회
무파벌연락회,무파벌유지의 모임, 고사리새싹회(이시바 그룹 →수월회(이시바파)),노조미(야마모토 그룹),키사라기카이(하토야마 그룹 →스가 그룹)
무파벌
※는 파벌 이탈, 볼드체는 현존 파벌, 괄호 안 화살표는 파벌 계승.
기구
제도
집행부
조직
관계
정당간 협력
분파정당
합류정당
원류
일본자유당
일본진보당
일본협동당
(호국동지회 → )일본협동당협동민주당국민협동당 → 민주당과 합동하여 국민민주당 결성
단체
지원단체
지지단체
일본행정서사정치연맹 -일본사법서사정치연맹 - 전국토지가옥조사사정치연맹 - 일본공인회계사정치연맹 - 전국사회보험노무사정치연맹 - 일본주조조합연합회 -일본증류주주조조합 -맥주주조조합 -일본양주주조조합 - 전국도매주판조합중앙회 - 전국소매주판정치연맹 - 전국담배판매정치연맹 -전국담배경작조합중앙회 - 전사학연합회 -전일본사립유치원연합회 -전국전수학교각종학교총연합회 -전일본교직원연맹 -일본사립중학고등학교연합회 - 사단법인전국교육문제협의회 - 전국골프관련단체협의회 - 사립유치원경영자간담회 - 전국사립소중고등학교보호자회연합회 -신도정치연맹 -재단법인 전일본불교회 -천태종 -코야산 진언종 -진언종 지산파 -진언종 풍산파 -정토종 -정토진종 혼간지파 -진종 오오타니파 -임제종 묘신지파 -조동종 -일련종 -이너트립 이데올로그 리서치센터 -숭교 참빛 -입정교성회 -불소호념회교단 -묘지회교단 -신생불교교단 -송록신토 야마토산 -세계구세교 -일본의사연맹 -일본치과의사연맹 -일본약제사연맹 -일본간호연맹 -일본제약단체연합회 - 일본보육추진연맹 -일본유도정복사회 - 일본치과기공사연맹 - 전국개호정치연맹 - 전국여관정치연맹 -전국음식업생활위생동업조합연합회 - 전일본미용생활위생동업조합연합회 - 전국클리닝업정치연맹 - 환경보전정치연맹 - 일본환경보전협회 -일본조원조합연합회 - 전국빌딩메인터넌스정치연맹 - 전국상공정치연맹 - 전국석유정치연맹 - 전국LP가스정치연맹 - 일본상공연맹 - 전국중소기업정치협회 - 전국상점가정치연맹 - 사단법인 일본조사업협회 - 사단법인 전일본댄스협회연합회 -전국농업자농정운동조직협의회 - 21전국농정추진동지회 - 일본삼림조합연합회 - 사단법인 전국임업협회 - 일본낙농정치연맹 - 전국축산정치연맹 -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 -대일본수산회 -일본자동차공업회 -일본중고자동차판매협회연합회 -일본자동차판매협회연합회 - 일본자동차정비진흥연합회 - 일본항만공항건설협회연합회 - 일본자동차정비진흥会연합회 -사단법인 전일본트럭협회 - 동일본토키와회 미야기현지부 - 21텔레콤회의 -전국토지개량정치연맹 - 일본항만공항건설협회연합회 - 사단법인 전국건설업협회 -사단법인 일본건설업단체연합회 - 사단법인 일본토목공업협회 - 사단법인 건축업협회 - 사단법인 일본건설업경영협회 - 사단법인 전국중소건설업협회 -사단법인 일본도로건설업협회 - 사단법인 일본교량건설협회 - 사단법인 건설컨설턴츠협회 - 사단법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건설업협회 - 사단법인 건설산업전문단체연합회 - 사단법인 일본연공업연합회 - 사단법인 일본조원건설업협회 - 사단법인 전국건설업산업단체연합회 - 사단법인 전국측량설계업협회연합회 - 사단법인 전국지질조사업협회연합회 - 사단법인 전국착정협회 - 사단법인 건설전기기술협회 - 일본하수컴포스트협회 - 사단법인 전국도로표식・표시업협회 - 사단법인 전국철구공업협회 - 사단법인 일본건설구체공사업단체연합회 - 사단법인 일본도장공업회 - 일반사단법인 일본프리패브주차장공업회 -사단법인 부동산협회 - 전국부동산정치연맹 - 전일본부동산정치연맹 - 사단법인 주택생산단체연합회 - 전국생콘크리트공업조합연합회 - 군은연맹전국협의회 - 일본상이군인회 - 사단법인 일본향우연맹
국제
국가
학술
인물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토_에이사쿠&oldid=40197059"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