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부산광역시

좌표:북위 35° 10′ 46″동경 129° 04′ 32″ / 북위 35.17944° 동경 129.07556° /35.17944; 129.07556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산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부산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부산광역시
釜山廣域市
광역시
시기상징마크
슬로건
행정
국가대한민국대한민국
행정 구역15구 1군
청사 소재지부산광역시연제구중앙대로 1001
단체장박형준(국민의힘)
지리
면적771.3 km2
해발25 m
인문
인구3,246,304명(2025년 10월[1]년)
인구 밀도4,238.29명/km2
지역어동남 방언(동남부)
상징
시목동백나무
시화동백꽃
시조갈매기
시어고등어
마스코트부기
표어부산 먼저 미래로, 그린스마트 도시 부산
지역 부호
우편번호46000~49528
지역번호051
ISO 3166-2KR-26
웹사이트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영어:Busan Metropolitan City)는한반도 남동부에 위치한광역시이다.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자영남권의 중심 도시이며, 대한민국 최대의해양 도시로서부산항을 중심으로 해상무역과 물류 산업이 발달하였다.일본과는대한해협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다.시청 소재지는연제구연산동이며,행정구역은 15 1이다.

부산의 역사는동래부산포의 두 지역으로부터 유래하였다.통일신라 시대부터동래군이 설치되었으며,임진왜란 당시에는 첫 전투인부산진 전투동래성 전투가 벌어졌다. 조선 후기에는 일본인의 통상교류가 이루어지는왜관이 자리한 고을이자조선 통신사의 출발지였다. 1876년강화도 조약으로인천,원산과 함께 처음으로 개항한 도시였으며,부산항의 정비와 함께 본격적인 항구도시로 발전했다.

6.25 전쟁 당시 임시 수도로서의 역할을 하였으며, 공업과 무역시설의 발전과 함께 1963년 정부 직할시를 거쳐 1981년 부산직할시 (현 광역시)로 승격되었다. 21세기 들어2002년 FIFA 월드컵2002년 아시안 게임, 2005년APEC 정상회담 등의 국제행사를 유치하였으며, 대한민국의 대표 국제영화제인부산국제영화제가 개최되고 있다.

지명

[편집]

유래

[편집]

태종실록》(1431년)에 富山이라는 이름이 처음 보이며[2] 《경상도지리지》(1425년) ,《세종실록》 〈지리지〉(1454년), 경상도 속찬 지리지(1469년) 따위에 “동래부산포”라 하였고, 1471년 편찬된신숙주해동제국기에도 “동래지부산포”라 하고, 같은 책 삼포왜관도에도 “동래현 부산포”라는 기록이 있다. 이때 부산포는 “부자 富”를 썼다.1470년(성종 1년) 12월 15일의성종실록에 釜山이 처음 나타나는데, 1474년 4월남제가 그린 부산포지도에는 여전히 富山이라 쓰고 있어 이 시기는 두가지 표기가 같이 쓰였다. 그러나 이후 기록은 부산포(釜山浦)로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부산의 지명 변천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동국여지승람(1481년)이 완성된 15세기 말엽부터, 釜山이라는 지명이 일반화 된 것으로 추정된다.

1481년(성종 12)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 산천조에 보면, “釜山은 동평현(오늘날 당감동 지역이 중심지였음)에 있으며 산이 가마꼴과 같으므로 이같이 일렀는데, 그 밑이 곧 부산포이다. 항거왜호가 있는데 북쪽 현에서 거리가 21리다.”라고 하여 산 모양이 가마꼴과 같아 부산(釜山)이라고 하였다. 그 후 기록들은 이를 그대로 인용하여 釜山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즉, 동래부지(1740년) 산천조에 “부산은 동평현에 있으며 산이 가마꼴과 같으므로 이 같이 일렀는데 밑에 부산, 개운포 두 진이 있고, 옛날 항거왜호(恒居倭戶)가 있었다.”라고 하였고, 동래부읍지(1832년)에도 같은 내용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같은 사실로 미루어 보아 동국여지승람 편찬 이전에는 富山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어 오다가 이후 어느 시기에 釜山이라는 이름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1643년(인조 21년)에통신사 종사관으로일본에 건너간신유해사록에 실려 있는 “등부산시”(登釜山詩)에 “산 모양이 도톰하여 가마와 같고 성문이 바다에 임하여”라고 한 구절이 나온다. 이때부산진성은 오늘날동구 좌천동 북쪽의 증산을 둘러싸고 있는정공단 자리에 성문이 있어 성문 바로 아래가 바다와 접해 있었으므로 이 시문에 나오는 산은 좌천동의 증산(甑山)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18세기 중엽에변박이 그린 “왜관도”를 보면 이 증산을 점초(点抄)하여 “부산고기”(釜山古基)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 외에도 동구 수정동에서 산을 넘어 부산진구 가야동으로 통하는 고개를 “가모령”이라고 한다. 이 가모(可牟)·감(枾)은 가마를 즉 “가마”(釜)를 뜻하는 것으로 가모령·감(枾, 嶺)은 한국의 방언을 한자로 차용한 것으로 가마재·가마고개(釜峙), 즉 부산재(고개)를 뜻한다. 그리고 고로(古老)들은 증산을 시루산이라고 하는데 시루(甑)와 가마(釜)는 같은 취기(炊器)로 금속성의 가마가 나오기 전에는 동일한 구실을 하였던 것이다. 이상의 사실들을 종합하여 볼 때 "산이 가마꼴(釜形)과 같다"라고 한 가마꼴의 산은 오늘날 동구 좌천동 뒤에 있는 증산(甑山)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3]

영문 표기

[편집]

부산의 영문표기는 Pusan으로 쓰였으나 2000년7월 7일문화관광부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고시에 따라 Busan으로 바뀌었고, 이후 P와 B가 혼재돼 쓰이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에 2012년 부산시는 도시 브랜드 'Busan'의 홍보에 어려움이 많다는 이유를 들어 명칭 변경 협조를 구하게 되었으나, 여전히 Pusan 지명을 쓰는 단체들은 이미 각인돼 고유명사처럼 쓰이는 표기를 바꾸는 데 난색을 표하고 있다.[4]

역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부산광역시의 역사입니다.

성읍국가 시기에 거칠산국과 가야국

[편집]

부산 지역에는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무리지어 살기 시작했다.삼한시대에는 지금의동래남구 등지에는 "거칠산국"이,기장,해운대 등지에는 "장산국", "내산국"이 있었고서면이나남포동 등지에는 "가락국" 등의 부족국가가 있었다. 그러다삼국시대신라는 서기1세기 후반인탈해 이사금 때에 기장의 장산국과 거칠산국을 점령하게 된다.

부산포 일대에는가야의 종발성이 세워져신라가야의 각축장이 되었다.내물마립간 대인 서기 400년경에 가야가 백제, 왜와 연합하여신라를 침공했다가광개토대왕고구려군에게 대패하여 패망하자 부산 전역이 신라의 영역에 편입되었다. 옛거칠산국은 거칠산군이 되고 종발성은 "큰 시루"라는 뜻의 대증현(大甑縣)이 되었다.남북국 시대757년경덕왕에 의한 행정개편으로 거칠산군은양주(현재양산시) 소속의 동래군으로 개칭되었다. 대증현은 동평현(東平縣)으로 개명되어 기장현(機張縣)과 함께 동래군의 관할현이 되었다.

Daedongyeojido (Gyujanggak) 18-02.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18-01.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19-02.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19-01.jpg
대동여지도》의 동래·기장과 그 주변

고려시대

[편집]
 고려의 행정 구역 § 목(牧)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고려 시대인 1018년동래군이 동래현으로 격하되고울주속현이 되며 동래군의 속현이던 동평현은 양주(良州)의 속현이 되었다.만덕사가 건립되는데, 당시의 만덕사가 현재의범어사를 능가하는 화려하고 큰 규모의사찰임을 알 수 있다.[5]

조선시대

[편집]

조선태조 6년[6]인 1397년 동래군에 진이 설치되었다. 1405년 울주의 속현이었던 동래현이 독립현이 되고 양주의 속현이었던 동평현이 동래의 속현이 되었다. 15세기 전반까지 부산은 ‘부산포’로 불렸다. 동래는 1547년 동래도호부로 승격이 되었다.

1592년 울산 개운포에 있던경상좌수영을 동래부 남촌면(현재 수영동)으로 옮겼다. 그해 4월 발발한임진왜란에서 가장 먼저 일본군을 맞이한 지역으로서부산진 전투동래성 전투가 벌어졌고, 각각정발송상현이 지휘를 맡으며 조선군과 주민들의 격렬한 저항을 벌였으나 압도적인 병력차로 패했다.[7]

1592년 9월 1일에는이순신부산포 해전(부산 해전)으로 승리를 거두었고, 이듬해 1593년부터는 조선 수군의 봉쇄와 의병의 육상 보급로 차단,조명연합군의 반격으로 일본군이남해안 일대로 후퇴하며왜성을 쌓았는데,[8] 부산 지역에는부산왜성,증산왜성,구포왜성 등이 축성되어 현재까지 그 흔적이 남아 있다.[9] 전쟁이 끝난 뒤에는 부산진이조선 통신사의 출항지로 활용되었으며, 일본인의 무역항이자 집단거주지로서왜관이 설치되었는데 1607년에는부산진 서남쪽에 두모포 왜관이, 1678년에는초량왜관이 개설되었다.

개항기

[편집]

1876년조일수호조규에 의해 조선이 강제 개항되었을 때,인천,원산과 함께 개항되었고,왜관은 일본인 거류지가 되었다. 부산은 1877년 1월 《부산구거류지약조》의 체결로 일본이 일본인들의 보호관리 및 통상사무의 관장을 위해 관리관을 파견하면서부터일본의 영향을 받기 시작하였다.

1880년, 일본은영사관을 정식으로 설치하고 일본 거류지를 조성하였다. 일본은 일본인 가구가 200여 호밖에 안 되던 때부터 장기적으로 도로망을 계획하고 가옥 구조를 규제했으며, 1880년대에 일본은 철도 부설을 위한 측량까지 모두 마치고 식민 통치의 교두보를 마련하였다. 부산은 개항 후 10년도 안 되는 짧은 기간 안에 일본의 도시처럼 변했고 소수의 일본인들에 의해서 지배되는 도시로 되어갔다.[10]

1895년 6월 23일(음력 5월 1일) 동래부(東萊府) 동래군이 되었고, 이듬해 1896년 8월 4일경상남도 동래군으로 개편되었다. 이후부산항이 무역항으로 정비되면서 항구도시로써 발전하게 된다. 1905년에는경부선이 개통함과 함께부산역이 개업했다.

부산부 휘장
1900년대 초의 부산항

일제강점기와 해방

[편집]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에부산부(釜山府)는 부산부와 동래군으로 분할되었고 동시에 외곽의 기장군이 동래군으로 편입되었다. 1925년 4월 1일에는경상남도청진주에서 부산 아미동으로 이전되었다. 1936년 동래군서면(현 부산진구 일대)과 사하면 일부가 부산부에 편입되었고, 1942년 동래군 동래읍(현 동래구), 사하면, 남면, 그리고 북면 일부가 부산부에 편입되었다.

1930년경 변천정(현광복동 거리)

1949년 8월 15일(府)를(市)로 개칭하면서 부산시로 개칭되었다.

피난 수도 부산

[편집]

1950년한국 전쟁이 발발하고서울이 함락되면서, 부산은 1950년부터 1953년까지 대한민국 임시수도가 되었다. 전쟁을 피해 많은 피란민이 유입되어 인구가 급증했고, 1963년 1월 1일경상남도 관할에서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명칭이 '부산직할시'가 아니라 그냥 '부산시'였고, 단지 정부 직할이기 때문에 앞에 경상남도만 붙지 않았을 뿐이었으며, 1981년이 되어서야 공식적으로 부산직할시로 불리게 되었다(1963년 1월 1일 이후, 각 신문사에서는 부산직할시로 표기했는데 무슨 비공식적으로 표기했다고 하는지). 다만 당시의 신문 기사 등을 살펴보면 비공식적으로는 부산직할시라는 명칭도 통용(부산시(장)나 부산직할시(장) 다 표기해야 통용이라는 말이고 언론이나 방송에서 부산직할시(장)으로 표기 및 방송 나갔는데)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11] 즉 '직할시'이기는 하였으나 '부산직할시'는 아닌 과도기의 명칭으로, 이 시기를 부산직할시로 표기하는 것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근래 들어서는, 경상남도 산하 시절과 정부 직할기를 구별하기 위하여 앞에 '정부 직할'을 괄호 병기하여 '(정부 직할) 부산시'로 표기하는 추세이다.

1978년2월 15일낙동강 서쪽의김해군 대저읍, 명지면이 부산시에 편입되었다. 1981년 4월 4일 지방행정에 관한 임시조치법 개정으로 법령상 공식적으로 '부산직할시'의 명칭을 얻게 되었다.[12] 1989년 1월 1일김해군 녹산면, 가락면이 부산직할시강서구에 편입되었다. 1994년 12월 20일 지방자치법이 재개정됨에 따라 1995년 1월 1일자로 직할시가 광역시로 일괄 개칭되어 부산직할시에서 부산광역시로 개칭되었다.[13] 1995년양산군 기장읍,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이 부산으로 편입되어기장군이 신설되었다.

1996년부터부산국제영화제를 열었다. 1999년에 시청사가중구에서연제구로 이전하였고, 시청 주변으로 법원·검찰청 등의 관공서도 이전하였다.2002년 FIFA 월드컵,2002년 아시안 게임이 열렸고, 2005년 11월 18일에는APEC 정상회담을 개최하였다.

2010년대의 부산은 교통 인프라 확충과 도시 개발, 그리고 국제 행사를 통한 도시 브랜드 제고가 주요한 흐름이었는데,2011년부산–김해경전철이 개통되어 부산과 김해를 잇는 광역 교통망이 구축되었으며,2013년에는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착공으로 해양 물류 중심지로서의 위상이 강화되었다.2014년에는동해선 광역전철(부전–일광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고,2016년부터는 서부산권 개발이 본격화되어에코델타시티 및 신항만 배후단지가 조성되었다.2017년에는 해운대 엘시티(LCT) 랜드마크타워가 준공되어 부산의 스카이라인에 상징적 변화를 가져왔다.2018년동해선전철이 울산까지 연장되면서 부산·울산·경남을 연결하는 광역 교통 체계가 확립되었다.

국제 행사의 측면에서는부산국제영화제가 아시아 대표 영화제로 확고히 자리매김하였으며,2014년 ITU 전권회의,2016년세계교육포럼 등 다양한 국제회의가 개최되었다. 특히2019년에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개최되어, 부산이동남아시아와의 교류 중심지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2020년대에 들어 부산은 미래지향적 도시 비전과 국제무대 도전이 두드러졌다.2020년에는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부산국제영화제를 비롯한 주요 행사가 온라인 또는 축소 개최되었다.2021년에는가덕도 신공항특별법이 통과됨으로써 동북아 관문 공항 건설이 본격화되었다.2022년에는 2030 세계박람회(EXPO) 유치를 공식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부산은 도시 외교에 적극 나섰다.2023년에는부산항 북항 재개발 1단계 사업이 진행되어 국제비즈니스와 친수공간을 갖춘 신도심 조성이 시작되었다. 그러나2024년11월 부산은2030 세계박람회 유치 경쟁에서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에 패배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산은 여전히 해양·문화 중심의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장기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교통 및 도시 인프라 부문에서는강서구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조성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는 수자원 관리와 에너지 효율을 기반으로 한 첨단 도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울산·경남과의 연계 속에서 동남권 메가시티 구상이 확대되고, 이에 따라 광역 경제 및 교통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지리

[편집]

한반도 동남부에 위치하며대한해협을 사이로일본과 마주하고 있다. 시청을 기준으로 일본과의 직선거리는쓰시마섬까지는 49.5km, 일본 본토의후쿠오카까지는 약 180km이며, 이는서울까지의 직선거리인 325km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가까운 거리이다. 서쪽으로낙동강 하류의선상지김해평야, 북쪽으로금정산, 동쪽으로는동해, 남쪽으로는남해가 위치한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서쪽으로경상남도김해시·창원시 진해구, 북쪽으로는양산시, 동북쪽으로는울산광역시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총 면적은 769.82km2이다.

경상남도 김해시경상남도 양산시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동해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거제시남해대한해협

지형

[편집]

부산의 지형은 크게 동부의 구릉성지대와 서부의 평야지대로 대별할 수 있다. 동부는 대부분 해발 300 ∼ 700m의구릉으로부산항을 병풍처럼 감싸고 있다. 해안은리아스식 해안으로 해안선이 복잡하며, 해안평야가 발달하지 않아 평탄면이 협소하다. 김해에서 부산으로 편입된김해평야는 낙동강 하구에 발달한삼각주로 오랫동안 낙동강 상류에서 운반되어 퇴적된 평균 60m 이상의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경작지로써의 생산성이 매우 높은충적 평야이다. 지금도 낙동강류와 연안류에 의해 사주(砂州)가 해안선을 따라 발달 중에 있다.

부산이라는 이름 자체도가마솥을 닮은 산이 많아 지어졌을 정도로 도심 안에 산이 많다. 산을 경계로 여러 생활권으로 도시가 분리되어 있다.해운대서면남포동을 잇는중앙대로 일대가 도심이 되며,동래,사상,구포,하단 등이 부도심이 된다.

하천으로는온천천,대천천,학장천,좌광천, 동천, 동삼해수천, 괴정천,지사천,평강천, 대연천,수영강, 운수천, 확장천, 초량천이 있으며,온천으로는허심청, 녹천탕, 벽초온천, 금정산온천, 금정산부곡온천, 천일온천, 대성탕, 현대온천, 중앙온천, 금천파크온천, 센텀스파랜드, 대영온천, 덕구온천 등이 있다.

기후

[편집]
부산의 기후 도표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35
 
8
-0
 
 
50
 
10
2
 
 
90
 
14
5
 
 
141
 
18
10
 
 
156
 
22
15
 
 
188
 
25
18
 
 
327
 
28
22
 
 
267
 
30
24
 
 
161
 
26
20
 
 
80
 
23
15
 
 
50
 
17
8
 
 
34
 
10
2
기온 단위:섭씨(℃)
강수량 단위:밀리미터(mm)
출처:[14]

부산은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온대 하우 기후(Cwa)와온난 습윤 기후(Cfa)가 혼재되어 있는 기후를 가지고 있다. 최한월(1월) 평균 기온 3.6°C, 최난월(8월) 평균 기온 26.1°C이다. 연평균 기온은 15.0°C, 연평균 강수량은 1,576.7mm이다.제주도를 제외한한반도 본토에서는 가장 따뜻한 기후라고 할 수 있으며,아시아 대륙 동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동백나무와 같은조엽수림이 잘 자란다.

상대적으로 겨울이 건조하고 여름은 다습하여 수자원 관리가 어려운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낙동강하상계수는 상당히 크게 나타난다. 한반도 동남쪽에 위치해 있어, 주로 비가 오고 겨울에도 눈이 잘 내리지 않는다.

부산기상관측소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1가[15], 해발 69.56m)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18.4
(65.1)
20.3
(68.5)
23.6
(74.5)
28.1
(82.6)
34.0
(93.2)
33.4
(92.1)
35.8
(96.4)
37.3
(99.1)
35.2
(95.4)
30.8
(87.4)
25.7
(78.3)
20.9
(69.6)
37.3
(99.1)
일평균 최고 기온 °C (°F)8.2
(46.8)
10.2
(50.4)
13.8
(56.8)
18.2
(64.8)
22.0
(71.6)
24.6
(76.3)
27.5
(81.5)
29.5
(85.1)
26.4
(79.5)
22.5
(72.5)
16.6
(61.9)
10.4
(50.7)
19.2
(66.6)
일일 평균 기온 °C (°F)3.6
(38.5)
5.4
(41.7)
9.1
(48.4)
13.8
(56.8)
17.9
(64.2)
21.0
(69.8)
24.4
(75.9)
26.1
(79.0)
22.6
(72.7)
17.9
(64.2)
11.9
(53.4)
5.8
(42.4)
15.0
(59.0)
일평균 최저 기온 °C (°F)−0.1
(31.8)
1.5
(34.7)
5.3
(41.5)
10.1
(50.2)
14.6
(58.3)
18.3
(64.9)
22.1
(71.8)
23.7
(74.7)
19.8
(67.6)
14.5
(58.1)
8.3
(46.9)
2.0
(35.6)
11.7
(53.1)
역대 최저 기온 °C (°F)−14.0
(6.8)
−12.6
(9.3)
−9.7
(14.5)
−1.5
(29.3)
5.4
(41.7)
9.3
(48.7)
13.8
(56.8)
15.4
(59.7)
9.6
(49.3)
1.8
(35.2)
−6.5
(20.3)
−12.0
(10.4)
−14.0
(6.8)
평균강수량 mm (인치)34.5
(1.36)
49.6
(1.95)
89.7
(3.53)
140.9
(5.55)
155.9
(6.14)
188.4
(7.42)
326.8
(12.87)
266.5
(10.49)
160.6
(6.32)
79.6
(3.13)
50.4
(1.98)
33.8
(1.33)
1,576.7
(62.07)
평균 강수일수(≥ 0.1 mm)5.45.98.39.29.110.413.611.99.25.36.04.799.0
평균 강설일수1.41.20.50.00.00.00.00.00.00.00.10.94.1
평균상대 습도 (%)46.849.456.061.168.376.883.478.572.662.756.348.163.3
평균 월간일조시간203.1189.4202.0212.6228.5180.3172.3199.2173.8212.1195.5205.62,374.4
출처: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04년~현재)[16][17]

지질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부산광역시의 지질입니다.
부산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몰운대경상 누층군다대포층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경상 누층군이천리층
오륙도중생대백악기 말의경상 누층군 유천층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는중생대의 퇴적 분지경상 분지의 남동쪽 끝에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이경상 누층군의 유천층군과 하양층군의 화산암 및 퇴적암 지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약간의화강암이 있다.화산암으로 구성된경상 누층군 유천층군이 대다수를 차지하며퇴적암 지층인다대포층이천리층은 각각 다대포와기장군 지역에 소규모로 분포한다.[18]

부산광역시에는부산국가지질공원이 지정되어 있으며낙동강 하구(천연기념물 제179호)를 비롯한 해안가에 위치한몰운대,두송반도,송도반도,두도,오륙도,이기대 그리고 산지에 위치한장산,금정산,구상반려암(천연기념물 제267호),백양산의 총 12개의 지질명소로 구성되어 있다.[19] 부산국가지질공원 보고서에 의하면 12개 지질명소에 총 122점의 지질․지형유산이 분포하고 있다. 낙동강 하구, 송도반도, 태종대, 오륙도, 이기대, 금정산에 이들 지질유산들을 연결하는 지오트레일 코스가 있다.[20] 이외에기장군일광읍 신평리 지역에는이천리층 상에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가 있다.

부산광역시에는양산 단층양산 단층대의 일부인동래 단층일광 단층이 북북동-남남서의 주향으로 통과한다. 주 단층인양산 단층은 서쪽의낙동강을 따라,동래 단층동래구를,일광 단층일광읍을 지나간다.동래 단층일광 단층은 모두 부산광역시 지역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그 이름도 각각동래구기장군일광읍에서 유래되었다.

행정 구역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부산광역시의 행정 구역입니다.

부산광역시는 산하에 15개에 1개이 있다. 그 아래로 253개 동·리, 3개 읍, 2개 면이 있다.[21] 2015년 6월말 주민등록 인구는 1,430,441세대, 3,517,491명이다. 한편 부산광역시는 대도시권 특별관리법에 의거하여창원시,밀양시,김해시,양산시,거제시,울산광역시,경주시하고 함께 '부산 울산권'으로 묶여 있다.

부산광역시 행정 지도
이름(한자)청사 소재지단체장국회의원세대인구 (명)면적 (km2)
중구(中區)중구로 120(대청동1가 1-4)국민의힘김진홍(金震洪)부산 중·영도 :국민의힘조승환(趙承煥)23,18941,8302.82
영도구(影島區)태종로 423(청학동 48-3)국민의힘김기재(金基在)54,852116,44714.13
서구(西區)구덕로 120(토성동4가 2-3)국민의힘공한수(孔漢壽)부산 서·동 :국민의힘곽규택(郭圭澤)52,735107,97313.88
동구(東區)구청로 1(수정동 806-74)부산 중·동 :김진홍(金震洪)44,73488,2929.78
부산진구(釜山鎭區)시민공원로 30(부암동 666-16)국민의힘김영욱(金映旭)부산진 갑 :국민의힘정성국(鄭聖國)166,981357,28429.69
부산진 을 :국민의힘이헌승(李憲昇)
동래구(東萊區)충렬대로237번길 93(복천동 381)국민의힘장준용(張埈龍)부산 동래 :국민의힘서지영(徐知英)112,473271,56216.63
남구(南區)못골로 19(대연동 1268-1)국민의힘오은택(吳恩澤)부산 남 :국민의힘박수영(朴洙瑩)117,212273,70726.62
북구(北區)낙동대로1570번길 33(구포동 1124-1)국민의힘오태원(吳泰杬)부산 북구 갑 :더불어민주당전재수(田載秀)120,406290,90839.44
부산 북구 을 :국민의힘박성훈(朴成訓)
강서구(江西區)낙동북로 477(대저1동 2300)국민의힘김형찬(金亨燦)부산 강서 :국민의힘김도읍(金度邑)54,087130,298179.14
해운대구(海雲臺區)중동2로 11(중동 1378-95)국민의힘김성수(金成洙)해운대 갑 :국민의힘주진우(朱晋佑)168,851406,31251.46
해운대 을 :국민의힘김미애(金美愛)
사하구(沙下區)낙동대로398번길 12(당리동 317-16)국민의힘이갑준(李甲俊)부산 사하 갑 :국민의힘이성권(李成權)138,670320,25440.95
부산 사하 을 :국민의힘조경태(趙慶泰)
금정구(金井區)중앙대로 1777(부곡동 78)국민의힘윤일현(尹一鉉)부산 금정 :국민의힘백종헌(白宗憲)106,857238,55665.18
연제구(蓮堤區)연제로 2(연산동 1555)국민의힘주석수(朱錫修)부산 연제 :국민의힘김희정(金姬廷)90,601209,98012.08
수영구(水營區)남천동로 100(남천동 148-15)국민의힘강성태(姜成泰)부산 수영 :국민의힘정연욱(鄭然旭)81,608176,11210.20
사상구(沙上區)학감대로 242(감전동 138-8)국민의힘조병길(趙柄吉)부산 사상 :국민의힘 김대식(金大植)96,652217,59436.06
기장군(機張郡)기장읍 기장대로 560(기장읍 신천리 1)국민의힘정종복(丁宗福)부산 기장 :국민의힘정동만(鄭東萬)69,244164,710218.06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연제구 중앙대로 1001 1층(연산동 1000)국민의힘박형준(朴亨埈)1,499,1523,411,819769.82

자치단체장

[편집]
부산광역시청
 이 부분의 본문은부산광역시장입니다.

시장(巿長)은1910년10월 1일동래부부산부로 개칭되면서 부산부윤이었으며 광복 후1949년8월 15일 부산부에서 부산로 개칭되면서경상남도 부산시장이 되었다.1963년1월 1일에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정부 직할) 부산시장이 되었고 1981년 4월 4일 직함명이 부산직할시장으로 개칭되었으며1995년1월 1일 부산광역시로 개칭되면서 지금의 부산광역시장이 되었다.

광복 전에는조선총독부가, 광복 직후부터 정부 수립 직전까지는 미 군정청이 임명하는 방식이었다. 정부 수립 이후 경상남도 산하 시절에는 관선과 민선이 혼재했으며 직할시 시절과 광역시로 개칭한 1995년 1월 1일부터지방자치제도 전면 실시 직전인6월 30일까지는내무부 장관의 제청을 받은 자가대통령의 승인을 득하여 임명되었다. 1995년7월 1일지방자치제도 전면 실시에 따라 제30대문정수 전 시장부터는 다시 민선으로 선출되고 있다.

2021년 재보궐 선거로박형준 시장이 취임하여 임기중에 있다.

인구

[편집]
연도별 인구
연도인구±% p.a.
19953,745,784—    
20003,587,562−0.86%
20053,439,916−0.84%
20153,448,737+0.03%
20203,349,016−0.59%
source:[22]

부산광역시는1949년8월 부산부에서 부산시로 개칭된 이래,한국전쟁 발발(1950년 6월)과 임시수도 지정으로 인해 전국 각지에서 피난민이 몰려들면서 급격한 인구 증가를 경험하였다.1951년에는 844,134명으로, 1952년에는 85만 명에 달하여 일시적으로 서울을 능가하는 최대 도시로 부상하였다. 이후1955년에는 100만 명을 돌파하였으며,1963년직할시 승격 및 행정구역 확장으로 1,360,630명에 이르렀다.1970년에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추진과 도시화 가속화로 1,842,259명에 달했고,1978년김해 일부 지역 편입으로 2,879,570명으로 증가하였다.1980년에는 3,159,766명으로 300만 명을 돌파하였다.

그러나1990년대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면서1990년 3,798,113명 이후 정체·감소 국면에 접어들었다.1992년에는 3,887,278명으로 전년 대비 0.1% 감소하여 감소 추세가 공식화되었다. 이후기장군 편입(1995년)으로 일시적 증가를 보였으나, 장기적으로는 지속적인인구감소를 겪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부산광역시는 이미 인구 정체와 감소 국면에 접어들었다.2002년에는 인구 감소율이 1.02%에 달하여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으며, 이는 당시 대도시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으로 기록되었다.2011년 상반기 주민등록인구 통계 분석 결과, 16년 만에 감소율이 ‘0’에 근접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이는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였다. 부산시는1995년기장군 편입 이후 잠시 증가세를 나타냈으나, 이후로는 지속적인 감소세가 이어졌다.

2015년6월 말 기준 부산의 인구는 3,517,491명으로, 2014년 말 대비 1,910명이 줄어들었다. 이 시기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고령화의 심화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4%에 이르러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하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2017년 통계청 전수조사에 따르면 총인구는 3,416,918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남성이 1,680,933명, 여성이 1,735,985명으로 집계되어 여초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020년대에 들어서면서 부산의 인구 감소세는 더욱 명확해졌다. 출산율 저하,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 고령화 심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2024년10월 31일 기준 부산의 총인구는 3,271,062명으로,2015년 3,517,491명에 비해 약 24만 명 이상 감소하였다. 세대수는 1,570,658세대에 달하며, 세대당 인구는 2.08명으로 축소되었다. 성별 구성은 남성 1,592,440명, 여성 1,678,622명으로, 남녀 비율은 0.95에 불과하여 여초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인구와 가구 그래프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부산광역시의 인구[23][24]
연도인구(명)그래프가구
(세대)
그래프인구밀도
(명/km2)
세대당 인구
(명)
1963년1,320,630245,3643,7775.5
1970년1,842,259371,2284,9365.0
1980년3,159,766689,3717,3024.6
1990년3,798,113994,0337,1753.8
1995년3,892,9721,132,3605,1983.4
2000년3,812,3921,199,8045,0173.2
2005년3,657,8401,270,6124,7852.9
2006년3,635,3891,288,6724,7522.8
2007년3,615,1011,300,6924,7222.8
2008년3,564,5771,311,7244,7222.7
2009년3,574,3401,323,7714,6662.7
2010년3,660,3811,371,3464,6922.6
2011년3,586,0791,381,2574,6672.6
2012년3,573,5331,389,5264,6432.5
2013년3,563,5781,404,6634,6292.5
2014년3,557,7161,421,6484,6212.5
2015년3,559,7801,437,8184,6242.5
2016년3,546,8871,451,2704,6072.4
2017년3,520,2061,467,5554,5722.3
2018년3,494,0191,480,4684,5382.3
2019년3,466,5631,497,9084,5382.3
2020년3,438,7101,530,4314,4652.2
2021년3,396,2461,544,6634,4102.2
2022년3,367,2461,555,8674,3662.1
2023년3,349,5561,564,5884,3432.1

인구동태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연도출생(명)사망(명)혼인(쌍)이혼(쌍)
1970년36,8816,55814,860928
1975년51,0709,48417,4021,559
1980년67,51911,24418,1371,728
1985년55,27714,06118,7562,816
1990년56,04116,50332,3455,286
1995년52,61517,16430,8006,235
2000년41,22218,31823,34310,129
2001년35,84818,42221,82510,489
2002년30,76718,42220,91610,489
2003년30,11718,52820,02714,120
2004년28,23118,72219,89811,334
2005년25,68118,85418,9739,905
2006년25,88118,98320,0178,953
2007년28,42619,17021,4848,677
2008년26,67019,38520,1497,908
2009년25,11018,95418,6148,550
2010년27,41519,70820,1957,645
2011년27,75919,64320,2247,514
2012년28,67320,53420,3627,501
2013년25,83120,09620,7347,444
2014년26,19020,23018,9277,345
2015년26,64520,82018,5536,649
2016년24,90621,07417,1136,859
2017년21,48021,43415,6776,651
2018년19,15222,57014,7816,678
2019년17,04922,26013,7806,787
2020년15,05822,95012,1286,497
2021년14,44623,53111,0816,248
2022년14,13427,71310,6185,523
2023년12,86626,30310,3035,452
2024년13,06326,80011,4995,185

경제

[편집]
부산신항

2011년 부산의 지역 내 총생산은 62조 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조 2천억원 증가했다. 지역 총생산 기준 부산의 산업 구조는 제조업 비중이 19.7%로 전년 19.5%보다 0.2%p 증가했다.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71.1%로 0.2%p 줄었다.

통계청의 ‘2011년 지역소득지표’에 따르면 2011년 니얼굴 전체가 벌어들인 금액 총계인 지역 총소득(GRI)은 69조1천억원으로 2010년과 비교해 9%가량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율은 전국 평균 6.2%보다 2.8%p 높은 것으로 제주도에 이어 전국 2위 증가율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1년 부산시민의 1인당 개인 소득(GNI)은 14,844,000원으로 2010년 4위보다 한 단계 상승해 대전을 제치고 울산, 서울에 이어 전국 3위에 올랐다. 부산의 1인당 민간 소비는 1,306만 4,000원으로 전국 4위 수준이다. 개인 소득 증가율은 11.7%로 전국 평균 8.3%에 비해 3.4%p 높고, 울산에 이어 전국 2위 증가율이다.

부산광역시에 있는 주요 사기업들로는,르노코리아자동차,부산은행, 에스엠상선,삼성전기,CJ제일제당, 창신아이엔씨, 부산주공,리노공업, 세운철강,서원유통,동국제강,HJ중공업,하이투자증권,성우하이텍, 테크로스,하이록코리아,대한제강 등이 있다.

서비스업

[편집]
센텀시티

한국의 유가 증권 통합 거래소인한국거래소,기술보증기금,한국자산관리공사,한국주택금융공사,주택도시보증공사,한국예탁결제원,한국해양보증, 해양금융종합센터 ,한국선박해양,캠코선박운용, 지방은행인부산은행 등이 있다.

주요 백화점으로 서면 중심가에 있는롯데백화점 부산본점과 중구 중앙동에 있으며 세계 최대의 실내 음악분수인 23m 높이의 물줄기와 대형 비디오 프로젝터, 무대조명, 음향장비를 갖춘 '아쿠아틱 쇼(Aquatique Show)'가 특색인[25] 롯데백화점광복점 그리고 신흥 중심가인 센텀시티에 있는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 및 2009년 6월기네스북에서 공인한 세계 최대 규모 백화점인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가 있다. 그 밖에 동래구 온천동에 롯데백화점 동래점, 동구 범일동에현대백화점 부산점 등이 있다.

언론 기관

[편집]

부산과 경상남도 전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민영 방송사인KNN 부산경남방송을 비롯한, 공영 방송사인KBS부산방송총국[26], 대한민국 최초의 민영 방송사인부산문화방송이 주요 방송사이다. 그 밖에부산CBS,febc부산극동방송,CPBC부산가톨릭평화방송,TBN부산교통방송,BBS부산불교방송,wbs부산원음방송부산영어방송 등이 있다.

주요 신문사로는 전국 최대의 지방지인[27]부산일보와 그 경쟁 신문사인국제신문이 있다.

의료 기관

[편집]

1,300병상 규모의아미동에 있는부산대학교병원,암남동에 있는 957병상의고신대학교 복음병원,장안읍에 있는 298병상 규모의 암치료 전문병원인동남권원자력의학원, 999병상 규모의동대신동에 위치한동아대학교병원, 부산진구 부암동에 있는 온종합병원, 온요양병원 , 온재활병원, 온암병원,양정동에 있는 468병상의 양한방협진병원인 동의의료원 837병상 규모의개금동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896병상 규모의좌동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555병상 규모의사직동부산의료원,사상구주례동에 있는부산보훈병원 등이 있다.

전통시장

[편집]
자갈치시장

국제시장,부전시장,부평깡통시장, 수산물 시장인자갈치시장, 의류시장부산진시장(남문시장),자유시장,구포시장, 동래시장평화시장,중앙시장, 남천해변시장,장림시장, 개금시장 등이 있다.

5일장으로는 좌천재래시장(4,9), 송정장 (5,10), 월내장 (2,7), 오시게장 (2,7), 구포장 (3,8), 하단장 (2,7), 녹산장 (1,6), 사덕장 (1,6), 덕두장 (4,9) 등이 있다.

호텔

[편집]

부산은 무역항이자 관광지답게 호텔이 많다.

특1급 호텔로는 번화가 서면에 있는 760객실 규모의롯데호텔 부산, 관광지인 해운대의 290객실 규모로 동백섬에 있는웨스틴조선호텔부산, 521객실 규모의 본관 및 신관이 있는 파라다이스 호텔 카지노 부산 356객실 규모의 노브텔부산 과마린시티에 있는 일반 객실 269개와 스위트룸 69개를 갖춘 6성급 최고급 호텔인파크하얏트부산이 있다. 543객실 규모의 해운대 센텀호텔 은 컨벤션 중심지인센텀시티에 있으며 240객실 규모의 호텔농심 은 온천으로 유명한 동래에 있다.토요코인 호텔은 총 4개의 지점이 부산 내에 존재한다.

어항

[편집]

국가어항에는다대포항,천성항,대변항이 있고,지방어항에는송정항,민락항,학리항,월내항,동백항,이동항,두호항,남천항 , 민락항 ,우동항,청사포항,칠암항,대항항,신암항,눌차항이 있으며,어촌정주어항에는중동항,동암항,순아항,신호항,대항새바지항이 있다.

문화

[편집]

상징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부산광역시의 상징입니다.

부산광역시를 상징하는 꽃은 동백꽃(1970년 3월 1일 지정), 나무는동백나무(1970년 7월 1일 지정), 새는갈매기(1978년 7월 1일 지정), 물고기는고등어(2011년 7월 6일 지정)이다. 부산광역시의 시가(市歌)는 《부산찬가》(釜山讚歌, 작사: 윤평원, 작곡: 이범희, 노래:윤시내)이다.

마스코트

[편집]

부산광역시의 공식 소통캐릭터로서,갈매기모티브로 한 친근하고 귀여운이미지로 제작되었다. 명칭은 부산을 대표하는 상징인 '부산 갈매기'에서 따온 것으로,부기(Boogi)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해당 캐릭터는2021년에 약 26년 만에 새롭게 도입된 부산의 마스코트이며, 현재 다양한 홍보 및 시민 소통 활동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공연

[편집]
국립부산국악원

부산시민공원에 건립될 국제 아트 센터 와 근처에 있는국립부산국악원, 범일동에 있는부산시민회관,부산시립박물관 부근에 있는부산문화회관,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인영화의전당 그리고 4000여 석의 관람석을 갖춘벡스코 오디토리움 등이 있다.

문화유산

[편집]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부산광역시의 무형문화재,부산광역시의 기념물,부산광역시의 민속문화재부산광역시의 문화재자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금정산성,동래읍성,동삼동 패총,복천동 고분군,금곡동 율리 바위그늘유적(율리 패총) 등이 있다.

공원

[편집]

부산국가지질공원은 부산광역시에 설치된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으로낙동강 하구,몰운대,두송반도 및 송도반도,오륙도,태종대,이기대 등이 지질명소로 지정되어 있다. 생태 친화 공원으로 천연기념물인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부산의 상징인오륙도, 기암괴석이 장관인태종대, 아름다운 해안인이기대, 육계도로 동백꽃이 유명한동백섬 그리고대한팔경의 하나인 해운대 달맞이언덕 등이 있다.

  • 부산시민공원 (부산진구 시민공원로 73)
  • 평화공원 (남구 대연동 677 일원)
  • 이기대 도시자연공원 (남구 이기대공원로 105-20)\
  • 연포하늘공원 (남구 진남로 142-2)
  • 달맞이동산 (해운대구 달맞이길 184)
  • 민락수변공원 (수영구 민락수변로 129 수변공원)
  • 수영사적공원 (수영구 수영동)
  • 암남공원 (서구 암남동 산 193-4)
  • 자성대공원 (동구 자성로 99 )
  • 민주공원 (중구 민주공원길 19)
  • 장림생태공원 (사하구 신평동 1143)
  • 대저생태공원 (강서구 대저1동 1-5)
  • 삼락생태공원 (사상구 삼락동 29-46)
  • 맥도생태공원 (강서구 대저2동)
  • 화명생태공원 (북구 화명동 1718-17)
  • 용소웰빙공원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산7-2)
  • APEC나루공원 (해운대구 수영강변대로 85)
  • 암남공원 (서구 암남동 산193)
  • 을숙도생태공원 (사하구 하단동 120)
  • 신평소공원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기장군일광읍 신평리 11-1)

박물관·미술관

[편집]
 부산광역시의 박물관과 미술관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종합 해양박물관인국립해양박물관, 남구 대연동에 있는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남구 대연동에 있는부산시립박물관,동래구 복천동에 있는복천박물관, 도시철도 4호선수안역 내부에 위치한 임진왜란 역사 박물관인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며 미문화원으로 널리 알려진 중구 대청동에 있는부산근대역사관 그리고 해운대 벡스코 옆에 위치한부산시립미술관 등이 있다.

공공과학관으로 초읍 어린이대공원에 있는 어린이 회관, 기장군에 있는국립부산과학관과 국립수산과학관 그리고 부산진구 연지동에 있는LG사이언스홀,연제구연산동에 있는부산광역시과학교육원 등이 있다.

관광

[편집]
부산시티투어 버스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최고의 관광지 가운데 한 곳으로, 관광·영상·MICE 산업이 중심인 지역이며, 인구수 기준 부산 최대자치구해운대, 부산 최대 번화가인서면, 부산의 구도심으로롯데백화점 광복점 개점과영도대교 도개교의 신개통으로 다시 옛날의 명성을 찾고 있는남포동, 수영강 변에 있는 첨단 산업 단지로벡스코,영화의전당,부산시립미술관,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 등이 있는센텀시티,광안대교·횟집·카페 등 다양한 문화·오락시설이 있는광안리 등이 있다.

남구에는 세계 유일의6·25 해외참전군인들의UN기념공원,부산시립박물관,부산문화회관이 모여있다.동래온천,해운대 온천,부산경남경마공원,감천문화마을 역시 빼놓을 수 없는 좋은 볼거리이며,부산타워로 유명한용두산공원,동백섬에 있는누리마루 APEC 하우스,해운대해수욕장 해변에 있는부산아쿠아리움,영도에 있는국립해양박물관, 박차정 의사 생가, 박영준 의사 기념비 등도 있다.2014년에는부산어린이대공원 내에 부산 유일의 동물원인삼정더파크가 개원하였으며 그 해5월 1일에는부산시민공원이,6월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도심 광장인송상현광장을 개장하였다. 2019년 말 국내에서 두 번째로 높은해운대 엘시티 더샵이 완공되었다.

2005년 3월 29일부터 부산광역시에서 주요 관광지를 편리하게 둘러볼 수 있게2층 버스부산시티투어에 도입해 운영하고 있으며,2010년 4월 28일부터는 천장 개방형 2층버스를 추가로 투입하였다.[41]

종교 시설

[편집]
 부산광역시의 사찰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불교 사찰로는범어사,장안사,삼광사,해동용궁사 등이 있어 오랜 역사와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개신교는 영로교회, 부전교회, 대연성결교회, 산성교회, 부산중앙교회, 포도원교회, 모자이크 교회, 호산나교회 등 여러 교단의 교회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가톨릭남천동성당,초량성당,전포성당, 죽성리성당, 부산교구 주교좌 중앙성당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부산교구1957년대구대교구로부터 분리되어 독립하였으며, 이래로 선교, 사회 봉사, 교육 등 다방면에 걸쳐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해수욕장

[편집]
해운대해수욕장

대한민국 최고의 해수욕장인해운대해수욕장, 광안대교 야경으로 유명한 매년부산세계불꽃축제가 열리는수영구 광안동에 있는광안리해수욕장,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원형지름 60m, 최대 물높이 55m, 물 분사 노즐수 1046개, 조명 511개, 소분수 24개 등을 갖춘 세계 최고 수준의 바닥음악분수)가[42] 있는다대포해수욕장, 해운대 해수욕장에 가깝고 비교적 한적한송정해수욕장, 최초의 공설 해수욕장인송도해수욕장[43],임랑해수욕장 그리고일광해수욕장이 있다.

먹거리

[편집]

부산을 대표하는먹거리밀면,돼지국밥, 씨앗호떡, 어묵, 비빔당면, 유부전골, 찹쌀호떡,파전,냉채족발, 곰장어 구이, 회(초장), 구포국수 등이 있다.

축제

[편집]
 틀:부산광역시의 축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스포츠

[편집]

부산광역시 내 체육시설로는 수영만 요트경기장,롯데 자이언츠의 홈 구장인사직 야구장,2002년 FIFA 월드컵2002년 아시안 게임이 개최된 곳인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구덕운동장,2002년 아시안 게임 승마 종목이 열렸던 경기장인부산경남경마공원, 2002년 아시안 게임 사이클 종목이 열렸던 금정경륜장, 2002년 아시안 게임 양궁 경기가 열렸던 강서체육공원 등이 있다.

다음의 구단들이 부산을 연고지로 하고 있다.

리그명팀명창단연도홈 경기장
축구K리그2부산 아이파크1979년구덕운동장
K3리그부산교통공사2006년부산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야구KBO 리그롯데 자이언츠1975년사직야구장
농구KBL부산 KCC 이지스1977년사직실내체육관
WKBL부산 BNK 썸2000년
사직야구장

야구

[편집]
한국시리즈에서 1984년과 1992년 두 번 우승하였고, 2008년 시즌부터 2012년 시즌까지 5년 연속으로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고, 2011년에는 패넌트레이스 2위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2013년 이후에는 이전보다 부진한 성적을 내고 있다(2013년 5위, 2014년 6위, 2015년 8위,2016년 8위). 하지만 2017년, 4년간의 암흑기를 끝내고 정규시즌 3위를 기록하여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신생팀NC 다이노스kt 위즈를 제외하면 대한민국의 프로야구팀들 중삼성 라이온즈와 더불어 유일하게 이름이 바뀌지 않은 팀이기도 하다.

축구

[편집]
K리그 원년 멤버로부산 대우 로얄즈 시절 4회 우승을 달성한 전통의 명문구단이다. 뿐만 아니라 AFC 대륙클럽 대회에서도 동북아시아 최초로 우승을 하였다.

농구

[편집]
2000년 인천 금호생명 팰컨스로 창단한 여자프로농구단. 2004년 겨울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2018년 KDB 생명 해체 이후 OK저축은행으로 네이밍 스폰서를 받은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2001년~2023년 전주시로 연고지 이전했다.

전주시가 당초 약속한 신축 구장 건설 계획을 백지화 시킨데다 구장 소유권을 가진 전북대에서 25년까지 구장을 나가라는 요구를 하면서, 23-24시즌부터 부산으로 이전하여 새 연고지인 부산에서 첫 경기를 가질 예정이다.

E스포츠

[편집]

부산광역시와 관련된 이스포츠 구단은 2개 구단이다. 또한 이스포츠 문화 활성화를 위해 전용 경기장인부산 이스포츠 경기장(브레나)를 개관하였다.

부산광역시를 연고로 하는 이스포츠 프로게임단이다.[44]

  • GC Busan
    • GC Busan 담원 게임 아카데미 (LOL / 3군)
    • GC Busan 샌드박스 (LOL / 3군)
    • GC Busan 팀 다이아몬드 (오버워치 / CK)

경마/승마

[편집]
1997년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승마종목을 개최하고경마를 시행하기 위해 착공,2005년에 개장했다. 연간 800여 경주가 열린다.
경마 장외발매소는동구 범일지점,연제구 연제지점이 운영되고 있다.

2002년 FIFA 월드컵

[편집]
 2002년 FIFA 월드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2002년 FIFA 월드컵은 17번째 FIFA 월드컵 대회로, 2002년 5월 31일에서 6월 30일까지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열렸다. 경기 중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프랑스 對 우루과이 경기와 대한민국 對 폴란드 경기의 승부가 가려졌다.

2002년 아시안 게임

[편집]
 2002년 아시안 게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2년 아시안 게임은 2002년 9월 29일부터 10월 14일까지 대한민국 부산에서 열렸다. 44개국 약 9900명의 선수가 38개 종목에 참가해 기량을 겨뤘다.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을 비롯한 여러 경기 시설과 시립 체육 공원, 부산 시내에 소재한 대학교의 체육관 등을 이용하여 치러졌다. 공식 마스코트는 부산광역시의 시조(市鳥)인 갈매기를 디자인한 '두리아'였다. 동티모르가 처음으로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였으며, 대한민국에서 개최되는 국제대회에 북한이 처음으로 참가하였다.

교육

[편집]
대학교
 부산광역시의 대학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고등학교
 부산광역시의 고등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중학교
 부산광역시의 중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초등학교
 부산광역시의 초등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도서관

교통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부산광역시의 교통입니다.

시내교통

[편집]

시내버스

[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중앙대로를 운행하는 시내버스

부산의 시내버스에는 총 160개의 노선이 있다. 각 정류장을 정차하는 완행버스 형태인 일반버스, 일반버스 비하여 정차하는 정류장 수가 적어 일반버스보다 주요 지역을 더 빨리 연결하는 급행버스와 좌석버스가 있다. 그리고김해국제공항과 부산 도심을 잇는 공항 좌석버스도 있다. 또한 부산 인접 지역의 시내버스인양산 시내버스,창원 시내버스,김해 시내버스울산 시내버스 가운데 부산까지 오는 노선이 있다.

김해공항리무진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김해공항리무진입니다.

김해공항리무진은김해국제공항과 부산 도심지를 빠르게 잇는 버스 중 하나이며 현재 1개의 노선을태영공항리무진에서 운영하고 있다.

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부산 도시철도입니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실질적인 선로

2017년 1월 기준, 총 6개의 노선이 있다.환승역서면역(1, 2호선) /연산역(1, 3호선) /수영역(2, 3호선) /덕천역(2, 3호선) /미남역(3, 4호선) /동래역(1, 4호선) /사상역(2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 /대저역(3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 /교대역(1호선, 동해선) /벡스코역(2호선, 동해선) /거제역(3호선, 동해선)이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동래역에 정차한 전동차
 이 부분의 본문은부산 도시철도 1호선입니다.

사하구다대동다대포해수욕장역을 출발하여 장림동, 신평동, 하단동, 괴정동, 서대신동, 동대신동,부산대학교병원,자갈치시장, 남포동,부산역,부산진역, 범일동,부산교통공사, 서면, 부전동,부산광역시청, 연산동,부산교육대학교,동래, 온천장,부산대학교, 장전동, 구서동, 남산동,범어사를 경유한 뒤에금정구노포동노포역을 연결하는1호선이 운영되고 있다.2017년4월 20일신평역 ~다대포해수욕장역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노포역 ~북정동 구간은 1호선의 연장, 또는 별도의 경전철 노선으로 건설 계획중이며2026년 하반기 개통 예정이다.

 이 부분의 본문은부산 도시철도 2호선입니다.

해운대구좌동장산역을 출발하여 중동,해운대해수욕장,부산시립미술관,벡스코,수영,광안리해수욕장,부경대학교, 문현동, 전포동, 서면, 부암동,동의대학교, 주례동, 감전동,서부터미널, 덕포동, 모라동, 덕천동, 화명동,호포,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를 경유한 뒤경상남도양산시양산역을 연결하는2호선이 운영되고 있다.

 이 부분의 본문은부산 도시철도 3호선입니다.

수영구광안동수영역을 출발하여 망미동(병무청),배산, 연산동, 거제리 법조타운,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사직야구장, 미남교차로, 만덕동, 덕천동,구포역,강서구청, 강서체육공원을 경유한 뒤강서구대저동대저역을 연결하는3호선이 운영되고 있다.

 이 부분의 본문은부산 도시철도 4호선입니다.

동래구온천동미남역을 출발하여동래, 수안동, 낙민동,충렬사, 명장동, 서동, 금사동,반여농산물도매시장, 반송동, 고촌마을을 경유한 뒤기장군철마면안평역을 연결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무차륜식 무인경전철4호선이 운영되고 있다.

부산-김해경전철공항역 부근을 지나는 전동차
 이 부분의 본문은부산-김해경전철입니다.

사상구괘법동사상역을 출발하여김해국제공항,부산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한대저역, 대사리, 불암동,인제대학교,김해시청, 봉황동,김해여객터미널,국립김해박물관, 연지공원 ,부산장신대학교를 경유한 뒤경상남도김해시삼계동가야대역까지 운행한다.부산 4호선과 같이 무인으로 운행한다.

 이 부분의 본문은동해선 광역전철입니다.
 동해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부산진구부전동부전역을 출발하여부산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한거제역,부산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한교대역을 거쳐안락동,재송동, 그리고부산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한벡스코역을 경유하여송정역기장역을 거쳐울산광역시남구삼산동태화강역까지 운행한다. 2016년 12월 말에 개통했으며,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에서 관리 및 운영하는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전철로 운영되고 있다.일광역~태화강역 구간은2021년 12월 28일에 개통하였다.

시외교통

[편집]

철도

[편집]
  • 고속철도
경부선 KTX경부선 SRT의 시종착역은부산역이며,구포역에도 KTX 고속열차 노선의 일부가 정차한다.
  • 철도
동구에 있는부산역에서경부선ITX-새마을·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부산진구에 있는부전역에서동해선 일반열차와경전선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북구에 있는구포역화명역,해운대구에 있는신해운대역,사상구에 있는사상역 등에서도 일반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동해선은 부산과 울산을 잇는광역전철 노선으로 기존의동해남부선을 복선 전철화하여 2016년과 2021년에 걸쳐 개통된 노선이다. 주로 부산 동부권과 울산 남부권 주민들의 통근 및 생활 편의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해운대,기장,벡스코 등 주요 관광지를 경유하여 도시철도 역할뿐만 아니라 관광 노선으로도 기능하고 있다. 부산 도시철도와 환승이 가능하여 동부산권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크게 개선했다.

도로

[편집]
거가대교의 파노라마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과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이 있으며, 이들은금정구에서 합류·분기한다.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일본에서 카페리를 통해 부산 국제여객터미널에 이른 후충장로,번영로(부산 제1도시고속도로), 그리고경부고속도로를 따라불가리아로 이어진다.
아시아 고속도로 6호선중앙로의 시점과 동일한 옛시청교차로에서 시작하여중앙로,거제로, 금정로 , 그리고월평로를 거친 후국도 제7호선을 따라러시아로 향하게 된다.
경부고속도로노포 나들목에서 직접 합류ㆍ분기하며(불가리아 방향으로만 진ㆍ출입 가능),구서 나들목에서 1km 정도 달리면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 (불가리아 방향,일본 방향)에 진입할 수 있다.
  • 고속도로
금정구에서경부고속도로가 시작된다. 그리고강서구에서남해고속도로제2지선남해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사상구에서는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고,해운대구에서는동해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금정구/기장군에서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이용 가능하다.
  • 도시고속화도로
번영로 (11),거가대로 (17),동서고가로 (22),관문대로 (33),장산로 (77),정관산업로 (81) 등 총 6개의 도시고속화도로가 있는데 제일 먼저 개통된 것은번영로(의 일부)이다. 이 외에도 곳곳마다 자동차 전용도로가 있다.

버스

[편집]
  • 고속버스
금정구노포동에 있는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전국 각 지역으로 가는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사상구에 위치한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마산진주 등 시외버스 이용할 수 있고광주인천 방면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시외버스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동부경남,경북,강원특별자치도,경기도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부 경남과전라도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에서울산,김해,창원 등의 경남 동부 방면 버스,오산,수원,안산,부천, 동서울 등 수도권 방면 버스,동해,강릉강원특별자치도 남부 방면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동래시외버스터미널에서창원,김해,고성,통영,거제 등의 경남 중남부 방면 버스,순천,여수,광양도 간다.

국제 교통

[편집]

항공

[편집]
 김해국제공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김해국제공항
  • 국내선
김포 노선,제주 노선에 취항한다.
  • 국제선
내항기(대한민국(인천)),일본(도쿄, 나고야, 오사카, 후쿠오카, 삿포로, 기타큐슈),중국(베이징, 상하이, 항저우, 난징, 광저우, 선양, 옌지, 칭다오, 웨이하이, 옌타이),홍콩,마카오,타이완(타이베이),몽골(울란바토르),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핀란드(헬싱키),베트남(하노이, 호치민, 다낭),태국(방콕),필리핀(마닐라, 세부, 칼리보),싱가포르,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코타키나발루),캄보디아(시엠립), 노선 등에 취항한다.

해운

[편집]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일본시모노세키,후쿠오카,오사카,대마도(히타카쓰항이즈하라항 모두 해당)를 한국 국적과 일본 국적의여객선과 쾌속선이 왕복으로 운항하게 된다.
제주행 여객선으로 (주) 동북아카페리의 카페리 블루 스타호가 운항한다. 그러나 2018년 7월 7일자로 건조된지 30년이나 됨에 따라 선령이 만료됨으로 인해 현재는 운항이 중단된 상태이다.
  • 도선과 유람선
중앙동을 출발하여태종대,오륙도,광안대교를 거쳐 해운대 미포선착장으로 가는 유람선, 용호동과 오륙도를 잇는 유람선, 태종대와오륙도를 왕복하는태종대 유람선 등이 운항 중이다.

일본과 해외 수신 채널

[편집]

1970년대에서1980년대에 걸쳐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 일부경상남도 지역 주민들은 일본 텔레비전 방송사의전파를 수신할 수 있었다. 이는 지리적으로 가까운쓰시마시오메가국이즈하라 중계국이 송출하는 방송 전파가 한반도남해안에 도달했기 때문이었다. 당시 수신 가능한 방송 채널은NHK 나가사키 방송국의 종합TV(채널 5번), 교육TV(채널 11번),나가사키 방송 NBC(채널 9번),TV 나가사키 KTN(채널 22번, 한국에서는 23번) 등 총 4개 채널이었다. 이로써 부산 시민들은한국 방송에서 제공하지 못하던 다양한 프로그램을일본 방송을 통해 접할 수 있었다. 특히일본한국보다 약 20년 앞서컬러 텔레비전을 도입하였으므로, 부산 지역에서도 컬러 방송을 비교적 일찍 시청할 수 있었다.

당시대한민국에서는야간 통행이 금지된 시절이었으며, 지상파 방송사들은 낮 시간대와 심야 및 이른 새벽 시간에정파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한국 방송이 송출을 중단한 시간대에일본방송을 시청하는 습관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부산 지역에서 일본 방송 시청률이 높아지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일본한국 양국의 방송사가 모두새벽 시간대에정파를 시행할 경우, 주민들은 주로AFKN(주한미군방송)을 시청하거나텔레비전을 꺼두고일본AM라디오 방송으로 전환하기도 하였다.쓰시마뿐 아니라야마구치,히로시마,오사카,도쿄 등지에서 송출되는 강력한 AM 라디오 신호도 수신이 가능하였으며, 때로는타이완의 AM 방송까지 들을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KBS 제1라디오MBC 표준 FM라디오도 함께 이용되었다.

대외 관계

[편집]

외교 시설

[편집]

자매도시

[편집]

2014년 3월 기준, 23개국 26개 도시와 활발한 인적·물적 교류를 하고 있다.[45]

지역 & 국가도시 (체결 년도)
중화민국중화민국가오슝시 (1966)
미국의 기미국캘리포니아주로스앤젤레스(1967)
일본의 기일본야마구치현시모노세키시 (1976)
리비아리비아트리폴리 (1980)[46][47]
스페인의 기스페인바르셀로나 (1983)
브라질의 기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 (1985)
러시아의 기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 (1992)
중국의 기중국상하이시 (1993)
인도네시아의 기인도네시아수라바야 (1994)
오스트레일리아의 기오스트레일리아빅토리아주 (1994)
멕시코의 기멕시코티후아나 (1995)
베트남의 기베트남호찌민시 (1995)
뉴질랜드의 기뉴질랜드오클랜드 (1996)
칠레의 기칠레발파라이소 (1999)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남아프리카 공화국웨스턴케이프주 (2000)
캐나다의 기캐나다퀘벡주몬트리올 (2000)
튀르키예튀르키예이스탄불 (2002)
아랍에미리트의 기아랍에미리트두바이 (2006)
일본의 기일본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2007)
미국의 기미국일리노이주시카고 (2007)
러시아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 (2008)
캄보디아캄보디아프놈펜 (2009)
인도인도뭄바이 (2009)
그리스그리스테살로니키 (2010)
모로코모로코카사블랑카 (2011)
필리핀필리핀세부 (2011)
미얀마미얀마양곤 (2013)
폴란드폴란드그디니아 (2020)
중화민국중화민국타이베이 (2021)
헝가리헝가리부다페스트 (2021)

우호협력 도시

[편집]
지역 & 국가도시 (체결 년도)
중국중국선전 (2007)
톈진 (2007)
충칭 (2010)
베이징시 (2013)
일본일본오사카부오사카시 (2008)
나가사키현나가사키시 (2014)
태국태국방콕 (2011)
튀니지튀니지튀니스 (2022)
영국영국리버풀 (2022)

자매 항구

[편집]

부산광역시의 자매 항구는 6곳이 있다.[48]

지역 & 국가도시
영국영국햄프셔주사우샘프턴 항 (1978)
미국미국뉴욕뉴저지뉴욕 & 뉴저지 항 (1988)
플로리다마이애미 항 (1981)
일본일본오사카부오사카시오사카 항 (1985)[49]
네덜란드네덜란드로테르담 항 (1985)
중화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상하이 항 (1994)
대만대만타이중 항

갤러리

[편집]

FM 라디오 주파수 방송 목록

[편집]

출신 인물

[편집]
 분류:부산광역시 출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2025년 10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태종실록 (1431)3권, 태종 2년 1월 28일 신해 2번째기사
  3. 시사편찬실 표용수 (2012년 1월 2일).“부산유래”. 부산광역시 누리집. 2013년 2월 17일에 확인함. 
  4. 부산항선 목메어 불러봐도 'Pusan' 오광수《국제신문》2012-04-24
  5. “만덕사지”. 《부산역사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6. “부산진성”. 《부산역사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5년 11월 21일에 확인함. 
  7. “임진왜란 역사투어, 부산에서 시작해 보자”. 《부산시보》. 부산광역시. 2025년 4월 28일에 확인함. 
  8. “420년 전 임진왜란의 전리품, 왜성을 다시 보다”.한겨레. 2015년 12월 16일. 2025년 4월 27일에 확인함. 
  9. 김숙중 (2021년 9월 23일).“[기획취재] 한산도는 임진년 해상 최전방, 조선수군과 남해안의 왜성(倭城)(2/3)”. 한려투데이. 2025년 4월 28일에 확인함. 
  10. 김종헌, '근대의 철도부설과 도시구조의 변화, 내륙에서 항구로', 문화재사랑 2011년 8월호,문화재청
  11. 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법률
    제2조 (부산시의 지위) 부산시는 정부의 직할하에 둔다.
    제4조 (사무의 승계) ① 본법 시행당시 전조의 구역에 관한 도 또는 시, 군의 사무와 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나 그 기관이 관장하는 국가의 사무는 각각 부산시 또는 부산시장이 이를 승계한다.
  12. 지방행정에 관한 임시조치법 부칙 <법률 제3412호, 1981.4.4.>
    ①(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②(경과조치) 이 법 시행당시의 부산시는 부산직할시로 하며, 다른 법령중 "부산시"는 "부산직할시"로, "부산시장"은 "부산직할시장"으로 본다.
  13. 지방자치법
    제2조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① 지방자치단체는 대별하여 다음의 2종으로 한다. <개정 1994·12·20>
    1. 특별시와 광역시 및 도
    2. 시와 군 및 구
    부칙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2조제1항제1호·제2항, 제3조제2항·제3항, 제5조제2항, 제85조, 제101조제1항·제2항의 개정규정 및 제160조제1항의 개정규정("직할시장"을 "광역시장"으로 하는 개정부분에 한한다)은 1995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5조 (다른 법령과의 관계)1995년1월 1일 현재의 다른 법령중 "직할시"는 "광역시"로, "직할시장"은 "광역시장"으로 본다.
  14. 기후자료 - 부산의 1991년 ~ 2020년 평년값 자료. 대한민국 기상청.
  15. 1904년~1934년은보수동3가 소재, 1934년부터는대청동1가 소재 관측소에서 관측
  16.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부산(159)”.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17. “순위값 - 구역별조회 부산(159)”.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18.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 김선웅; 강가령; 손문; 백인성; 임현수; 김진섭 (2017년 6월).“부산국가지질공원 이기대·오륙도 지질명소에 분포하는 지질유산의 가치평가와 이를 활용한 지오투어리즘 (Geoheritage Values and Geotourism of the Igidae-Oryukdo Geosites in the Busan National Geopark, Korea)”. 《한국암석학회》26 (2): 99-112. 
  20. “부산국가지질공원 지형, 지질 유산 보고서”. 부산광역시. 
  21. 부산광역시의 각종 통계
  22. “Statistics Korea”. 2020년 2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20일에 확인함. 
  23. 부산시 통계연보
  24. 1989년 강서구 일원(179.14km2)이, 1995년 기장군 일원(218.06Km2)이 각각 부산광역시로 편입되었다.
  25. 김상현 (2010년 8월 3일).“부산 광복동에 세계 최대 음악분수 등장(종합)”. 연합뉴스. 2020년 8월 30일에 확인함. 
  26. 언론통폐합으로, 기존 TBC(동양방송) 부산지국을 인수 합병하였다.
  27. ABC협회, 국내 신문사 신문발행부수 발표, 《시사ON》, 2010년 11월 29일 작성.
  28. 홈페이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9. “홈페이지”. 2018년 4월 2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4일에 확인함. 
  30. “홈페이지”. 2012년 1월 2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4일에 확인함. 
  31. “홈페이지”. 2007년 12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32. “홈페이지”. 2007년 10월 1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4일에 확인함. 
  33. “홈페이지”. 2012년 10월 1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4일에 확인함. 
  34. 홈페이지
  35. 홈페이지
  36. “홈페이지”. 2019년 3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4일에 확인함. 
  37. 홈페이지
  38. 홈페이지
  39. “홈페이지”. 2018년 6월 2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4일에 확인함. 
  40. “홈페이지”. 2013년 7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4일에 확인함. 
  41. 부산시티투어, Open-Top 2층버스 운행, 《HNN 어니스트뉴스》, 2011년 9월 17일 확인.
  42. 이주형 기자 (2009년 4월 20일)."다대포에 가면 세계 최대 ´바닥음악분수´가 있다!". 데일리안. 2011년 10월 3일에 확인함. 
  43. "<부산 송도해수욕장 개장 100주년 기념사업 '다채'>”. 연합뉴스. 2013년 4월 6일. 2017년 9월 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2일에 확인함. 
  44. 부산 이스포츠 경기장 (부산 아레나)
  45. 선사시대 국제교류의 중심지 부산 동삼동[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국제신문, 2011년 10월 17일 확인.
  46. 현재 단절 상태. 본 도시도 역시리비아의 현지 정세 악화의 여론의 뭇매를 맞아 자매결연이 오래 단절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47. 현재 단절된 상태, 이는오사카시가 ‘위안부 기림비’수용으로샌프란시스코하고의 자매결연 협정 조인이 종료된 것과 같은 이치로 보면 됨.
  48. Port of Busan, Sister Ports, Busan
  49. “보관된 사본”. 2007년 3월 1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9월 15일에 확인함. 
  50. 부산시민의 날, 부산광역시 웹사이트.

참고 문헌

[편집]
오픈 스트리트 맵의 로고
오픈 스트리트 맵에부산광역시의 지도가 있습니다.

외부 링크

[편집]
위키낱말사전부산광역시 주제와 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위키여행에 이 글과
관련된 기사가 있습니다.
부산타워에서 바라본 부산광역시의 파노라마
  • 시청소재지: 연제구
철도
노선
도시·광역철도
도로
고속도로
나들목·분기점
시내간선도로
국도·국지도
광역시도
고가도로[1]
교량
터널
지하차도[1]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
환승센터
기타
항공·항만
교통카드
  1. 이, 상봉; 이, 정용 (2023년 3월 26일).“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코리아문화스포츠저널》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년 9월 29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access-date= (도움말)
₩ 터널 및 교량 중, 통과에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유료 도로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이북5도
대한민국대한민국
에어부산 주주및 협력사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국제
국가
지리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부산광역시&oldid=40917878"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