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부르봉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르봉 왕조에서 넘어옴)
이 문서의 내용은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문서를 편집하여,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6월)
부르봉가
국가프랑스,이탈리아,룩셈부르크,나바라,스페인
작위
설립자로베르 드 프랑스
최후 통치자프랑스와 나바라의 왕:샤를 10세(1824–1830)
프랑스인의 왕:루이 필리프 1세(1830–1848)
파르마 공작:로베르토 1세(1854–1859)
양시칠리아의 왕:프란체스코 2세(1859–1861)
현재 가주펠리페 6세
루이 알퐁소 드 부르봉
앙리 대공
설립일1272년
폐위일프랑스와 나바라, 1830년:7월 혁명
프랑스, 1848년:2월 혁명
파르마, 1859년:사르데냐 왕국에 합병
양시칠리아, 1861년:이탈리아 통일
민족프랑스
본가카페 왕조
분가스페인 보르본 왕조

오를레앙가

콩데가 (단절)

부르봉가(프랑스어:Maison de Bourbon,스페인어:Casa de Borbón)는카페 왕조의 한 계열로루이 9세의 마지막 아들 클레르몽의 백작로베르 드 프랑스(Robert de France)로부터 시작되었다. 부르봉(Bourbon)의 어원은 켈트어로 ‘진흙(Borvo 혹은 Borbo)’을 뜻한다.

탄생과 발전

[편집]

부르봉 왕가는루이 9세의 6번째 이자 막내아들인로베르 드 프랑스(Robert de France)로부터 시작된다. 그는 샤로래(프랑스어:Charolais)의 영주 장 드 부르고뉴(프랑스어:Jean de Bourgogne)와 아니에스 드 부르봉(프랑스어:Agnès de Bourbon)의 외동딸 베아트리스(프랑스어:Béatrice)와 결혼을 함으로써 부르봉(프랑스어:Bourbon)의 영주가 되었다.

부르봉 영지는1327년 부르봉가의 루이 1세(프랑스어:Louis Ier de Bourbon)를 위하여 공작령으로 승격되었다. 부르봉가의 루이 2세(프랑스어:Louis II de Bourbon) (1337-1410)는1371년 안 도베르뉴(프랑스어:Anne d'Auvergne)와 결혼을 하였다. 이 결혼으로 영지를 확장시켰다.

광신도적인 수도사자크 클레망(프랑스어:Jacques Clément)이앙리 3세를 암살하자발루아 왕가에는 왕위를 이을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살리카 법이라고 불리는 당시 통용되었던 계승법으로 사망한앙리 3세의 모계 6촌인앙리 4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역사

[편집]

부르봉 왕조는 프랑스에서1589년부터 1791년까지 그리고 1814년부터1830년까지 지속되었다.에스파냐에서는 1701년부터 통치하고 있는데,1874년부터1875년까지,1931년부터1975년까지는 공화정으로 인하여 다른 나라로 도피하였다. 그 뒤후안 카를로스 1세입헌 군주제에스파냐으로 즉위하였다. 이외에도 부르봉 왕가는 나바르, 프랑스, 스페인, 양시칠리아, 룩셈부르크, 안도라, 루카, 파르마와 같이 유럽의 여러 나라를 다스렸고,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부르봉 정통 왕가

[편집]

프랑스의 왕

[편집]

에스파냐의 왕 및 바르셀로나 백작(1714년부터)

[편집]
  • 펠리페 5세(Felipe V) (재위 1700년­ ~ 1724년, 복위 1724년 ~ 1746년) 프랑스 부르봉왕가 태양왕 루이14세의 손자, 부르봉 왕가 루이 15세의 숙부
  • 루이스 1세(Luis I) (1724년) 펠리페 5세의 아들. 재위 8개월만에 사망
  • 페르난도 6세(Fernando VI) (1746년 ~ 1759년)펠리페 5세의 넷째 아들. 이탈리아 출신 가수인 카를로 브로스키(1705~1782) 에게 국정을 맡김
  • 카를로스 3세(Carlos III) (1759년 ~ 1788년)페르난도 6세의 이복동생. 시칠리아,나폴리의 왕.미국독립전쟁에서 식민지군을 지원하고 총신인 아란다 백작에게 국사를 맡김
  • 카를로스 4세(Carlos IV) (1788년 ~ 1808년)카를로스3세의 둘째아들. 왕비의 애인인 미누엘 고도이에게 국사를맡기고 취미인 사냥을즐김.1808년 페르난도7세에 의해 쫓겨났다
  • 페르난도 7세(Fernando VII) (1808년, 1813년 ~ 1833년)카를로스4세의 장남.1808년 백성들의 반란을 이용해 고도이,카를로스4세와 왕비를 몰아내고 즉위.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위협으로 왕위에서 내려왔다.
  • 이사벨 2세(Isabel II) (1833년 ~ 1868년)페르난도7세의 딸.1700년대부터 따라온 살리카법에 의해서는 즉위할 수 없었으나,아버지인 페르난도7세가 이사벨2세가 태어나기 전에 살리카법을 없애버려서 즉위할 수 있게 됐다.이사벨2세가 즉위하자,페르난도7세의 동생인 카를로스는 스스로를 카를로스5세라 칭하였다.
  • 아마데오 1세 (1869~1875) (이탈리아 북부 사부아왕가) 1868년 프림장군이 명예혁명으로 이사벨2세를 몰아내자,이탈리아통일 주역중 1명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차남 아마데오를 왕으로 추대했다. 하지만 프림장군이 암살되고 공화주의자들의 거센반발로 1875년 스스로 물러났다.
  • 알폰소 12세(Alfonso XII) (1875년 ~ 1885년)이사벨2세의 아들이다.알폰소12세가 즉위하자 에스파냐의 경제가 좋아져 조용한 시기였으나 1885년 결핵으로 28세에 사망한다.
  • 알폰소 13세(Alfonso XIII) (1886년 ~ 1931년)알폰소12세의 아들.태어나자마자 왕이 됐다. 1931년 스페인 공화국 출범으로 파리 망명.
  • 바르셀로나 백작 후안 또는 추존왕 왕호로 후안 3세 (Juan III)
  • 후안 카를로스 1세(Juan Carlos I) (1975년 ~ 2014년)알폰소13세의 손자이다.프란시스코 프랑코 독재이후 에스파냐에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데 큰 공을 세움
  • 펠리페 6세(Felipe VI) (2014년 ~ )

나바라의 왕

[편집]

오를레앙 왕가

[편집]

프랑스인의 왕

[편집]

오를레앙 왕가의 수장

[편집]

보르보네파르마 공가

[편집]

파르마 공작

[편집]

파르마 공국은사르데냐 왕국이 주도한리소르지멘토로 사르데냐 왕국에 합병된다.

부르봉 나폴리 왕가

[편집]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왕

[편집]

나폴리 왕국시칠리아 왕국은 오래전부터 동군연합을 이루어왔다. 페르디난도 1세는 1806년부터 1815년까지는 나폴리의 왕을 차지하지 못했다. 그 이유는보나파르트 왕가가 나폴리 왕위를 차지하였기 때문이다.

부르봉 양시칠리아 왕가

[편집]

1816년에는 나폴리 왕국이 시칠리아 왕국을 합병시키고 양시칠리아의 왕이 되었다. 따라서 왕가의 이름도 부르봉 양시칠리아로 변하였다.

양시칠리아의 왕

[편집]

양시칠리아 왕국은사르데냐 왕국이 주도한리소르지멘토로 사르데냐 왕국에 합병된다.

부르봉 양시칠리아 왕가의 수장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부르봉가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몬테네그로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세르비아
스웨덴
스페인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 라이긴·실 코나이리
  • 달 피아타흐 · 코르쿠 로이그 · 오스라게 · 크루틴 · 달른 아라이디 · 코나흐타 · 의 피아흐라흐 · 의 브리우인 · 의 닐 · 실른 아에도 슬레인
  • 슬레인 클랜 촐마인 · 에우가나흐타 · 차이실 · 글렌담나흐 · 맥카르타 · 의 던레인게 · 의친셀라이그 · 달가이스 · 오 브리아이이노
  • 콘초브헤어
  • 오 루에어코 돔나일
  • 로 닐
알바니아
영국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영국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조지아
체코
크로아티아
터키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roi de France
카페가
발루아가
부르봉가
오를레앙가
Rey de España
압스부르고가(1516 - 1700)
보르본가(1700 - 1808)
보나파르트가(1808 - 1813)
보르본가(1813 - 1868)
사보이아가(1870 - 1873)
보르본가(1874 - 1931)
(1975 - 현재)
Nafarroako erregea
아리스차가
세메로가
샹파뉴가
카페가
에브뢰가
트라스타마라가
푸아가
알브레가
부르봉가
앙주 카페가
발루아앙주가
트라스타마라가
발루아오를레앙가
트라스타마라가
합스부르크가
기즈가
부르봉가
합스부르크가
부르봉가
파르테노페 공화국
보나파르트가
뮈라가
부르봉가
Munarchi di Sicilia
시칠리아 백국
(1071년-1130년)
아우타빌라가
시칠리아 왕국
(1130년-1816년)
아우타빌라가
호헨스타우펜가
안조가
시칠리아 아라구니시가
공위기
-
트라스타마라가
스파그나 압스부르구가
스파그나 부르보나가
사보이아가
아우스트리아 압스부르구가
나폴리 부르보나가
Duc d'Orléans
발루아가
발루아오를레앙가
발루아앙굴렘가
부르봉가
부르봉오를레앙가
프랑크인
푸아티에가
앙주가
플랜태저넷가
발루아가
부르봉가
룩셈부르크 백작
(963년–1354년)
고 룩셈부르크가
나무르가
호엔슈타우펜가
나무르가
림부르크가
룩셈부르크 공작
(1354년–1794년)
림부르크가
발루아부르고뉴가
합스부르크가
부르봉가
비텔스바흐가
합스부르크가
합스부르크로트링겐가
룩셈부르크 대공
(1815년-현재)
오라녜나사우가
나사우바일부르크가
국제
국가
인물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부르봉가&oldid=40410566"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