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벵골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벵골어
বাংলা
원어 지역방글라데시,인도
지역남아시아 동부
민족벵골인
원어 화자
2억 1000만여 명
순위10
벵골 문자
공식 상태
공용어로 쓰는 나라
방글라데시의 기방글라데시
인도의 기인도서벵골 주트리푸라 주
인도의 기인도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규제 기관방글라데시: Bangla Academy
서벵골 주: Paschimbanga Bangla Academy
언어 코드
ISO 639-1bn
ISO 639-2ben
ISO 639-3ben
글로톨로그beng1280

벵골어(벵골어:বাংলা, "방라")는벵골인언어이다. 주로방글라데시[1]인도서벵골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아삼 주 등 주변 지역에도 많은 화자가 있다. 방글라데시의국어이며, 또 인도에서도헌법제8부칙에서 지정된 22개의 지정언어의 하나로서,서벵골주트리푸라주공용어이다. 모어 화자 수는 2억 명을 헤아리며, 세계에서5번째로 모어 화자 수가 많고 7번째로 총 구사자 수가 많은 언어이다.

인도유럽어족인도이란어파에 속하며, 그 중에서도아삼어 등 가까운 언어들과 함께동부 인도아리아어라는 분류에 속한다. 표기에는데바나가리 문자처럼브라흐미 문자의 일종에 해당하는벵골 문자를 사용한다.

역사

[편집]

현대

[편집]

벵골어 공용어 운동

[편집]
벵골어의 화자 분포

현재의 방글라데시국은 본래영국으로부터독립할 때파키스탄령 동벵골로서 출발했다.1947년부터1971년까지 이어진 파키스탄 통치 하(동파키스탄 시대)에서는,우르두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삼고자 한서파키스탄에 대항하여 벵골어를 동벵골의 민족적 아이덴티티의 중심이라고 여겼고, 이는 최종적으로 파키스탄으로부터의 독립으로 이어졌다.1950년부터1952년에 걸쳐 행해졌던 벵골어 운동에서는1952년2월 21일 벵골어를 공용어로 할 것을 요구하는 언어운동가와 학생 데모대가파키스탄군과 무력충돌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현재 이 날은 "벵골어 공용어 운동의 날"로서 방글라데시의 공식 축일이 되어 있다.[2] 그 외에국제 모국어의 날로서국제 연합기념일로도 되어 있다.

1961년5월 19일에는 다른 충돌이 일어나 벵골어와아삼어의 경시에 항의하는 데모대와 경관대가 충돌하여 11명의 사망자를 냈다. 이것은 벵골어 운동을 격화시켰다. 이후에도 동파키스탄에서는 벵골어 공용어화를 주장하는 운동이 계속되었고, 얼마 안 있어 이것은 서파키스탄으로부터의 독립운동으로 진행되며,방글라데시 독립전쟁,제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으로 이어지기에 이르렀다. 그 결과,1971년파키스탄군은 동벵골로부터 철수할 수 밖에 없었다.

방언

[편집]

20세기 초까지 벵골어에는 크게 2가지의 서면 언어 문체가 있었는데, 하나는산스크리트어팔리어 유래의 어휘가 많은 사두 바샤(সাধু ভাষা, Sadhu bhasha)이고 더 간략화된 문법 등이 특징인 촐리토 바샤(চলিত ভাষা, Chôlito bhasha)였다. 사두 바샤는라빈드라나트 타고르가 쓴 인도의 국가(國歌)자나 가나 마나의 원문에 쓰인 것으로 유명하나, 오늘날에는 글쓰기에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다. 촐리토 바샤는 19~20세기 표준화된 벵골어의 바탕을 이루었다고 여겨진다. 현대 표준 벵골어는 대체로나디아쿠슈티아 지역의 방언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벵골어는 지리적 분포에 따라 여러 방언이 있으며 이들은 함께방언 연속체를 이룬다. 특히 동부의 치타공과 실렛 방언은 표준 벵골어와 차이가 커서 종종 별개의 언어(치타공어,실렛어)로 여겨진다.

음소

[편집]

기본음소 45개 외, 5개의 부속음소를 가진다. 자음은 29개, 모음은 14개이다(비모음을 포함한다).

모음
전설중설후설
고모음ই~ঈ
i
i
উ~ঊ
u
u
중고모음
e
e

ʊ~o
u/o
중저모음এ্যা/অ্যা
æ orɛ
ê

ɔ~ɒ
ô/a
저모음
a
a
비모음
전설중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ইঁ~ঈঁ
ĩ
ĩ
উঁ~ঊঁ
ũ
ũ
중고모음এঁ

ওঁ
õ
õ
중저모음এ্যাঁ / অ্যাঁ
æ̃
অঁ
ɔ̃
저모음আঁ
ã
자음
순음치음/
치경음
권설음후치경음/
치경구개음
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  ŋ 
파열음무성무기pʈtʃ~tɕk
무성유기ʈʰtʃʰ~tɕʰ
유성무기bɖdʒ~dʑɡ
유성유기ɖʱdʒʱ~dʑʱɡʱ
마찰음무성(ɸ)sʃ~ɕ(h)
유성(β)(z)(ʒ~ʑ)ɦ
접근음(w)l(j)
R음무기rɽ
유기(ɽʱ)

문법

[편집]

명사에문법적 성이 없어 형용사 변화가 적다. 기본어순SOV형이며,전치사가 아니고후치사를 사용한다. 지시 형용사나관사명사의 뒤에 놓여지지만, 일반형용사 종류는 앞에 놓인다.은 4종류(주격·대격·속격·처격)가 있다.

명사나동사의 어형변화는접미사로 행하며,교착어적인 성격이 강하다. 명사의표시는 의무적이 아니고(정관사만 구별된다), 동사에도인칭변화대우에 의한 변화는 있지만, 수에 의한 변화는 없다. 수를 나타내려면 반드시조수사를 사용한다(이것은 동남아시아·동아시아의 제 언어와 공통의 성질이다).계사는 어휘 목록에는 존재하나 현재시제에서영형태로 나타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본래 방글라데시란, 벵골어 화자가 사는벵골 지방전체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2. 『バングラデシュを知るための60章【第2版】』 大橋正明・村山真弓編著 明石書店  2009年11月20日 第2版第1刷 p.63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벵골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다르드어군
카슈미르
시나
파샤이
쿠나르
치트랄
하자라
북부
동부
중부
서부
북서부
펀자브
동부
란다
신드
서부
구자라트
라자스탄
기타
중부
서부
동부
기타
동부
비하르
보지푸르
마가다
마이틸
사단
타루
기타
가우다-카마루파
벵갈
카마루파
오리야
할비
남부
마라티-콘칸
마라티
콘칸
도서
고전
중세
초기
중기 (프라크리트어)
후기 (아파브람샤)
조어
미분류
피진 및 크리올
연방 공용어
인도 헌법
제8부칙
주 공용어
국가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벵골어&oldid=40756387"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