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벨라루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벨라루스 공화국
벨라루스어:Рэспубліка Беларусь

국기

국장
표어없음
국가우리는 벨라루스인
수도민스크북위 53° 54′ 00″동경 27° 34′ 00″ / 북위 53.9000° 동경 27.566667° /53.9000; 27.566667
벨라루스(벨라루스)
정치
정치체제공화제,단일 국가,대통령제
대통령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총리알렉산드르 투르친
입법부국민의회
상원공화국 의회
하원벨라루스 하원
집권여당벨라야 루스
역사
독립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독립
 • 선언1990년7월 27일
 • 승인1991년8월 25일
지리
면적207,595km2 (84 위)
내수면 비율1.4%
시간대FET (UTC+3)
인문
공용어벨라루스어,러시아어
데모님벨라루스인
인구
2025년 어림9,109,280명[1] (98위)
인구 밀도45.8명/km2
경제
GDP(PPP)2023년 어림값
 • 전체증가 $2,211억 8,600만[2] (73위)
 • 일인당증가 $24,016[2] (71위)
GDP(명목)2023년 어림값
 • 전체감소 $688억 6,400만[2] (74위)
 • 일인당감소 $7,477[2] (82위)
HDI증가 0.824[3] (65위,2023년 조사)
통화루블 (BYR)
종교
종교
[4]
기타
ISO 3166-1112,BY,BLR
도메인.by
국제 전화+375

벨라루스 공화국(벨라루스어:Рэспу́бліка Белару́сь 레스푸블리카 벨라루스,러시아어:Респу́блика Белару́сь 레스푸블리카 벨라루시[*]), 약칭벨라루스(벨라루스어:Белару́сь 벨라루스,러시아어:Белору́ссия 벨로루시야[*],문화어: 벨라루씨)는동유럽에 있는내륙국이다. 수도는민스크이며, 민족 구성은동슬라브족에 속하는벨라루스인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며,우크라이나인,러시아인도 있다.친러 성향이 가장 강한 국가이며, 또한러시아어가 주로 사용된다.

개요

[편집]

동쪽으로는러시아, 서쪽으로는폴란드리투아니아, 남쪽으로는우크라이나, 북쪽으로는라트비아와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수도는민스크이다. 공용어는벨라루스어러시아어이다. 1922년부터 1991년까지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었다. 벨라루스는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가 1922년소련에 편입됐다. 1990년 주권을 선언하고 1991년 독립을 선언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와 함께독립국가연합 창설을 주도했다.

빙하 작용을 받은 평원국으로 기후는 대서양의 영향으로 비교적 온화하다. 주민은 벨라루스인이 78%, 러시아인이 13%, 폴란드인 4%, 우크라이나인 3% 등이다. 산업이 특히 발달했으며 기계공업이 전체 공업생산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 트랙터, 농기계, 공작기계, 전기·무선기기 및 전자계산기 등이 유명하다. 반면에 석유, 가스, 화학 공업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1992년 가격 자유화 조치를 단행했다.[5] 벨라루스 사람들은 흰 옷을 즐겨입는 풍습이 있으며 전통 무늬가 새겨진 옷은 전통 의상이다. 또한, 가옥도 흰 색으로 칠하는 문화도 있다. 이 나라에서는 흰색은 상징색이나 사실상 마찬가지인 것이다.

국호

[편집]

벨라루스라는 국호는하얀루스(벨라루스어:Белая Русь 벨라야 루스)라는 표현에서 왔다.러시아 제국 시절에는러시아어벨로루시야(Белоруссия, Belorussia)라고 불렀다. 또, 대한민국에서는 이로 인해 한때백러시아라고도 불렀다. 하지만, 실제 벨라루스는 White Ruthenia를 의미한다.1991년9월 19일 당시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최고회의는 러시아어 국호를 Республика Беларусь (Respublika Belarus'), 줄여서 Беларусь (Belarus')로 표기하며 다른 언어로 표기할 때에도 이 발음을 따르도록 한다는 내용의 법을 고시하였다.[6] 이에 따라영어 국호도 Belorussia에서 Belarus로 바뀌었다.대한민국에서는1991년12월 10일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이 국호를벨로루시로 표기하기로 결정하였으나 벨라루스 정부의 요청에 따라2008년12월 11일 제82차 회의에서 표기를벨라루스로 수정하였다.러시아 제국소련 시절에는 현 벨라루스 지역을 가리키는 말로 '하얀 러시아'라는 뜻으로백러시아라는 명칭을 쓰기도 했다. 벨라루스를 이를 때 '하얀 러시아'라고 직역되는 명칭을 흔히 사용하는 경우로는독일어바이스루슬란트(Weißrussland),네덜란드어빗뤼슬란트(Wit-Rusland),그리스어레프코로시아(Λευκορωσία) 등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때백로씨야로 불렸으나 이후벨라루씨로 표기가 정해졌다.

지리

[편집]

벨라루스는 국토의 거의 대부분이 평야 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접국인우크라이나와 다르게 바다가 없는내륙국이며, 폴란드와는비아워비에자 삼림을 공동으로 보호하고 있으며, 이 삼림은유네스코세계 자연 유산으로도 지정되었다.드네프르강이 국토 일부에서 조금 흐르고 있다.

역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벨라루스의 역사입니다.
 이 부분의 본문은러시아화입니다.

6세기부터동슬라브족이 벨라루스 땅에 들어온 후 9세기 경에 형성된키예프 루스의 구성 국가 중 하나인폴라츠크 공국이 오늘날 벨라루스 지역에 존재하였으며, 1240년몽골의 침략 뒤 벨라루스 땅은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영토가 되었다. 그 후 폴란드 분할 때인 18세기 때 벨라루스 땅은러시아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제1차 세계 대전 때, 독일이 벨라루스 땅을 차지하게 된 후인1918년3월 25일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하지만 실질적 국가의 모습을 갖추지 못한 채1919년1월 5일붉은 군대민스크에 들어오면서 해체되었다. 벨라루스는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소비에트 연방(소련)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은 소련을 침략하면서 벨라루스 땅은 독일군의 점령하에 들어가고 벨라루스 중앙 라다라는 나치 독일의괴뢰 정부가 세워졌다.벨라루스인들의 게릴라식 저항은 많은 성과를 올렸지만 벨라루스 인구의 4분의 1이 희생되는 등 피해가 막심했다. 독일의 패전 후 벨라루스는 다시 소련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벨라루스의 현 대통령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소련이 해체되면서 벨라루스는1990년7월 27일 독립을 선언하였다. 91년 12월 벨라루스는독립국가연합의 회원국이 되었고 초대 대통령알렉산드르 루카셴코는 대통령의 권한을 강화시키고 97년부터러시아와 국가 연합을 결성하기로 하였다. 2001년에 루카셴카는러시아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2004년에 루카셴코 대통령은 3선에 성공했다.2007년에 러시아와 에너지 분쟁이 있었다.2008년9월 28일에 벨라루스는 총선을 시작했다.[7] 하지만 총선에서 여당의 승리로 끝이 났다.[8]2010년8월 3일에 루카셴코 대통령은독립국가연합 정상들 앞에서압하지야남오세티야를 독립국으로 인정하겠다는 말을 했다.[9]2010년12월 19일에 있었던 선거에서 루카셴코가 4선에 성공했다. 하지만 야당 지도자와 벨라루스 국민 수만명은 항의 시위를 하다 경찰에 체포되었고,[10] 미국과 EU는 벨라루스에 압력을 가하기 시작했다.[11]2011년1월 21일 벨라루스에서는 루카셴코의 4번째 임기 대통령 취임식이 열렸지만, EU는 취임식을 보이콧하였다.[12][13] 그리고 미국은 벨라루스에 대한 제재 조치를 준비하기 시작했다.[14]2012년9월 23일에 하원의원을 뽑는 총선이 실시되었지만, 야당이 전면보이콧하면서 반쪽짜리 선거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15][16] 그리고 선거에서 여당후보자들이 전부 당선되면서 야당후보는 한명도 당선되지 못했다.[17] 하지만 러시아는 벨라루스의 총선을 지지했다.[18] EU는 벨라루스에 대한 제재를2013년10월 말까지 1년 더 연장하기로 했다.[19]2020년8월에 치러진대선에서알렉산드르 루카셴코 현 대통령이 연속으로 성공하였다.2020년9월 23일경 여섯번째 임기 취임식을 진행했다. 2030년까지 러시아에 재편입된다.

사고

[편집]

1986년4월 26일 인접국인우크라이나프리피야티에 소재한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서폭발사고가 발생하였는데 당시 바람의 방향으로 인하여 낙진의 거의 대부분이 벨라루스로 떨어졌다. 이 때문에 벨라루스 전 국토의 4분의 1이 방사능 오염지역이 되었으며 수 많은 벨라루스 국민들이피폭당했다.2011년 4월 11일 벨라루스민스크에서2011년 민스크 지하철 폭탄 테러가 일어났다. 이 사고로 15명이 사망했고, 204명이 부상당했다.

문화

[편집]

벨라루스는러시아,우크라이나,폴란드의 영향을 받았으며 전통 의상으로 햐안 바탕에 빨간색이 합쳐진 옷을 즐겨입는 문화가 있다. 그래서, 벨라루스 사람들은 가옥을 흰색으로 칠하기도 한다. 특히 전통 무늬가 들어간 옷은 벨라루스의 전통적인 의상이다. 이 밖에도 러시아의 지배 영향을 받아서 국민이 러시아인과 유사하기도 하다.

언어

[편집]

공용어는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이다.1995년의 국민투표에 의해러시아어가 정식으로 공용에서 추가되었다. 민스크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주민이 러시아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며,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는 주민도 있다. 2009년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60%가 벨라루스어가 모국어였지만, 주민의 거의 대부분(70%)는 집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했다[20]. 일부는우크라이나어,폴란드어 등 소수 민족어도 사용한다.

종교

[편집]
종교 구성 (벨라루스)
동방 정교회
48.3%
무종교
41.1%
천주교회
7.1%
이슬람교
0.2%
기타
3.3%

종교는벨라루스 정교회가 거의 대부분이다. 하지만 구 소련의 영향으로 무종교인도 많다. 문화와 일상생활, 명절 등은 정교회의 기준을 따르며, 무종교인 국민도 대부분 정교회 관습을 따른다. 그 외벨라루스 자치 정교회,천주교,개신교,유대교,이슬람교 등을 믿고 있다(1997년 추계).

벨라루스 지도
벨라루스 지도

정치

[편집]

벨라루스 공화국은대통령제 공화국이며, 임기는 5년 중임제이고 재선이 가능하다.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민주주의 지수 조사에 따르면 독재국가로 분류된다. 1991년 당시에스타니슬라프 슈시케비치벨라루스 SSR최고 지도자로 선출된 바 있으나, 3년 만에 지도자직에서 물러났다. 1994년 7월 20일부터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한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이 현재까지 집권중이다.

독립한 1990년대부터 선거 등이 민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검열 등 여러 자유권 탄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행정 구역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벨라루스의 주입니다.

벨라루스의 행정구역은 6개주와 1특별시로 구성된다

대외 관계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벨라루스의 대외 관계입니다.

벨라루스는 독립 직후인 1992년부터러시아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 중이며 루카셴코 대통령은 벨라루스를 러시아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통합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21]

유럽 평의회는 1996년부터 부정선거에 대한 반대의 의미로 벨라루스의 회원국 자격을 정지시켰고, 벨라루스는 현재 유럽 국가들 중 유일한 비회원국으로 있다.

국적

[편집]

벨라루스는이중 국적을 인정하는 국가이며, 벨라루스 국적자가 타 국적을 보유 할 경우 이중국적이 된다. 벨라루스 국적 획득 자격은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다.[출처 필요]

군사

[편집]

벨라루스헌법에 따르면,징병제를 실시한다.육군기갑 위주로 편성되어있다.공군육군보다 전투력이 더 뛰어나다고 한다.

인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벨라루스의 인구입니다.

주민은벨라루스인이 81.2%,러시아인이 11.4%, 그 외폴란드인,우크라이나인이 7.4%,유대인과 기타가 0.3%이다(1999년).

교통

[편집]
 벨라루스의 철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벨라루스는서유럽러시아를 잇는 철도역이 있으며, 민스크 시는 교통의 중심지이기도 하다.버스,택시,공항 등이 정비되어 있다.

각주

[편집]
  1. “Population at the beginning of 2025”(PDF). 《belstat.gov.by》. 2025년 3월 31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3월 29일에 확인함. 
  2.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Belarus)”. 《IMF.org》.국제 통화 기금. 2023년 10월 10일. 2023년 10월 13일에 확인함. 
  3. “Human Development Report 2025”(PDF) (영어).유엔 개발 계획. 2025년 5월 6일. 2025년 5월 6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5월 6일에 확인함. 
  4. “Generations and Gender Survey, 2020 Belarus Wave 1”. 《ggpsurvey.ined.fr》. 2022년 10월 1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25일에 확인함. 
  5.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벨라루스 공화국
  6. “벨라루스 공화국 법 - 벨라루스 공화국의 명칭에 관하여” (러시아어). 프라보 - 벨라루스 공화국 법. 1991년 9월 19일. 2008년 12월 15일에 확인함. 
  7. 벨로루시 총선 시작…자유 선거 실시 여부 관심
  8. “벨로루시 총선 여당 압승 야당 참패로 끝나”. 2013년 5월 2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29일에 확인함. 
  9. "벨라루스, 압하지야.남오세티야 독립국 인정"
  10. 루카센코 벨라루스 대통령 4선 성공
  11. 미국-EU, 벨라루스에 초강수
  12. 벨로루시 대통령 4번째 취임식…서방 보이콧
  13. 벨라루스 대통령 취임식 '썰렁'
  14. 미국, 벨라루스에 대한 제재조치 준비
  15. 벨라루스, 총선 실시
  16. 벨라루스, 총선 실시…야당 전면 보이콧
  17. 야당 당선자 '0명'... 수상한 벨라루스 총선
  18. 러, 서방이 비판한 벨라루스 총선 결과 지지
  19. EU, 대 벨라루스 제재 1년 연장 결정
  20. (http://demoscope.ru/weekly/2010/0433/panorm01.php#26 Белорусский язык назвали родным 60 % жителей республики)데모스코프 위클리
  21. Russia turns on Belarus over odious detention of alleged mercenaries - Reuters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위키여행에 이 글과
관련된 기사가 있습니다.
유럽의 나라
나라
속령
미승인국
  1. 일부 영토가아시아에도 속한다.
  2. 일부 영토가아프리카에도 속한다.
  3. 지리적으로는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유럽으로 분류된다.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기타
  1. 보케오주 골든트라이앵글 경제 특구만 한정.
  2. 남부주,나바티예주만 한정.
  3. 샨주 북부와 동부,꺼야주,라카인주,가인주 먀워디군만 한정.
  4. 2007년 8월 7일부터 해외 출입국관리법에 따라 입국시 처벌 시행.
  5. 북부 레바논 접경블루 라인 지역 4km 구간만 한정.
  6. 캄포트주 보코산 국립공원,스바이리엥주 바벳,반테아이메안체이주포이펫만 한정.
  7. 로스토프주·벨고로드주·보로네시주·쿠르스크주·브랸스크주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 구간, 쿠르스크주 전체 지역 포함.
  8. 브레스트주·호멜주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 구간.
  9. 러시아가 실효 지배 또는 점령 중인헤르손주·자포리자주·도네츠크주·루한스크주·크림반도 포함.
  10. 아제르바이잔 접경 지역에서 30km 구간.
  11. 아르메니아 접경 지역에서 5km 구간.
  12. 베네수엘라 내 콜롬비아 접경 지역인 술리아주, 타치라주, 아푸레주,카리브해 연안 지역인 수크레주 내 각 주의 주도 및 술리아주 동부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13. 수도인니아메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만 한정.
  14. 이집트와의 영토 분쟁 지역인 와디 하이파 돌출지 및 할라이브 지역 포함.
  15. 북키부주,남키부주만 한정.
  16. 남극 활동 및 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 제14조(남극특별보호구역 등의 보호) ①외교부장관은 남극조약협의당사국회의에서 지정한 다음 각호의 사항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고시하여야 한다.1. 남극특별보호구역 및 남극특별관리구역2. 남극사적지 및 기념물④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승인을 얻은 자는 남극특별보호구역 또는 남극특별관리구역에 출입하거나 그 구역안에서 남극활동을 하는 동안 제3항의 규정에 의한 승인서 또는 그 사본을 휴대하여야 한다.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특별여행경보제도 적색 경보 발령 지역
아시아·태평양
중동·아프리카
  • 나이지리아의 기나이지리아 (니제르델타 부근 8개 주(델타,바이엘사,리버스,아콰이봄,이모,아비아,에도,아남브라주) 및 플래토, 보르노, 요베, 카노, 카두나, 바우치, 아다마와, 아부자, 잠파라, 타라바, 소코토, 카치나, 지가와, 곰베 주)
  • 남수단의 기남수단 (전 지역)
  • 니제르의 기니제르 (니아메를 제외한 전 지역)
  • 레바논의 기레바논 (리타니강 이남, 트리폴리 시, 12개 팔레스타인 난민촌, 베이루트 남부 교외 지역, 시돈, 트리폴리 이북, 리타니강 이남, 북부 베카 지역(브리텔 이북))
  • 말리의 기말리 (전 지역)
  • 모로코의 기모로코 (서부 사하라 내 모래방어벽 동쪽)
  • 모리타니의 기모리타니 (황색경보 지정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 모잠비크의 기모잠비크 (카보델가도 주)
  • 베냉의 기베냉 (부르키나파소 국경 지역(펜자리 국립공원 및 W 국립공원))
  • 부룬디의 기부룬디 (황색경보 지정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 부르키나파소의 기부르키나파소 (북부, 사헬, 중북부, 중동부, 동부 주, 말리 접경 40km 이내 지역)
  • 사우디아라비아의 기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예멘 국경 인근 180km 지역 (슈케이크, 아브하, 카미스무샤이트 포함))
  • 수단의 기수단 (다르푸르 지역 3개 주, 남코르도판 주, 블루나일 주, 화이트나일 주(코스티시 이남 지역)
  • 알제리의 기알제리 (카빌리 지역 6개 주(부르메데스, 부이라, 티지우, 베자이아, 보르즈부아레리즈, 지젤, 우아르글라), 튀니지, 리비아, 니제르, 말리, 모리타니 국경 인근 지역(테베사, 엘웨드 동부, 일리지 동부, 타만라셋 남부, 아드라르 남서부, 틴두프 남서부, 오아글라 동부))
  • 에리트레아의 기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수단, 지부티 국경 지역)
  • 에티오피아의 기에티오피아 (아파르, 소말리, 감벨라, 베니샹굴-구무즈, 수단‧남수단‧에리트레아‧케냐 접경 10km 이내 지역)
  • 이란의 기이란 (시스탄발루체스탄 주, 터키·이라크 국경지역, 페르시아만 연안 3개 주(후제스탄, 부셰르, 호르모즈건))
  • 이스라엘의 기이스라엘 (요르단 강 서안 지구, 가자지구 및 인근 40km 이내 지역)
  • 이집트의 기이집트 (샤름엘셰이크를 제외한 시나이 반도 전역 및 리비아 국경 지역 전역(국경도시 살룸을 포함, 국경지역으로부터 100km까지))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기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전 지역)
  • 지부티의 기지부티 (소말리아 및 에리트레아 접경 10km 이내 지역)
  • 차드의 기차드 (전 지역)
  • 카메룬의 기카메룬 (노르드 주, 아다모와 주, 북서부 주, 남서부 주, 극북부 주)
  • 케냐의 기케냐 (나이로비 이스트레이, 가리사, 케냐~소말리아 접경 및 동부해안가 일부 지역(라무, 말린디)으로부터 100km)
  • 코트디부아르의 기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기니 국경 지역(뎅궤레 주, 몬테그뉴 주, 바핑 주, 까발리 주))
  • 콩고 민주 공화국의 기콩고 민주 공화국 (오트우엘레 주, 이투리 주, 남키부 주, 북키부 주, 카사이 주, 카사이상트랄 주, 카사이오리앙탈 주, 마니에마 주, 바우엘레 주, 구 카탕가 주 북부지역, 남수단·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국경 50km 이내 지역)
  • 튀니지의 기튀니지 (까세린 주 샴비산 일대 및 알제리 접경 지역, 젠두바 주 알제리 접경 지역, 크사르 길랜 이남 사막 지역 전역 및 리비아 접경 지역)
유럽
  • 러시아의 기러시아 (북카프카스 지역 : 체첸, 다게스탄, 세베로오세티야(북오세티야), 카바르디노발카르(카바르티노-발카리야 공화국), 잉귀쉬(잉구세티아),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카라차이-체르케스), 아디게이(아디게야))
  • 아제르바이잔의 기아제르바이잔 (나고르노카라바흐 및 인근 7개 지역)
  • 우크라이나의 기우크라이나 (도네츠크, 루한스크, 크림 반도)
  • 조지아의 기조지아 (남오세티야, 압하스)
  • 코소보의 기코소보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
  • 튀르키예의 기튀르키예 (가지안테프, 디야르바커, 마르딘, 반, 바트만, 비트리스, 빙골, 산리우르파, 시르낙, 시르트, 엘라지, 킬리스, 툰셀리, 하카리, 시리아의 국경 10km 이내 지역(히타이))
아메리카
  • 베네수엘라의 기베네수엘라 (전 지역)
  • 볼리비아의 기볼리비아 (태양의 섬)
  • 아이티의 기아이티 (전 지역)
  • 콜롬비아의 기콜롬비아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및 파나마 국경 지역, 아라우카 주, 바예델카우카 주[칼리 시 제외], 나리뇨 주[투마코], 카우카 주, 카케타 주 일부, 초코 주 일부, 안티오키아 주 일부)
  • 페루의 기페루 (우앙카벨리카 주 : 타야카하, 츄르캄파 지역, 아푸리막 주 : 안다우아이라스, 친체로스 지역, 후닌 주 : 콘셉시온, 우앙카요, 사티포 지역), 쿠스코 주 : 라콘벤시온 지역, 아야쿠초 주 : 라미르, 우안타 지역)
회원국
현행 회원국
준회원국
이전 준회원국
이전 회원국
독립국가연합기
역사
스포츠
군사
경제
회원국
역내 회원국
역외 회원국
예상 회원국
역내 회원국
역외 회원국
참여 희망국
회원국
준회원국
이전 회원국
회원국
준회원국
협력 파트너
초청 국가 및 기구
국제
국가
지리
학술
아티스트
인물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벨라루스&oldid=3987690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