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벨기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벨기에 왕국
3개 언어
벨지크 왕국
프랑스어:Royaume de Belgique
벨히어 왕국
네덜란드어:Koninkrijk België
벨기엔 왕국
독일어:Königreich Belgien

국기

국장
표어네덜란드어:Eendracht maakt macht
프랑스어:L'union fait la force
독일어:Einigkeit macht stark
(단결은 힘이다)
국가브라반트의 노래
수도브뤼셀[1]북위 50° 51′ 00″동경 4° 21′ 00″ / 북위 50.8500° 동경 4.3500° /50.8500; 4.3500
벨기에(벨기에)
정치
정치체제입헌군주제,의원내각제,양원제,연방제
국왕
총리
필리프
바르트 더 베버르
역사
독립네덜란드로 부터 독립,벨기에 혁명
 • 독립1830년
지리
면적30,689km2 (136 위)
내수면 비율0.64%[2][3]
시간대CET (UTC+1)
DSTCEST (UTC+2)
인문
공용어네덜란드어,프랑스어,독일어
인구
2025년 어림11,825,511명[4]
인구 밀도385명/km2 (35위)
경제
GDP(PPP)2025년 어림값
 • 전체증가 $8,898억 3,300만[5] (37위)
 • 일인당증가 $75,187[5] (20위)
GDP(명목)2025년 어림값
 • 전체증가 $6,893억 6,400만[5] (23위)
 • 일인당증가 $58,248[5] (16위)
HDI증가 0.951[6] (10위,2023년 조사)
통화유로[7] (EUR)
종교
종교기독교 60%[8]
무종교 31%
이슬람교 7%
기타 종교 2%[9]
기타
ISO 3166-1056,BE,BEL
도메인.be
국제 전화+32
  1. 브뤼셀시는 벨기에의 법적인 수도이고 보통 브뤼셀이라고 불리는브뤼셀 수도권 지역은 벨기에의 실질적인 수도이다.
  2. “Land use” (영어). Statbel. 2023년 9월 15일. 2024년 7월 31일에 확인함. 
  3. “Surface water and surface water change”.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21년 3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11일에 확인함. 
  4. “On 01 January 2025, Belgium had 11,825,551 inhabitants” (영어). Statbel. 2025년 6월 11일. 2025년 7월 8일에 확인함. 
  5.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4 Edition. (Belgium)”. 《www.imf.org》.국제 통화 기금. 2024년 10월 22일. 2024년 10월 26일에 확인함. 
  6. “Human Development Report 2025”(PDF) (영어).유엔 개발 계획. 2025년 5월 6일. 2025년 5월 6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5월 6일에 확인함. 
  7. 이 나라는2002년까지는프랑을 통용화폐로 사용하였다.
  8. 가톨릭 54%
    기타기독교 6%
  9. 2019

벨기에 왕국(프랑스어:Royaume de Belgique 루아욤 드 벨지크[*],네덜란드어:Koninkrijk België 코닝크레이크 벨히어[*], 줄여서벨기에(프랑스어:Belgique 벨지크[*],네덜란드어:België 벨히어[*])은서유럽에 있는입헌 군주국이다. 북쪽으로는네덜란드, 서쪽으로는북해와 접하고 있고, 동쪽으로는독일룩셈부르크와 국경을 접하고있고, 남쪽과 남서쪽으로는프랑스와 국경을 접하고있다.베네룩스 3국 중 하나이다. 공용어는네덜란드어,프랑스어,독일어이다.

역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벨기에의 역사입니다.

독립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벨기에 혁명입니다.

벨기에는 본래네덜란드의 남부 지역이었으나 스페인 정부의 개신교 탄압으로 촉발된네덜란드 독립 전쟁(1568~1648년) 이후 독립한 북부와 합스부르크 왕령으로 남은 남부가 분열되면서 다른 길을 걷기 시작했다. 1794년프랑스 혁명 전쟁 중에 프랑스가 벨기에를 합병하며 합스부르크의 통치를 끝냈다.[1]나폴레옹 전쟁 이후 벨기에는 북부의네덜란드 연합 왕국과 합쳐지게 되었으나절대주의적 통치와개신교로마 가톨릭교회라는 신앙적인 차이로 인해왈롱인들의 불만이 쌓이기 시작했다.

프랑스 국내에서7월 혁명이 일어난1830년, 이 혁명에 자극받은 왈롱인들이 8월 5일경 혁명을 일으켰다. 이를 벨기에 사람들은벨기에 혁명이라고 부르며 독립 기념일로 기린다. 네덜란드가 편성한 진압군은 벨기에군을 간단히 격파하였으나 벨기에를 병합하려는 야심을 품고 있었던 프랑스의 무력 및 외교적 압력으로 인해 네덜란드와 벨기에는1831년 휴전을 맺고1839년에는 런던조약에 서명하여 벨기에의독립을 승인하여야만 했다.

식민지 개척

[편집]

벨기에는 국가로 인정받은 이후 해군(Marine Royale;1865년에 해체되었다가1917년에 다시 창설)을 창설하고, 식민지 개척을 장려한다.레오폴 2세 치하인1878년에는 콩고 지역을 식민지로 삼아콩고 자유국으로 만들었다. 레오폴 2세 지배 당시 콩고 자유국에서는 수백만명의 목숨이 희생되는 무력과 착취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 집단 살해 사건은고무 테러라고 불린다.1899년조지프 콘래드는 자신의 저서 ‘암흑의 핵심’에서 처음으로 레오폴 2세 지배 당시 콩고의 참혹한 역사를 처음으로 고발했다.

이 시기에 관해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충격적인 책은1999년 아담 호츠쉴드의 ‘레오폴드왕의 유령:식민지 아프리카의 탐욕과 테러, 영웅주의의 이야기’였다. 호츠쉴드는 이 책에서 기근과질병으로 죽어간 수천명과 함께 수많은 콩고민중들이상아고무에 대해 레오폴 2세가 정한 생산 할당량을 채우지 못해학살을 당했다고 서술했다. 또한 레오폴 2세는 한번도 자신이 사유지화한 콩고를 방문한 적이 없지만 콩고로부터 착취한 자원은 그로 하여금 궁전과 기념비, 박물관을 짓고 어린 딸에게 호화스런 옷과 빌라를 사줄 수 있게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기간 동안 학살당한 콩고인의 수가 1000만 명에 달한다고 주장하나 이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후 레오폴드의 콩고 자유국 지배의 실태가 알려지면서 국제사회는 물론 본국에서도 규탄의 목소리가 커졌고 1908년 벨기에 의회는 레오폴드에게서 콩고의 지배권을 빼앗아 합병하고 인권침해 금지법안을 제정하였다.제1차 세계대전 이후 벨기에는르완다부룬디를 차지하여 벨기에령루안다-우룬디를 만들어냈다. 한편 이 시기에 르완다, 부룬디에서 형성된 후투족과 투치족의 민족주의가 1990년대르완다 내전의 불씨가 된다.

벨기에령 콩고는1960년6월 30일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독립했고, 벨기에령 루안다-우룬디는1962년7월 1일르완다 공화국과부룬디 공화국으로 각각 독립했다.

나치 독일의 지배

[편집]

벨기에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국토 피해를 가장 많이 본 나라이고, 제2차 세계대전 때도 나치독일에 의해 점령을 당해 지배를 받은 경험이 있다. 루뱅에서는독일군이 자행한 학살로 많은 시민들이 무고하게 죽었다(벨기에 사람들은 이를루뱅 시 학살 사건이라 하여 추념하며, 루뱅에서는 지금도독일 국기를 게양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부흥이 가장 먼저 이루어진 나라이며1920년에는안트베르펜에서올림픽이 개최되기도 했다.

연립정부

[편집]

벨기에는1993년에 연방 국가로 탈바꿈했으나, 최근 북부와 남부의 갈등이 심화되기도 하였다. 국왕의 중재 아래2008년3월에 연립 정부가 구성되었다.

또한 벨기에는 1993년 11월 1일유럽연합이 탄생되면서 유럽연합의 본부가 설치된 나라이기도 하다.

지리

[편집]

벨기에는 프랑스, 독일, 룩셈부르크, 네덜란드와 국경을 접한다. 전체 면적은 33,990km2로 저지대를 뺀 온전한 땅만을 취한다면 30,528km2이다.

기후

[편집]

쾨펜의 기후구분에 따르면 서안해양성 기후인 Cfb이다.

정치

[편집]

이 나라는 국왕의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입헌 군주제이다. 현재 국왕은필리프 1세다. 정치적으로는의원내각제를 실행하고 있다. 현재총리신플람스연맹 출신의바르트 더 베버르다.

벨기에는 언어 사용 지역별로 지역주의가 굉장히 강하며,벨기에 노동당을 제외한 다른 모든 원내 정당은 지역정당이다.플랑드르 지역은신플람스 연맹,열린 플람스 자유민주당,기독교민주당과 플람스,다른 사회당,녹색당,플람스의 이익이,왈롱 지역은사회당,혁신운동,생태당,인문민주중도당,데피,인민당이 의석을 확보하고 있다.

무역

[편집]

2017년 기준으로 벨기에의 주요 수입출 상대국은 독일(16.61%), 프랑스(14.89%), 네덜란드(12.01%), 영국(8.42%), 이탈리아(4.91%)이다. 주요 수입 상대국은 네덜란드(17.20%), 독일(13.84%), 프랑스(9.48%), 미국(7.19%), 영국(4.83%)이다.

2017년 기준으로 총수출액은 429,980백만 달러, 총수입액은 406,412백만 달러이다. 주요 수출 품목은 석유 제품(25,532백만 달러), 기타 의약품(20,8454백만 달러), 자동차 (11,053백만 달러), 다이아몬드 (10,911백만 달러), 독극물(8,067백만 달러)이다. 주요 수입 품목은 석유 제품(18,838백만 달러), 기타 의약품(15,831백만 달러), 원유(15,285백만 달러), 자동차(12,648백만 달러), 가솔린(9,243백만 달러)이다.[2]

인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벨기에의 인구벨기에인입니다.

전국민의 약 57%를 차지하는 북쪽의플랑드르 지역에서는플랑드르인네덜란드어를 사용하고, 32%를 차지하는 남쪽의왈로니 지역에서는왈로니인들이프랑스어를 사용한다. 많은 외국인 노동자들도 살며 경제에 이바지하고 있는데 주로모로코,콩고 민주 공화국 등지에서 온 이민자들이다.

언어

[편집]
공식 언어
  네덜란드어 (59%)
  프랑스어 (40%)
  독일어 (1%)
  네덜란드어 + 프랑스어 (브뤼셀)

공식 공용어는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이다. 벨기에 왕실은프랑스어네덜란드어를 모두 구사해야 하며,미스 벨기에 역시프랑스어네덜란드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10%를 차지하는 수도브뤼셀 지역은 법적으로는 네덜란드어 및 프랑스어 두 언어를 병용하지만, 브뤼셀의 주민 8할 이상이 사용하는프랑스어가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 나라의 언어상황을 살피기 위해서는1993년에 개정한헌법과 그에 따른 연방제의 구조를 먼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나라는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

독일어 사용지역(벨기에 독일어 공동체)은제1차 세계대전 이후 벨기에가독일로부터 할양받은 지역에 해당한다. 본래 독일의 라인 지방의 일부였던 이 지역을 얻은 1919년에 독일어가 공식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벨기에의 모든 학교에서는영어가 외국어 필수로 지정되어 있으며스페인어 등을 제2외국어로 선택한다. 그리고 왈롱에서는 네덜란드어를, 플란데런에서는 프랑스어를 외국어로 배운다.

종교

[편집]
종교 구성 (벨기에)
로마 가톨릭
58%
무종교
20%
그외기독교
7%
무신론
7%
이슬람교
5%
기타
3%

이 나라의 국민의 대부분은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있는데, 거의로마 가톨릭교회 소속이다. 그 밖에도정교회개신교 종파가 존재하며, 이민자들로 인해이슬람교를 믿는 이들도 존재하고 있다.

군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벨기에의 군사입니다.

벨기에의 국군 통수권자는 국왕이며, 4만 1천명의 정규군이 존재한다.

  1. 육군 (Composante Terre),1830년 창설 (26,400명)
  2. 해군 (Composante Maritime),1917년 창설 (2,400명)
  3. 공군 (Composante Air),1915년 창설 (8,900명)
  4. Medical Component (Composante Médicale),2002년 창설 (2,000명)

행정 구역

[편집]
벨기에의 지도
 이 부분의 본문은벨기에의 행정 구역입니다.

1993년7월 14일 개정된 헌법은 벨기에를 독특한 연방제 국가로 만들었다. 연방은 세 계층으로 구성된다.

  1. 브뤼설에 자리한 연방 정부
  2. 세개의 언어 공동체
  3. 세개의 지역

문화

[편집]

벨기에는맥주초콜릿, 그리고벨기에 와플로 유명하다. 또한스머프탱탱의 모험 같은만화들을 제작해내기도 하였다. 수도브뤼셀에는오줌싸개 동상이 있어 세계 각지에서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인다.

이 나라의공영방송으로는 네덜란드어권의VRT, 프랑스어권의RTBF, 독일어권의BRF가 있으며,민영방송으로 네덜란드어권의VTM, 프랑스어권의RTL-TVI가 있다.

대외 관계

[편집]

대한민국

[편집]

대한 관계의 역사

[편집]

벨기에는1901년대한 제국과 수교하였고, 1905년에 단교하였다. 1949년에 대한민국을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하였다. 벨기에군과 룩셈부르크 군은한국 전쟁에 참전하여대한민국을 지원하였다.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벨기에와룩셈부르크는 한국전쟁에 보병 1개 대대(일명 벨룩스 대대, 벨기에 대대에 룩셈부르크가 소대 병력으로 합류)를 파병했다. 휴전 때까지 연인원 약 3천500명이 참전해 106명이 전사했다. 2016년 기준으로 생존자는 약 730명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3]

현황

[편집]

브뤼셀에 대한민국 대사관(주 룩셈부르크 대사관, 주 유럽연합 대표부 겸임)이 개설되어 있다.서울특별시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벨기에 수출은 22억5537만USD, 벨기에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4억5033만USD(각 2011년)에 달하여, 벨기에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35위의 수출국이자 제38위의 수입국이다.[4] 모두 824 명(재외국민 751명, 시민권자 73명)의 한민족들이 벨기에에 거주(2010년 12월 기준)하고 있다.[5]2002년 FIFA 월드컵 때는 대표팀이일본과 같은 조에 편성되어대한민국으로 가지 않고 일본으로 갔으나,1988년 하계 올림픽 때는 벨기에가 서울에 선수단을 직접 파견하였다.2014년에는송도국제도시겐트 대학교 캠퍼스가 들어섰다. 1995년에는아시아나항공이 벨기에로 가는 항공편을 운영하기도 하였으나IMF 구제금융사건으로 인해 단항되었다.[6] 한편,설기현벨기에 주필러 리그에 진출한 적이 있었으며 벨기에 선수도K-리그에 진출한 적이 있었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2001년에 공식 수교하였다.

기타

[편집]

벨기에는파키스탄이슬라마바드에 대사관,카라치라호르에 각각 영사관을 두고 있다. 파키스탄은브뤼셀에 대사관,헨트,안트베르펜, 그리고 벨기에령 룩셈부르크에 각 영사관을 두고 있다. 벨기에는 유럽에서 6위 규모의 파키스탄으로부터의 수입국이며, 양국의 무역 규모는 6억 USD에 육박하고 있다. 2008년 초, 파키스탄의 전 대통령페르베즈 무샤라프는 그의 유럽 순방(영국, 프랑스, 스웨덴 포함) 중에 벨기에를 방문한 적이 있다. 그의 브뤼셀 방문 중, 당시 벨기에 총리히 버르호프스타트와 함께 무역 및 상호 방위 협약에 대하여 논의한 바 있다.

벨기에는튀르키예앙카라에 대사관,이스탄불에 총영사관,안탈리아이즈미르에 각 영사관을 두고 있다. 터키는브뤼셀에 대사관,안트베르펜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

역대 군주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벨기에의 군주 목록입니다.

각주

[편집]
  1. 김용구. 《세계외교사》 1995(上 · 下 合本)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4쪽.ISBN 89-7096-413-4.프랑스는 11월 유럽의 현존하는 정부들을 전복하려는 모든 인민들에게 원조를 제공하겠다는 폭탄선언을 하였고 1793년 1월에 드디어 루이 16세를 처형하였다. 이때부터 프랑스는 대외팽창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사보이(Savoy), 니스(Nice) 그리고 벨지움을 합방하고 영국, 네덜란드 그리고 스페인에 대하여 전쟁을 선포하였다.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초판= (도움말)
  2. World Integrated Trade Solution Worldbank]
  3. 벨기에 한국전쟁 참전기념비 건립 50주년…전사자 추모
  4. “국가별 수출입”. 한국무역협회. 2011년 11월 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25일에 확인함. 
  5. “국가별 재외동포현황(2011).xls”.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2012년 5월 26일에원본 문서(엑셀)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25일에 확인함. 
  6. 단항 이후 벨기에를 여행하려는 한국인은 제3국을 경유해야 하며 순수 비행 시간으로 해도 14~21시간 이상이 걸린다.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공동체
지역과 주
브뤼셀 수도 지역
 
플란데런 지역
왈롱 지역
유럽의 나라
나라
속령
미승인국
  1. 일부 영토가아시아에도 속한다.
  2. 일부 영토가아프리카에도 속한다.
  3. 지리적으로는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유럽으로 분류된다.
창립 회원국
산하기구
회원국
참관국
구 회원국
역사
구조
요인
회원국
대외관계
회원국
역내 회원국
역외 회원국
예상 회원국
역내 회원국
역외 회원국
참여 희망국
지중해 연합
참관국:리비아의 기리비아
회원국
참관국
* 프랑스어 이외에 공용어가 존재하는 나라
^ 프랑스어가 공용어가 아닌 나라
국제
국가
지리
학술
아티스트
인물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벨기에&oldid=40777640"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