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박병호 (야구 선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병호
Park Byung-Ho
삼성 라이온즈 No.52

2025년 7월 31일 대전 한화전에 앞서 훈련하는 박병호.

기본 정보
국적대한민국
생년월일1986년 7월 10일(1986-07-10)(39세)
출신지서울특별시
신장185 cm
체중107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우투우타
수비 위치1루수,3루수,지명타자,포수(입단 당시)
프로 입단 연도2005년
드래프트 순위2005년 1차 지명(LG 트윈스)
첫 출장KBO /2005년4월 2일
잠실두산
MLB /2016년4월 4일
오리올 파크볼티모어
마지막 경기MLB /

2016년6월 28일
U.S. 셀룰러 필드화이트삭스

획득 타이틀
  • 2012년 ~ 2013년KBO MVP
  • 2012년 ~ 2014년, 2018년 ~ 2019년, 2022년KBO 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 2012년 ~ 2015년, 2019년, 2022년KBO 홈런왕
  • 2012년 ~ 2015년KBO 타점왕
  • 2012년 ~ 2013년, 2018년KBO 장타율왕
  • 2013년KBO 득점왕
  • 2014년KBO 올스타전 MVP
  • 2018년KBO 출루율왕
  • 2023년KBO 수비상
계약금3억 3,000만원
연봉7억원 (2023년)
경력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프리미어 122015년,2019년
아시안게임2014년,2018년

박병호(朴炳鎬,1986년7월 10일 ~ )는KBO 리그삼성 라이온즈내야수,지명타자이다.

아마추어 시절

[편집]

서울성남고등학교 시절 전국 대회에서화순고등학교휘문고등학교와의 2경기에 걸쳐 4연타석 홈런을 기록했는데 이는 고등학생으로서 최초의 기록이었다.[1]

한국 프로야구 시절

[편집]

LG 트윈스 시절

[편집]

1차 지명으로 입단 후 1루수로 전향해 많은 기대를 모았으나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상무 야구단 시절

[편집]

2006년에 입대해 2008년 2군 북부 리그 홈런왕을 차지했다. 2008년 말에 제대했다.

LG 트윈스 복귀

[편집]

2009년 시즌

[편집]

1군 첫 경기에서 연타석 홈런을 포함해 4타수 3안타를 친 지 며칠 뒤 또 연타석 홈런을 쳐 냈다. 그러나 변화구에 약점을 보인 뒤 급추락했다.[2] 그 해 9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2010년 시즌

[편집]

시즌 전이택근의 트레이드 영입, 외야수이병규의 복귀 등으로 외야진의 포화 현상으로 인해이택근이 1루수를 겸업하며 팀 내에서 그의 입지는 줄어들었고, 2010년 9월 17일SK 와이번스전에서나주환과 충돌해 왼쪽 팔꿈치 부상을 당해 시즌을 마감했다.[3]

2010년 시즌을 마치고 토미 존 수술을 받은 관계로, 2011년에는 1군에 늦게 합류했다. 하지만 1군과 2군을 오고 가다가 2011년 7월 31일 투수심수창과 함께김성현,송신영을 상대로넥센 히어로즈로 트레이드됐다. 등번호도 25번에서 52번으로 바꿔 달기로 했다.

넥센 히어로즈 시절

[편집]

2011년 시즌

[편집]

트레이드 후 맹타를 휘두르며 팀에 힘이 됐다. 그의 입단 전 1루는이숭용,장영석,오재일,조중근이 번갈아 맡아 왔으나, 트레이드로 영입한 그가 1루수로 완전히 정착했다. 트레이드 후 당시 구단주였던이장석의 지시 아래 그를 쭉 선발 출장시켰지만, 트레이드 후 처음 출장한 대구삼성전에서는 12타수 2안타로 부진했다. 8월 5일두산전에서는알드리지가 부상을 당해 그가 4번 타자로 출장했고두산전 3차전에서 11타수 7안타, 2홈런, 5타점으로 맹활약했다. 구단주와 감독, 코치진은 그에게 무한한 신뢰를 주며 새로운 4번 타자로 키우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8월에는 리그 최다 홈런을 쳐 내며 괴력을 보였으며, 8월 20일KIA전에서유동훈을 상대로 데뷔 첫 끝내기 홈런을 쳐 냈다.[4] 팀이 최하위로 떨어졌지만 그의 맹활약으로 마지막까지 파이팅 넘치는 플레이를 보여줬다. 시즌 13홈런을 기록해 개인 첫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했다. 그를 오랜 기간 괴롭혀 온 발의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기 위해 구단의 배려로 시즌 종료를 몇 경기 앞두고 시즌을 마감하기로 했으며, 시즌 마지막 출장 경기에서도 홈런을 기록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시즌 후 그가 팀의 새로운 스타가 된 반면 트레이드 당사자 중송신영은 FA를 선언해한화 이글스로 이적했고, 2년 후인 2013년에 트레이드로 히어로즈에 복귀해 그와 함께하게 됐다.김성현은 2012년에 승부 조작 사실이 드러나 방출돼 이 트레이드는LG 트윈스의 입장에서 완전히 실패한 트레이드가 됐다.

2012년 시즌

[편집]

실질적으로 첫 풀 타임 시즌을 맞았다. 팀의 4번 타자로 중용됐으며, 3루 수비 연습도 했으나 주로 1루수나 지명타자로 출장했다.[5] 시범 경기에서 연타석 홈런을 쳐 내며 고타율로 승승장구했으나 4월 한 달 간 타격감이 오르지 않았다. 그러다가 4월 15일삼성전에서차우찬을 상대로 생애 첫 만루 홈런을 쳐 낸 것을 시작으로[6] 4월에 총 4홈런을 쳐 냈다. 5월과 6월에는 3할 이상의 타율을 유지하며 6월까지 16홈런, 58타점으로 홈런과 타점 부문 상위권을 유지했다. 전반기 타율 2할 8푼, 17홈런, 64타점으로 홈런 3위, 타점 1위를 유기록했다. 후반기 때 홈런 선두를 달리던강정호가 봉와직염으로 잠시 주춤한 사이 홈런을 늘렸다. 8월 1일에는 생애 첫 한 경기 3홈런을 쳐 냈고, 7월 31일~8월 5일까지 6경기에서 6홈런을 몰아치며 홈런 1위에 등극했다.[7] 그 후 홈런 1위를 계속 지켰으며 타점 부문은박석민에게 잠시 1위를 내주기도 했으나박석민이 9월에 부진한 사이 치고 올라가며 타점 부문 1위를 확고히 했다. 또한 9월 21일한화와의 경기에서 1홈런, 3타점을 기록해 2012년 시즌 첫 30홈런-세 자릿수 타점을 기록했다. 이는KBO 리그 통산 40번째 기록이었다.[8] 또한 10월 2일두산전에서 도루를 성공하며 20홈런-20도루 클럽에 가입했다.[9] 이는 1루수로는김성한에 이어 역대 2번째였으며,강정호와 함께 두 중심 타자가 모두 20홈런-20도루 클럽 가입에 성공했고 이는KBO 리그 역대 최초의 기록이었다. 시즌 후 거포의 상징인 홈런왕, 타점왕, 장타율왕 등 3개의 개인 타이틀을 획득했다. 또 팀 사상 첫 정규 시즌 MVP에 선정됐고, 같은 해 데뷔 후 첫 1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도 수상했다. 하지만 시즌 후 열렸던 2013년WBC 국가대표팀에는 선발되지 못했으며, 그가 2013년과 2014년에 꾸준히 홈런 타자로 성장한 후 인천 아시안 게임을 앞두고 국가대표팀에 선발됐다.

2013년 시즌

[편집]

작년과 마찬가지로 1루수로 전 경기에 출장했다. 3월과 4월에는 총 4홈런으로 안 좋았다가, 5월에 0.341의 타율을 기록하며 팀의 상승세에 큰 기여를 했다. 4월~6월의 타율이 3할 7리에 불과한 반면 7월~8월의 타율은 3할 3푼 1리를 기록했으며 이 기간 40경기 동안 11홈런을 쳐 냈다. 또한 팀이 큰 상승세를 올리던 9월에는 18경기에서 무려 11홈런을 쳐 냈다. 9월 29일두산전에서는 개인 통산 2번째로 1경기 3홈런, 7타점을 기록했으며, 37홈런을 기록해 2년 연속 30홈런-세 자릿수 타점을 달성했다. 또한 2012년에는 달성하지 못했던 3할 타율까지 달성하며 개인 통산 첫 3할 타율-30홈런-세 자릿수 타점을 기록했다. 10월 3일KIA전에서는 데뷔 첫 한 경기 3도루를 성공했다. 또한KBO 리그 사상 첫 2년 연속 전 경기 4번 타자로 출장하며 팀의 창단 첫 포스트시즌 진출에 크게 공헌했다. 시즌 중 감독 추천 선수로 올스타에 선정돼 데뷔 후 처음으로 올스타전에 출전했다.[10] 팀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함에 따라 데뷔 후 첫 포스트시즌을 치렀으나 팀은 경험 부족을 드러내며두산 베어스에 패해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하지만 시즌 MVP를 또 다시 수상하며 역대 4번째 2년 연속 MVP가 됐고, 홈런, 타점, 득점, 장타율 등 4관왕을 차지했다.

2014년 시즌

[편집]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

타고투저의 영향에 힘입어 항상 안 좋았던 4월에도 나쁘지 않은 활약을 보여주며 5월에 좋은 홈런 페이스를 가져갔다.[11] 특히 5월에는 14홈런, 6월에는 9홈런을 쳐 내며 5월, 6월에 23홈런을 쳤다. 그러던 중 슬럼프에 빠지면서 6월 27일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시즌 29호 홈런을 친 후 긴 부진에 빠져 선발 출장에서 제외됐다. 7월 11일NC 다이노스전에서 대타로 출전해 30홈런을 쳤고, 3년 연속 30홈런을 기록했다.올스타전에서 1루수로 선발돼 맹활약했다.김광현을 상대로 2루타,채병용을 상대로 3점 홈런,안지만을 상대로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 4타수 3안타, 4타점으로 웨스턴리그의 대승을 이끌어내며 생애 첫 올스타전 MVP를 차지했다.9월 5일NC 다이노스전에서 3연타석 홈런 포함 역대 두 번째 한 경기 4홈런을 달성했다.2014년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팀으로 발탁돼 데뷔 첫 국가대표가 됐고, 주장으로 선출됐다. 대만과 2차전에서 첫 홈런을 쳤고, 중국과의 준결승전에서 결승 3점 홈런을 쳐 내며 대표팀의 결승 진출에 기여했고, 생애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10월 14일롯데 자이언츠전에서김사율을 상대로 데뷔 첫 50홈런을 달성했다. 이로써 역대 3번째 50홈런을 기록했다. 다만 데뷔 후 처음 출전한2014년 한국시리즈에서는 매우 부진했다. 비록 팀은 한국시리즈에서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지만, 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을 수상하며 3년 연속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2015년 시즌

[편집]

홈런과 타점 부문 1위를 차지했다. 또, 역대 최초KBO 리그 2년 연속 50홈런, 한 시즌 개인 최다 타점 타이 기록을 달성했다.2015년 11월 7일, 팀은 그에 대한 3,995만 달러의 포스팅 응찰을 수용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4,312만 5,000달러의 금액을 기록한스즈키 이치로에 이어 아시아 야수 중 2위 기록이었으며, 국내 야수 중에선 최고 기록이었다. 그리고미네소타 트윈스의 1285만 달러 포스팅 금액을 수용했으며, 12월 2일 5년 최대 1,800만 달러에 계약하며 꿈에 그리던MLB 진출이 확정됐다.

미국 프로야구 시절

[편집]

미네소타 트윈스 시절

[편집]

5년 최대 1천 800만 달러라는 거액의 계약을 따낸 그는 시범 경기에서 만루 홈런 등의 활약으로MLB 25인 로스터에 합류했다. 4월 9일 첫 홈런을 시작으로 4월에 홈런을 몰아쳐, 30홈런도 가능할 것으로 보였지만 강속구 대처에 어려움을 겪었다. 6월까지 12홈런을 쳐 냈음에도 불구하고 타율이 1할대 후반으로 저조했다. 결국 마이너리그로 강등된 그는 트리플 A에서 1할대 타율을 유지하며 3연타석 홈런을 쳤지만, 손목 부상의 여파로 시즌을 조기 마감했다. 이후 팀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 그는 40인 로스터에서 제외되며 2017년 2월 9일에 방출됐지만 어떠한 구단에서도 반응이 없어 다음날 웨이버를 통과하며 트리플 A로 이관돼 마이너 팀인로체스터 레드윙스에 잔류했다.[12]

한국 프로야구 복귀

[편집]

넥센 히어로즈 복귀 &키움 히어로즈 시절

[편집]

2017년 11월 27일 구단 첫 10억 단위의 계약이자 최고액인 연봉 15억에 계약을 체결하며 복귀했다.[13]

2018년 시즌

[편집]
2018년에 고척스카이돔에서 사인하고 있는 모습

4월 5일kt전에서엄상백을 상대로 끝내기 안타를 쳐 내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14]4월 14일두산전에서 종아리 근육 부상으로 인해 엔트리에서 말소됐다.[15]5월 20일삼성전에서 복귀했다.[16] 6월 1일LG전에서차우찬을 상대로 역대 38번째 6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달성했다.[17]8월 8일KIA전에서임기영을 상대로 역대 2번째 5년 연속 30홈런을 기록했고, 9월 14일NC전에서원종현을 상대로KBO 리그 최초 5년 연속 세 자릿수 타점을 달성했다. 9월 18일두산전에서박치국을 상대로KBO 리그 최초 3년 연속 40홈런을 달성했다.[18]

2019년 시즌

[편집]

15억원에 재계약했다. 초반 0.376의 타율에 13홈런을 쳐 내며 압도적인 타격을 선보였지만 5~6월에 1할도 되지 않는 극심한 타격 부진에 빠졌다. 후반기 역대 5번째 한 경기 4홈런을 달성했다. 8월 7일롯데전에서다익손을 상대로 역대 3번째 6년 연속 20홈런을 달성했다.[19]9월 3일두산전에서윤명준을 상대로 역대 2번째 6년 연속 30홈런을 달성했다.[20]공인구 반발력 저하에도 불구하고 33홈런으로 리그 유일 30홈런 및 개인 5번째 홈런왕이 됐다. 1루수 골든글러브까지 차지하며 5연속 1루수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2020년 시즌

[편집]

계약금 3억 3,000만원, 연봉 20억원에 계약했다. 8월 11일한화전에서서폴드를 상대로 역대 2번째 7년 연속 20홈런을 달성했다.[21] 트레이드로 이적 후 최소 경기 출장, 가장 낮은 타율을 기록하며 부진했다.

2021년 시즌

[편집]

김상수의 뒤를 이어 팀의 새 주장으로 선정됐다.[22]

kt 위즈 시절

[편집]

2021년 시즌을 마감한 후FA 자격을 얻었고,2021년12월 29일 총액 3년 30억원(계약금 7억, 연봉 20억, 옵션 3억)에 계약하며 이적했다.

2023년까지는 준수한 시즌을 보냈으나 2024년 들어 타격 부진으로문상철에게 밀려 출전 기회가 줄어들자kt 구단에 웨이버 공시해 달라고 요청하는 등[23] 마지막이 좋지 못했다.

삼성 라이온즈 시절

[편집]

2군으로 내려간 후 출전 기회 보장을 위해 웨이버 공시까지 요청했던 그는 결국2024년5월 28일 경기를 마친 후오재일을 상대로삼성 라이온즈에 트레이드됐다.[24]

경기를 마친 직후대구로 내려와서 삼성 선수단에 합류했으며, 등번호는 52번을투수코너 시볼드가 이용하고 있어서 52번 대신 59번을 이용하기로 했다. 곧바로 1군에 등록한 후5월 29일대구히어로즈전에 6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했으며,삼성 이적 기념으로 장외 홈런을 기록했다.[25]

출신 학교

[편집]

등번호

[편집]

평가

[편집]
  • 마해영은 그가이대호를 넘을 수 있는 기량을 가지고 있는 선수라고 평가했다.[26]
  • 김경문은 그가 매년 30홈런 이상 때려 낼 수 있는 기량을 가진 선수라고 평가했다.[27]
  • 이승엽은 그가 홈런왕의 맥을 이을 선수라고 평가했다.[28]
  • 김정준이 그를 하늘에서 내린 4번 타자라고 불렀다.

별명

[편집]
  • 오른손 강타자였던클리프 브룸바의 이름을 본뜬 '브룸박'과MLBLA 에인절스의 우타자인앨버트 푸홀스의 이름을 본뜬 '병홀스'라고 불렸다.[29]
  • 엄청난 장타력을 가졌다는 의미로 빅뱅과 이름을 합쳐 '박뱅'이라고 불린다.
  • 부진할 때 선풍기처럼 배트가 쉽게 돈다고 해서 '박풍기'라고 불린다.
  • '국민 거포 박병호'의 줄임말인 '국거박'이라고 불린다.

배우자

[편집]

주요 기록

[편집]
기록날짜상대팀내용종전 기록기타
20-20 클럽2012.10.2두산역대 35번째
100홈런2013.9.20KIA역대 62번째
200홈런2015.8.17롯데역대 21번째
1경기 4홈런2014.9.4NC역대 2번째박경완
2년 연속 50홈런2015.9.21NC역대 최초
한 시즌 최다 루타2015.9.22NC377루타이승엽 356루타
한 시즌 최다 타점2015.10.2롯데146타점이승엽 144타점
5년 연속 30홈런-100타점2018.8.8NC역대 최초
3년 연속 40홈런2018.9.18두산역대 최초
6년 연속 20홈런2019.8.7롯데역대 3번째최형우
6년 연속 30홈런2019.9.3두산역대 2번째이승엽
1경기 4홈런2019.8.27한화역대 5번째한동민
1경기 최다(17)루타2019.8.27한화역대 최초
1경기 4홈런 2번2019.8.27한화역대 최초
300홈런2020.7.5kt역대 14번째
7년 연속 20홈런2020.8.11한화역대 2번째이승엽
8년 연속 20홈런2021.10.16삼성역대 2번째이승엽
9년 연속 20홈런2022.06.21NC역대 최초

통산 기록

[편집]
















2

3



















O
P
S












4
2005LG19791851632231110321101248.190.265.313.5785136040
200620481421307212051313942.162.227.292.5193842100
20092368213188284170925212070.218.305.399.7047534011
20102478192160253040722512655.188.305.344.6495552223
2011251517163210130019.125.176.375.551600000
넥센255121318528491021228202567.265.357.535.8929952010
'11합256623020131511121331202676.254.344.522.86610552010
201226133560469761363403111720973111.290.393.561.954263611073
20132712855645091143170371051029296.318.437.6021.03927178064
201428128571459126139162521248396142.303.433.6861.1193151312043
2015291406225281291813515314610378161.343.436.7141.1503771012046
2016MIN30622442152841911224102180.191.275.409.6848835030
Rochester3031128116182650101900632.224.297.526.8236146000
2017311114554194810622214600028130.253.308.415.723174166020
2018넥센3211348840088138200431120168114.345.457.7180.1752879170310
2019키움331225324329212122033980178117.280.399.560.959242713095
2020349338330956697021660057114.223.353.450.80213989082
202135118477409489323020760147141.227.323.430.753176914073
2022kt361244874297211817035985340131.275.349.559.90924070000
2023371324934315312215018872046114.283.357.443.800191
KBO 통산 : 15년15706132589494414342415380114166287681532.278.381.548.92926349611235640
MLB 통산 : 1년622442152841911224102180.191.275.409.6848835030
AAA 통산 : 2년1425835356613227224790034162.278.305.439.7452352012020
  •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빨간 글씨는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단일시즌 최고 기록

각주

[편집]
  1. 성남고 박병호 '고교 최초 4연타석 홈런 괴력' 《스포츠서울》, 2004년 5월 2일
  2. LG 새로운 4번타자 박병호, 스리런 폭발 '4G 연속 홈런쇼' 《OSEN》, 2010년 6월 13일
  3. 박병호 팔꿈치 인대 접합 수술 받는다… 3개월 재활 예정 - 이데일리
  4. 넥센, '이적생' 박병호 연장 끝내기 홈런으로 3연승《스포츠조선》, 2011년 8월 20일
  5. 김시진, "박병호, 내년부터 3루 겸업시킬 것"《OSEN》, 2011년 11월 23일
  6. 넥센 4번 박병호, 프로 첫 만루포, 차우찬 또 만루포 허용 《스포츠조선》, 2012년 4월 15일
  7. 넥센 박병호, 최근 6경기 6홈런 '괴력 발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일간스포츠》, 2012년 8월 5일
  8. 넥센 박병호 30홈런·100타점 달성…역대 40번째 《MK스포츠》, 2012년 9월 22일
  9. 넥센 박병호, 35번째 '20홈런-20도루' 클럽 가입《이데일리》, 2012년 10월 2일
  10. 프로야구 올스타전 감독 추천 선수 발표…박병호·나성범 포함 《스포츠동아》
  11. 박병호, 전광판 넘긴 괴력포! ‘홈런 1위’ 《KBS TV》
  12. 박병호, 웨이버 절차 통과 미네소타 잔류… 마이너리그서 재도전 - 시사포커스
  13. 박병호, 넥센 돌아온다…연봉 15억원 - 동아일보
  14. '홈런왕' 박병호, 홈런 대신 끝내기 안타로 승리 견인 - 이데일리
  15. 넥센 박병호 종아리 파열상 1군 제외, 18일 재검진 예정 - 스포츠서울
  16. “돌아와줘서 고맙다” 넥센 박병호, 20일 삼성전서 컴백 - 마이데일리
  17. 넥센 박병호, 선제 솔로포…6년 연속 10홈런 - 연합뉴스
  18. KBO 1호 3년연속 40홈런 박병호, 역사와 승리를 다 이뤘다 - 스포츠조선
  19. 키움 박병호, 역대 3번째 6년 연속 20홈런 - 연합뉴스
  20. 키움 박병호, 역대 두 번째 6년 연속 30홈런 - 연합뉴스
  21. 키움 박병호, 7년 연속 20홈런 완성…역대 통산 2번째 - 스포츠월드
  22. 박병호, 2021시즌 키움 주장 선임 - 스포츠서울
  23. 오상진 (2024년 5월 29일).“KT에 웨이버 요청한 '국민 거포' 박병호, 전격 삼성행...오재일과 1대1 트레이드 [공식발표]”. 스포탈코리아. 2024년 8월 13일에 확인함. 
  24. 윤욱재 (2024년 5월 29일).“트레이드 없었으면 590홈런도 없었다... 박병호-오재일 맞교환, 야구 인생에 거대한 변화 오나”. 스포티비뉴스. 2024년 5월 29일에 확인함. 
  25. 박병호, 삼성 이적 후 첫 경기에서 장외 홈런 폭발 - 연합뉴스
  26. 마해영의 좋은 시선-박병호, 이대호도 넘을 수 있다 《아시아경제》, 2011년 9월 7일
  27. NC 김경문 "박병호, 매년 25홈런 이상 칠 것" 《OSEN》, 2011년 9월 8일
  28. 이승엽 "내 뒤를 이을 홈런왕은 박병호" 《연합뉴스》
  29. '생애 첫 끝내기포' 박병호, "'브룸박' 별명 마음에 들어요"《조이뉴스24》, 2011년 8월 20일
  30. 야구 커플 박병호-이지윤 결혼식, “홈런이에요”《스포츠경향》, 2011년 12월 10일

외부 링크

[편집]
삼성 라이온즈 - 현재 명단
감독
코치
퓨처스 감독
퓨처스 코치
3군(육성군/잔류군) 코치
재활군 코치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군입대 선수
관련 구단
2008년 트레이드
2009년 트레이드
2010년 트레이드
2011년 트레이드
2012년 트레이드
2014년 트레이드
2017년 트레이드
2018년 트레이드
관련 문서
한국프로야구 수상 및 영예
KBO 수비상 수상자
2023년
투수 -페디 / 포수 -양의지 / 1루수 -박병호 / 2루수 -김혜성 / 3루수 -허경민 / 유격수 -박찬호,오지환 / 좌익수 -에레디아 / 중견수 -박해민 / 우익수 -홍창기
2024년
투수 -하트 / 포수 -박동원 / 1루수 -오스틴 / 2루수 -김혜성 / 3루수허경민 / 유격수 -박찬호 / 좌익수 -에레디아 / 중견수 -정수빈 / 우익수 -홍창기
최다 수상이승엽 (7회) |최장 연속이승엽 (7년, 1997~2003) |신인 수상서용빈 (1994년) |외국인 선수테임즈 (2년, 2015~2016),오스틴 (2년, 2023~2024) |최다 배출 팀삼성 라이온즈 (9회)
  • 가입 조건 : 홈런 20개 이상, 도루 20개 이상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최다 가입 :양준혁 (4회 -1996년~1997년,1999년,2007년) ·박재홍 (4회 -1996년~1998년,2000년)
최고령 가입 :추신수 (2021년, 만 39세 2개월 22일) |최연소 가입 :김재현 (1994년, 만 19세 11개월 5일)
한국 프로 야구 300홈런 클럽 멤버
  • 가입 조건 : 정규리그 통산 300홈런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75류중일
코치 71조계현 · 76유지현 · 77윤영환
투수 1안지만 · 11이재학¹ · 12임창용 · 21유원상¹ · 22이태양¹ · 23차우찬¹ · 29김광현 · 42홍성무¹ · 51봉중근 · 54양현종 · 63한현희¹
포수 20이재원 · 47강민호
내야수 3김민성¹ · 7김상수¹ · 13황재균¹ · 16강정호 · 17오재원¹ · 52박병호
외야수 25나지완¹ · 31손아섭¹ · 48나성범¹ · 49민병헌 · 50김현수
1은 금메달 획득 후 병역 특례 혜택을 받았다.
감독 90선동열
코치 71이강철(투수) · 72정민철(투수) · 76유지현(내야 및 작전) · 77이종범(외야 및 주루) · 88김재현(타격) · 92진갑용(배터리)
투수 1임찬규 · 30최원태¹ · 38임기영 · 42장필준 · 45이용찬 · 50박종훈 · 51최충연¹ · 54양현종 · 57정우람 · 61함덕주¹ · 66박치국¹
포수 20이재원 · 25양의지
내야수 2오지환¹ · 7김하성¹ · 8안치홍 · 10황재균 · 13박민우¹ · 52박병호
외야수 17이정후¹ · 22김현수(주장) · 31손아섭 · 32김재환 · 58박해민¹
1은 금메달 획득 후 병역 특례 혜택을 받았다.
감독 71이강철
코치 70진갑용(배터리) · 72김민호(3루/작전) · 76김민재(1루/수비) · 77김기태(타격) · 81배영수(불펜) · 88심재학(퀄리티컨트롤(QC)) · 91정현욱(투수)
투수 1고영표 · 18정우영 · 19고우석 · 21박세웅 · 29김광현 · 30소형준 · 34김원중 · 45이용찬 · 46원태인 · 48이의리 · 54양현종 · 57김윤식 · 59구창모 · 61곽빈 · 65정철원
포수 25양의지 · 56이지영
내야수 2김혜성 · 7김하성 · 10오지환 · 14최정 · 50강백호 · 52박병호
외야수 17박해민 · 22김현수(주장) · 37박건우 · 47나성범 · 51이정후 · 53최지훈
투수
타자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현역 선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병호_(야구_선수)&oldid=40388099"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