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느질 재료에는 본 뜰 종이, 옷감이 필요하다. 본 뜰 종이는 얇으면서도 잘 찢어지지 않는 것이 좋다. 원형지를 사용하면 시침핀을 꽂기 쉽고 룰렛으로 표시하기 좋다. 옷감의 크기는 (본 크기+시접)×2이다. 옷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본을 뜬 다음에 계산하여 준비한다.
손바느질을 하려면 먼저 바늘에 실을 꿰고 매듭을 지어 놓는다. 그런 다음 손가락에 골무를 끼고, 엄지와 중지로 바늘을 잡고 바른 자세로 바느질한다. 바느질 도중에 실이 모자라서 실잇기를 할 때에는 먼저의 실 끝과 새로 꿴 실 끝을 옭매어 잇거나, 모자라는 실 끝은 그대로 두고 4 ~ 5땀 정도를 겹쳐 꿰매어 잇는다.
본 바느질을 하기 전에 두 장의 천이 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거나, 완성된 옷을 부분적으로 고정시켜 모양을 바르게 유지하려고 할 때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시침질은 완성선에서 약 0.2cm 떨어진 시접분에 하며, 2 ~ 3cm 정도의 바늘땀으로 겉에 보이는 땀의 길이를 길게 하여 뜬다. 두꺼운 면직물이나 모직물에는 굵은 시침실 한 가닥을, 견직물이나 얇은 합성 섬유 직물에는 가는 면사를 사용한다.
손 바느질의 가장 기본이 되는 바느질 방법이다. 두 감을 이어주거나 솔기를 부드럽게하거나 잔주름을 잡을 때에 쓰인다. 겉과 안을 거의 같은 길이의 바늘땀으로, 한꺼번에 3 ~ 5땀씩 떠서 실을 잡아당긴다. 특히 주름을 잡기 위한 홈질을 할 때에는 0.5cm 간격으로 두 줄을 홈질하여 두 가닥의 실을 동시에 잡아당긴다.
옷 감을 이용하여 소품을 만들 때재봉틀을 사용하면 바느질을 고르고 튼튼하게 할 수 있으며, 일의 속도가 빨라 편리하다. 요즈음 나오는 재봉틀은 사용 방법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편리하다. 재봉틀은 윗실과 밑실 두 가닥의 실을 엇갈리게 매듭을 지어 나가면서 꿰매는 일을 한다.
돌림바퀴를 돌려 노루발을 높이 올려 놓고 바느질감을 밀어 넣어 박으려는 위치에 바늘이 꽂히게 한 다음 노루발올리기를 내려 고정시킨다.동력을 연결시켜 재봉틀을 작동시킨다. 시작은 천천히 하고 박히는 상태를 관찰하면서 박으려는 선을 따라 박는다. 박기가 끝나면 노루발과 바늘을 올리고 바느질감을 뒤로 빼서 가위나 실 끊는 장치로 실을 끊는다.
바늘땀은 보통 2 ~ 2.5mm 정도로 조절한다. 얇은 감일 경우에는 더 짧게, 두꺼운 감일 때는 더 길게 조절하고, 시침 바느질에는 항상 바늘땀을 길게 한다. 윗실과 밑실을 뒤로 10 ~ 15cm쯤 빼놓은 뒤, 바늘대와 노루발을 올리고 옷감을 바늘대 밑에 댄다. 바늘대를 내리면서 바늘이 바느질선 위에 바로 꽂히도록 하고 노루발을 내린다.바느질의 시작과 끝에는 솔기가 풀리지 않도록 4 ~ 5땀을 되돌아 박는다. 왼손은 노루발 뒤에 두고, 오른손은 앞쪽에서 옷감을 안내한다. 직선은 솔기가 비뚤어지지 않도록 곧게 박는다. 곡선은 윗실 조절기를 약간 늦추어 실이 잘 나오게 한 후 직선박기를 할 때보다 천천히 박는다. 각이 진 곳을 박을 때에는 2 ~ 3땀 정도 되돌렸다가 모서리를 돌아 다시 반복하되 각의 정점에 바늘이 꽂힌 상태로 방향을 돌린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