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민중당 (199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민중당
창당일1990년11월 10일
해산됨1992년3월
전신민중의당
후신건설국민승리21
진보정치연합
민주자유당
중앙 당사서울특별시영등포구 여의도동 44-22[1]
기관지전망
이념사회민주주의[2]
민주사회주의[3]
진보주의[4]
스펙트럼중도좌파 ~좌익
상징색    황색 (#FFA500)

민중당(民衆黨)은1990년11월 10일부터1992년3월까지 존재했던대한민국의 진보정당이다. 1992년 총선에서 정당 득표율 미달로 인해 해산되었다.

연혁

[편집]

1980년대 후반 재야진영과 운동권에서는 기존의 장외투쟁과 병행함과 동시에 제도 정치권 내부에서 기층민중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혁신정당(革新政黨)을 건설하자는 논의가 일기 시작하였다.

1987년6월 항쟁 이후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중후보 독자출마론을 주장하였던 사람들을 중심으로, 제도권 내 합법정당 창당 논의 결과1989년11월 20일이우재,장기표 등은민중의 당한겨레민주당을 이끌어온 인사들을 주축으로 '진보적 대중정당 건설을 위한 준비모임'을 결성하였다. 이들은 90년 4월 '민주연합추진위원회'에 참가하였으나 선야권통합을 주장하는이부영 등과 의견대립을 보이다가 결국1990년11월 10일 한겨레민주당 계열의 주도하에 독자적으로 민중당을 창당되었다.

상임대표이우재(李佑宰), 정책위원장장기표(張基杓), 사무총장이재오(李在伍)가 선임되었다.

민중당은 상임대표위원 이우재, 정책위원장 장기표, 사무총장 이재오, 교수위원장 오세철 등의 중앙지도부와 전국 51개의 지구당으로 구성되었다. 1992년에는 제14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신군부 정권의 실정(失政)을 비판하고, 노동자와 농민 등 기층민중의 이익을 대변할 것을 약속하며 활발한 선거운동을 벌였다.

1991년 1월 30년 만에 부활된 지방 선거에서 42명의 후보가 출마하여 강원도 정선군에 출마한성희직 후보 1명이 당선되었고,1992년 3월 제14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지역구 후보 53명(서울 8명, 부산 4명, 대구 2명, 인천 5명, 광주 4명, 대전 1명, 경기 11명, 강원 4명, 충북 1명, 전북 3명, 전남 1명, 경북 5명, 경남 4명), 전국구 후보 4명(1번김낙중, 2번지은희, 3번김문수, 4번 정태윤)이 출마하여 평균 6.25%의 득표율을 기록하였으나 단 한 명도 당선되지 못하여, 며칠 후 정당법에 의거해 해산되었다.

민중당 해산 이후 당 지도부였던이재오,김문수(金文洙),이우재,정태윤을 위시한 상당수 세력은 문민정부 출범 이후보수주의자로 전향하여민주자유당(民主自由黨)으로 건너갔으며, 현재 미래통합당에 이르고 있다. 민중당의 핵심 중 정책위원장을 지낸 장기표는 2020년 4월 총선에서 미래통합당 소속으로 출마했다. 또한 일부 세력은 민주당으로 흡수되었다.

역대 정당 당원

[편집]
 분류:민중당의 정치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주요 선거 결과

[편집]

국회의원 선거

[편집]
연도선거지역구비례대표정원
당선당선비율당선득표율당선당선비율
1992년14대0/224
0%
0/750/299
0%

지방선거

[편집]
연도선거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광역의원기초의원
당선당선비율당선당선비율당선당선비율당선당선비율
1991년-1/866
0.1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대한민국 정부 (1992년 4월 7일).“중앙당 등록 취소 공고(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고 제1992-97호)”. 《대한민국 관보》 (대한민국 총무처) (12086): 28. 2020년 9월 27일에 확인함. 
  2. https://archives.kdemo.or.kr/isad/view/00005383
  3. https://archives.kdemo.or.kr/isad/view/00005383
  4. https://archives.kdemo.or.kr/isad/view/00015791
1945년 ~1961년
조선공산당 (1925년4월 17일 ~1946년11월 23일) →남조선로동당 (1946년11월 23일 ~1955년6월 30일) →조선로동당

연안파조선신민당 (1925년4월 ~1946년11월 23일) →남조선로동당 (1946년11월 23일 ~1955년6월 30일) →조선로동당
건국준비위원회 (1945년8월 15일 ~1945년9월 7일) →조선인민당 (1945년11월 12일 ~1946년10월) →남조선로동당 (1946년11월 23일 ~1955년6월 30일),사회로동당 (1946년10월 ~1947년2월 28일) →근로인민당 (1947년5월 24일 ~1949년) → 해산
노농당 (1955년2월 15일 ~1951년) → 민주사회당 (1959년11월 20일 ~1960년) →한국사회당 (1960년 ~1961년,1963년 ~1967년)
민주주의독립전선 (1946년 ~1948년) → 해산
민주독립당 (1947년10월 13일 ~1948년9월) → 해산
인민공화당 → 해산
사회민주당 (1946년5월 22일 ~1949년) → 해산
사회당 (1948년12월 1일 ~1950년6월) → 해산
진보당 (1956년11월 10일 ~1958년2월 25일) →등록 취소
민주혁신당 (1957년10월 15일 ~1960년2월 2일) → 해산

사회대중당 (1960년5월 13일 ~1961년5월 22일) →통일사회당 (1961년1월 21일 ~1980년10월 27일) →해산
1961년 ~1993년
1993년 ~현재
건설국민승리21 (1997년 ~1999년11월 15일) →민주노동당 (2000년1월 30일 ~2011년12월 5일) →통합진보당 (2011년12월 6일 ~2014년12월 19일) → 헌법재판소에 의한 해산

청년진보당 (1998년11월 29일 ~2001년8월 26일) →사회당 (2001년8월 26일 ~2006년4월 16일,2008년11월 30일 ~2012년3월 4일) →희망사회당 (2006년4월 16일 ~2006년10월 29일) →한국사회당 (2006년10월 29일 ~2008년11월 30일) →사회당 (2008년11월 30일 ~2012년3월 4일) →진보신당 (2008년3월 16일 ~2012년4월 12일) →진보신당 연대회의 (2012년10월 22일 ~2013년7월 21일) →노동당 (2013년7월 21일 ~ 현재)
녹색평화당 (2002년5월 20일 ~2004년2월 22일),한국사회민주당 (2002년11월 3일 ~2004년2월 22일) →녹색사민당 (2004년2월 22일 ~2004년4월 18일) → 등록 취소
복지국가당 (2016년2월 15일 ~2017년4월 25일) →사회민주당 (2017년4월 25일 ~2018년10월 19일) → 해산
민중연합당 (2016년2월 27일 ~2017년10월 15일) → 민중당
환수복지당 (2016년11월 21일 ~2017년8월 15일) →민중민주당 (2017년8월 15일 ~ 현재)
새민중정당 (2017년9월 3일 ~2017년10월 15일) → 민중당

민중당 (2017년10월 15일 ~2020년6월 21일) →진보당 (2020년6월 21일 ~ 현재)
이 글은 한국 근현대사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정치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민중당_(1990년)&oldid=39922978"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