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몰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몰타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몰타 공화국
Repubblika ta' Malta

국기

국장
표어라틴어:Virtute et constantia 위르투테 엣 콘스탄티아[*][1]
표어 설명용기와 확고함으로
국가몰타의 노래
수도발레타북위 35° 53′ 52″동경 14° 30′ 45″ / 북위 35.897778° 동경 14.5125° /35.897778; 14.5125
최대 도시산파울일바하르북위 35° 56′ 54″동경 14° 24′ 06″ / 북위 35.948400° 동경 14.4018° /35.948400; 14.4018
정치
정치체제공화제,의원내각제
대통령
총리
조지 벨라
로버트 아벨라
역사
독립영국으로부터 독립
 • 독립1964년9월 21일
지리
면적316km2 (185 위)
내수면 비율0.001%
시간대CET (UTC+1)
DSTCEST (UTC+2)
인문
공용어몰타어,영어
인구
2021년조사542,051명[2]
인구 밀도1,649명/km2 (8위)
경제
GDP(PPP)2024년 어림값
 • 전체증가 $368억 7,000만[3] (140위)
 • 일인당증가 $67,682[3] (20위)
GDP(명목)2024년 어림값
 • 전체증가 $227억 8,700만[3] (118위)
 • 일인당증가 $41,738[3] (25위)
HDI증가 0.924[4] (24위,2023년 조사)
통화유로1 (EUR)
종교
국교로마 가톨릭교회
종교기독교 90%[5]
무종교 5%
이슬람교 3%
기타 종교 3%
기타
ISO 3166-1470,MT,MLT
도메인.mt
국제 전화+356
12007년까지는리라 (MTL)


몰타 공화국(몰타어:Repubblika ta' Malta 레푸블리카 타말타,영어:Republic of Malta 리퍼블릭 오브 몰타[*],문화어: 말따)은남유럽에 위치한섬나라수도발레타이다. 공용어로몰타어영어를 사용하며, 주민의 대다수는 셈어족에 속하는몰타인이다. 몰타는유럽의 나라들 중 유일하게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언어를 사용한다. 대부분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받았지만라틴 문화권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역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몰타의 역사입니다.

선사 시대와 고대

[편집]

석기 시대 몰타에 거주하던선주민들은화전 농업에 의한 섬 환경 파괴와지력 고갈로 전멸하고, 한동안 무인도로 유지되다 기원전 4000년경부터 다시 사람들이 모여 살기 시작했다. 이 시기를 즈음하여 지중해에서 가장 오래된 석조 사원인타르신 신전이 지어졌다.

그 뒤 몰타섬은카르타고,로마 제국,시칠리아 왕국,에스파냐 왕국 등의 지배를 받았다. 신약성서의사도행전 28장에서도 몰타 섬을사도 바울로마 제국으로 전도 여행을 하기 위해 탄가 난파하여, 머문멜리데 섬이라고 서술하고 있다.[6]

기원전 700년경부터페니키아인들의식민지가 된 몰타는페니키아 본토의 도시들이 약화되자 그 후신인카르타고의 지배를 받았다. 카르타고가시칠리아섬으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몰타는 북아프리카와 시칠리아를 잇는 무역 기지가 되었으며, 이 와중에그리스 문화의 많은 요소가 도입되기도 했으나, 섬 주민은 페니키아계였다.

2차 포에니 전쟁 이후 몇 백 년에 걸쳐 지중해를 지배하던로마 제국의 통치를 받았다.기독교사도 바울로가 로마로 압송될 때 배가 풍랑을 만나서 몇십 일에 걸쳐 표류하다 기적적으로 도착한 멜리테(Μελίτη / Melítē)가 바로 오늘날의 몰타에 위치한므디나(Mdina)이다.

중세

[편집]

5세기 서로마 제국이 붕괴한 뒤, 6세기 동로마 제국이 다시 섬을 점령했으나 이후 사라센 해적들의 공격에 오랫동안 시달렸다. 서기 870년에는아랍 무슬림아글라브 왕조에 점령당했다. 이후 많은 아랍인들이 해적 기지 삼아 섬에 정착했으나1091년 시칠리아의노르만인들이 몰타를 점령하고, 섬 주민들을 다시 기독교로 개종시켰다.

그러나페니키아어아랍어를 사용해오던 몰타 주민들은 기독교 개종 이후에도 스페인/포르투갈의레콩키스타의 경우와 다르게 일상 생활에서 한동안 계속 아랍어를 사용했다. 페니키아어, 아람어와 마찬가지로 아랍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했고, 아랍어가 별 이질감 없이 중세 몰타인에 문화에 융화되었던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심지어 종교마저 바뀌어도 언어의 변화가 늦어진 것으로 보인다.

1530년부터는성 요한 기사단의 지배를 받았다. 1530년에 스페인의 황제가 일년에 몰타산 매 두 마리를 임대료로 예루살렘의 성요한단의 기사들(Knights of the Order of St John of Jerusalem)에게 이 섬을 주었다. 성 요한 기사단은오스만 제국의 3만명의 몰타 공격을 700명의 기사들과 8000명의 몰타인들이 막아내면서 여러 교회, 궁전 등을 건설했다.

근현대

[편집]

1798년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끄는 프랑스군에 점령되고,1800년영국령이 되었다. 영국은나폴레옹 전쟁 이후1814년파리 조약에서 몰타 영유를 인정받았다.

한동안왕실속령으로 남아 있던 몰타는1956년 영국 본토로의 편입 문제를 놓고국민투표를 실시하여 가결되었다. 그러나 몰타 야당과 영국 국회의원들의 반대로 실현되지 않았다.

1964년9월 21일,영국으로부터 독립하는 동시에영국 국왕을 국가원수로 삼는영연방 왕국이 되었다. 이후1974년군주제를 폐하고공화제로 전환하면서 영국과는 별개의 주권국이 되었다.

현재는유럽 연합영연방에 속해 있다.

지리

[편집]

이탈리아시칠리아섬에서 남쪽으로 93킬로미터 떨어져 있으며 지중해의 한가운데에 있다.튀니지의 동쪽이고리비아의 북쪽에 있다. 몰타 내에서는 오직 세 곳의 섬(몰타섬,고조섬,코미노섬)에만 사람이 살고 그보다 작은 나머지 섬들은 무인도다. 해안선을 따라 만이 형성되어 있어 항구가 생기기 좋은 환경을 갖고 있다.

비가 많이 내릴 때 강이 생기기도 하지만 강이나 호수라고 부를 만한 것들은 몰타에 없다. 그러나 작은 물줄기가 가끔씩 섬 전역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보통 몰타의 남쪽 속령제도가 유럽의 가장 남쪽이라고 여겨지지만 사실은그리스의 가브도스섬이 유럽에서 최남단에 있다.

면적은 316km2로, 302km2대한민국강화도보다 조금 더 큰 면적이다.

기후

[편집]

몰타의 기후는 전형적인지중해성 기후로서 여름에는 아열대 고압대의 영향을 받아서 고온 건조하고, 겨울에는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서 온난 습윤하다. 때문에 식물은 휴면기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여름에는 고온으로 채소가 말라 죽기 쉽다. 사실상 몰타에는 여름과 겨울밖에 없다고 볼 수 있어서 관광객들을 사로잡을 만한 매력을 갖고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봄에 해당하는 기간에는 바람이 많이 불어서 시원하기도 하다.

식수 공급이 최근 몰타의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여름에는 비가 내리지 않는데다가 물 소비도 가장 많은 탓이다. 참고로, 호수랑 강이 없는 곳이다. 몰타에서는 대부분 지하수를 이용하는데 수로 터널 시스템을 갖고 있어서 평균 수심 97m로 유지한다.

2007년 1월미국의 월간 잡지인 《인터내셔널 리빙》 지는 몰타를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곳으로 발표했다.

Malta (Luqa in the south-east part of main island, 1981–2010)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일평균 최고 기온 °C (°F)15.6
(60.1)
15.6
(60.1)
17.3
(63.1)
19.8
(67.6)
24.1
(75.4)
28.6
(83.5)
31.5
(88.7)
31.8
(89.2)
28.5
(83.3)
25.0
(77.0)
20.7
(69.3)
17.1
(62.8)
23.0
(73.4)
일일 평균 기온 °C (°F)12.8
(55.0)
12.5
(54.5)
13.9
(57.0)
16.1
(61.0)
19.8
(67.6)
23.9
(75.0)
26.6
(79.9)
27.2
(81.0)
24.7
(76.5)
21.5
(70.7)
17.7
(63.9)
14.4
(57.9)
19.3
(66.7)
일평균 최저 기온 °C (°F)9.9
(49.8)
9.4
(48.9)
10.6
(51.1)
12.4
(54.3)
15.5
(59.9)
19.1
(66.4)
21.7
(71.1)
22.6
(72.7)
20.8
(69.4)
18.1
(64.6)
14.6
(58.3)
11.6
(52.9)
15.5
(59.9)
평균강수량 mm (인치)98.5
(3.88)
60.1
(2.37)
44.2
(1.74)
20.7
(0.81)
16.0
(0.63)
4.6
(0.18)
0.3
(0.01)
12.8
(0.50)
58.6
(2.31)
82.9
(3.26)
92.3
(3.63)
109.2
(4.30)
595.8
(23.46)
평균 강수일수(≥ 1.0 mm)1075411014691058
평균 월간일조시간176.7194.3235.6261.0310.0351.0384.4362.7282.0220.1189.0164.33,131.1
출처:Meteo Climate (1981–2010 Data),[7]climatetemp.info (Sun Data)[8]

정치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몰타의 정치입니다.

이 나라는1974년부터대통령제를 실시하고 있다. 몰타의 정당은 다음과 같다.

현재 여당인 노동당은 60%대에 육박하는 지지율을 받고있어,유럽사회민주주의의 최후의 보루라고도 불린다.

대외 관계

[편집]

남북한 동시수교국으로대한민국과는 1965년 수교하였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1971년 수교하였다.

대한민국과는사회민주주의 정당인몰타 노동당이 집권여당이던 시절인 1971년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수교하고, 중도좌파 정당인 몰타 노동당 행정부가 대한민국에 대해 대사 신임장을 거부하는 등 양국간의 관계가 소원해졌다. 1988년 출범한몰타 국민당 정부와 대한민국노태우 정부 출범으로 관계가 회복되었고, 1988서울올림픽에도 참가하였다.

행정 구역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몰타의 행정 구역입니다.

행정구역의 가장 큰 단위는 '섬'이다.몰타섬코미노섬,고조섬 3개가 있다. 가장 많은 인구는몰타섬으로,수도발레타가 위치해 있으며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인비르키르카라도 위치해 있다.고조섬은 몰타섬의 북서쪽에 위치한 조금 더 작은 섬이며 두 섬 사이에 있는코미노섬은 인근고조섬의 도시인아인실렘(Għajnsielem)에서 관할한다.

인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몰타의 인구입니다.

몰타인이 대다수이나,미국인,영국인,이탈리아인,인도인,아랍인도 거주한다.

이탈리아처럼로마 가톨릭이 많은 나라로서, 그 비율은 96%나 된다. 나머지 4%의 소수 종교에는이슬람교가 대부분이고, 무신론자도 포함된다.

언어

[편집]

몰타어영어공용어이며, 특히 몰타어는 이 나라의 모국어이다. 몰타어 문자는로마 문자를 활용하여 변형된 로마문자와 함께 표기한다.

몰타의 공용어가 몰타어와 영어로 바뀐1934년 전까지는이탈리아어도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이탈리아어는 오늘날에도 이 나라와 깊은 연관을 가지며 대다수의 국민들에 의해 제3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탈리아의 메디아세트(Mediaset), RAI 등의 방송은 몰타에서도 시청 가능하며 인기가 있다.

유럽의 시청률을 측정하는 유로브로메터(Eurobarometer) 통계에 의하면 국민 중 100%가 몰타어를 구사하며, 88%는 영어를, 66%는 이탈리아어를, 그리고 17%는 프랑스어를 구사한다. 따라서 몰타는유럽 연합에서 여러 가지 언어를 가장 능숙하게 구사하는 나라 중 하나이지만, 각 언어에 대한 국민들의 선호도는 이와 달라서 86%가 몰타어를 선호하며, 그 다음으로 영어 12%, 이탈리아어 2%의 순서이다.

이 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들 중에서는이탈리아어,아랍어,힌디어,그리스어,프랑스어 등을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문화

[편집]

많은 언어학자들은 몰타어의 어원을 페니키아인이 이 섬들을 점유했을 때로 추적하고 있다.몰타어는 셈어(Semitic language)로 비록 시칠리아어, 이태리어,스페인어, 프랑스어와 영어의 흔적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수 백년간 로망스어(Romance)의 영향에서 살아남아 왔다.

몰타에서 가장 유명한 작가들 중에는 프랜시스 에베저(Francis Ebejer)와 조지프아타르트(Joseph Attard)가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몰타는 아마도 몰타에 관한 내용이 아닌, 대시엘 함메트(Dashiell Hammett)의 《몰타의 매》(The Maltese Falcon)란 책으로 세상에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의 제목은 미스테리한 기원을 가진 작은 조상을 나타낸다.

몰타는 훌륭한 공예품으로 유명하다. 특히 수공예 레이스, 손으로 짠 직물들, 입으로 불어 만든 유리 제품과 은 세공품이 그것이다. 민속음악의 전통이 매우 강한 몰타는 매년 민속음악 경연대회를 연다.

요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몰타 요리입니다.
프티라
파스티지

몰타 요리는스페인,마그레브프로방스 요리의 영향뿐만 아니라 시칠리아 및 영국 영향을 보여준다. 특히 고조와 관련하여 지역별로 다양하며, 계절별로 농산물 및 기독교 절기 (예:사순절,부활절 및 성탄절)의 계절별 사용 가능성과 관련된 계절적 변화도 있다. 전통적으로 펜카타 (즉, 스튜 또는 토끼고기 튀김을 먹는 것) 같은 민족적 정체성의 발전에서 음식은 역사적으로 중요하다. 음식 소비량은 하루 3,600칼로리로 세계에서 7번째로 음식 소비량이 높은 나라이고, 평균 키는 남자 169cm, 여자 159cm이다.

각주

[편집]
  1. virtute는 "미덕, 용기"를 뜻하는 라틴어 여성형 명사 virtus(f.)의 5격(탈격) 단수 형태로 "미덕으로" 또는 "용기로"라고 해석할 수 있다.et은 "~와(and)"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접속사이다.constantia는 "견고, 확고, 안정" 등의 뜻을 가진 라틴어 여성형 명사 constantia(f.)의 5격(탈격) 단수 형태로 "확고함으로"라고 옮길 수 있다.
  2. “Population and migration: 2012-2022(including intercensal revisions)”. 《nso.gov.mt》. July 2022. 2024년 7월 8일에 확인함. 
  3.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April 2024 (Malta)”. 《imf.org》.국제 통화 기금. 
  4. “Human Development Report 2025”(PDF) (영어).유엔 개발 계획. 2025년 5월 6일. 2025년 5월 6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5월 6일에 확인함. 
  5. 로마 가톨릭교회 83%
    기타기독교 7%
  6. “다국어 성경 Holy-Bible”. 2022년 3월 27일에 확인함. 
  7. “Luqa Weather Averages 1981–2010”. Meteo-climat-bzh.dyndns.org. 2015년 6월 2일에 확인함. 
  8. “Sunshine & Daylight Hours in Luqa, Malta Sunlight, Cloud & Day length”. Malta.climatemps.com. 2015년 5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몰타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유럽의 나라
나라
속령
미승인국
  1. 일부 영토가아시아에도 속한다.
  2. 일부 영토가아프리카에도 속한다.
  3. 지리적으로는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유럽으로 분류된다.
산하기구
회원국
참관국
구 회원국
주권국
속령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영국
지중해 연합
참관국:리비아의 기리비아
회원국
역내 회원국
역외 회원국
예상 회원국
역내 회원국
역외 회원국
참여 희망국
초기 가입국
추가 가입국
국제
국가
지리
학술
아티스트
인물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몰타&oldid=39843929"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