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몬테네그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몬테네그로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몬테네그로
  • Crna Gora (몬테네그로어)
  • Црна Гора (몬테네그로어)

국기

국장
국가오, 5월의 밝은 새벽이여
수도포드고리차[1]북위 42° 47′동경 19° 28′ / 북위 42.783° 동경 19.467° /42.783; 19.467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정치
정치체제공화제,단일제,내각제
대통령
총리
야코브 밀라토비치
밀로이코 스파이치
역사
독립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
 • 분리 독립2006년6월 5일
지리
면적13,883 km2[2] (156 위)
내수면 비율2.6%
시간대CET (UTC+1)
DSTCEST (UTC+2)
인문
공용어몬테네그로어[3]
인구
2025년 어림623,327명[4] (164위)
인구 밀도43.6명/km2 (177위)
경제
GDP(PPP)2023년 어림값
 • 전체증가 $174억 3,100만[5] (149위)
 • 일인당증가 $28,002[5] (63위)
GDP(명목)2023년 어림값
 • 전체증가 $70억 5,800만[5] (153위)
 • 일인당증가 $11,338[5] (73위)
HDI증가 0.862[6] (48위,2023년 조사)
통화유로 (EUR)
종교
종교기독교 74.9%[7]
이슬람교 19.9%
무종교 2.7%
기타 0.3%
응답 없음 2.2%
기타
도메인.me
국제 전화+382
1 몬테네그로어는 몬테네그로의 영토 전체와 국제 관계에서 사용되는 몬테네그로의 국어이자 공용어이다. 알바니아어는 국방, 중앙 경찰, 통화 정책을 제외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국가 차원의 공용어이자 알바니아어 사용자가 10% 이상인 지방 자치체에서 사용되는 몬테네그로의 공동 공용어이다.
몬테네그로의 역사
Историја Црне Горе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어:Crna Gora / Црна Гора 츠르나고라,문화어: 쯔르나고라,영어:Montenegro)는동남유럽발칸반도아드리아해 연안에 자리잡은공화국이다. 서쪽으로아드리아해크로아티아, 북쪽으로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쪽으로세르비아, 남동쪽으로코소보, 남쪽으로알바니아와 국경을 접한다. 국호 몬테네그로(Montenegro)는베네토어로 '검은 산'이란 뜻으로로브첸산을 가리킨다. 수도는포드고리차이지만 헌법상 수도는체티네로 '옛 왕도'라는 뜻의 프리예스토니차(Prijestonica / Пријестоница)로 정해져 있다.[8]

몬테네그로의 역사는 9세기비잔티움 제국의 제후국이었던두클랴에서 비롯된다. 초기 두클랴는보이슬라블레비치 가가 지배했다. 1042년에보이슬라브 왕은 즉위 25년 만에바르에서 비잔티움 제국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어 두클랴는 독립을 이루었다. 두클랴는 보이슬라프 왕의 아들인미하일로 치세(1046년 ~ 1081년)와보딘 치세(1081년 ~ 1101년)에 전성기를 누렸다.[9] 11세기부터 이 나라는제타 공국으로 알려지게 된다. 제타 공국은라슈카와 통합하여 츠로노예비치 왕조 시대부터 제타는 '츠르나고라' 혹은베네토어로 '몬테네그로'로 불리게 된다. 중세 말 이래로 주권을 공국이었던[10] 몬테네그로는 1878년에오스만 제국에서 공식적으로 독립을 인정받았다. 1918년부터 몬테네그로는유고슬라비아의 일부가 되었다.

2006년 5월 21일 실시된독립 국민투표에 따라 몬테네그로는 그 해6월 3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연방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했다. 독립 당시의 국명은몬테네그로 공화국(몬테네그로어:Republika Crna Gora / Република Црна Гора)이었으나,2007년10월 22일에 국명을몬테네그로로 바꾸었다.[11]

몬테네그로는인간 개발 지수면에서 선진국으로 분류되며,취약국가지수에서 "안정(Stable)" 수준을 보인다. 몬테네그로는유엔,유럽 안보 협력 기구,유럽 평의회,중앙유럽 자유 무역 협정에 가입했으며,지중해 연합의 창립 회원국이다. 이 나라는 2008년에유럽 연합에 공식 가입 신청을 제출했으며 2010년에 후보국 지위에 오르기를 희망한다.[12] 몬테네그로는 2017년 6월 5일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

역사

[편집]

몬테네그로는 1878년몬테네그로 공국으로 독립하였고, 1910년에왕국이 된다.제1차 세계 대전의 전승 국가가 되었으나,1918년11월세르비아에 통합되어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원이 되었다.

1941년에추축국의 점령,1945년 공산군에게 점령 당해1991년까지는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되었고, 그 이후2006년5월까지는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 속해 있었다.

2006년5월 21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분리 독립 투표가 실시되어 투표권자 86.5%의 투표와 투표자 55.4%의 찬성으로 독립이 가결되었다.

지리

[편집]
몬테네그로, 코토르 만.

국토 대부분이 산지 또는 고원지대로 이루어져 있고, 아드리아 해 연안을 따라 비교적 좁은 평원이 존재한다. 국토 동남부의제타 강(Zeta) 유역의 평야지대에 수도인포드고리차를 비롯한 여러 도시가 위치한다.

행정 구역

[편집]
몬테네그로의 행정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몬테네그로의 행정 구역입니다.

몬테네그로는 21개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도포드고리차는 2개 지방 자치체로 나뉜다.

정치

[편집]

2006년6월 3일부터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 분리 독립을 한 뒤으로는 처음으로내각책임제으로 채택이 되었다.

인구와 주민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몬테네그로의 인구입니다.

2011년 기준(응답거부자 제외),몬테네그로인이 전 인구의 47.4%로 다수를 점하고 있고,세르비아인이 31.6%를 차지해 두 번째로 많다. 그러나몬테네그로인세르브인은 같은 혈통으로 같은 민족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므로 민족적인 소속감의 차이에 불과하다. 그 밖에보슈냐크인(기타 슬라브 무슬림 포함. 12.3%),알바니아인(5.5%),롬족(1.1%),크로아트인(1%) 등이 거주한다.

언어

[편집]

과거공용어세르비아어였다. 그러나,2004년부터몬테네그로어(세르비아어의 방언) 독립이 추진되어2007년 새로운 헌법에몬테네그로어를 공용어로 명시하였다. 2011년 기준으로(응답거부자 제외), 국민의 46.9%가세르비아어모어(母語)라고 답했으며,몬테네그로어가 38.5%로 그 뒤를 이었다. 그 밖에보스니아어(6.1%),알바니아어(5.5%),롬어(0.86%) 등이 사용된다.

문자는키릴 문자로마자가 대등한 지위를 누리는데, 웹 문서의 기록 등 일상에서는 대부분로마자가 사용되고 있고,키릴 문자의 사용은 현저히 줄고 있다.

종교

[편집]

2011년(응답거부자 포함) 현재, 이 나라 주민의 다수(72.1%)는동방정교회를 믿는다. 그 다음으로무슬림(19.1%)이 많으며,가톨릭이 3.4%로 세 번째로 많다.

경제

[편집]

몬테네그로는 인구의 4분의 3이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양과 염소의 사육(주로 목양)이 주를 이룬다. 거의 대부분의 토지가 농업에 적합하지 않아 일부 하천유역에서 농경이 이루어진다. 근해에서는 석유가 산출되며, 가내수공업과 임업이 일부 발달하였다. 보크사이트 자원을 개발하기 위하여 건설된 도시가 수도인 포드고리차이다. 제2차 세계대전 후 공업개발에 주력하여 공업생산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공산체제 동안에 전기발전, 철강, 알루미늄·납·아연광업, 임업, 목재가공, 섬유·담배제조업 등을 기반으로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가 이루어졌다. 이와 함께 무역·선박업이 발달하였고 특히 1980년대 말에 관광업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세르비아와 함께 경제제재를 당하면서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의 경제·재정적 위기를 맞았다. 이즈음 인구의 3분의 2가 최저빈곤선 이하를 밑돌았고1993년 재정손실은 최대 63억 9000만달러에 이르렀다. 산업생산이 거의 정지되고 휘발유·담배 등 물자가 부족해지자,아드리아해에 인접하고 있는 스카다르호가알바니아와 이어지는 해상루트로서 밀매거점이 되기도 했다.

1997년부터 세르비아의 경제지배를 비판하고, 인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해세르비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독일마르크화를 도입하는 등 독자적인 경제정책을 펴나갔다. 그 결과2002년에는 경제적 독립을 완전하게 이루었고, 이후 사유화 정책, 개혁법 추진, 부가가치세 도입,유로화의 공식화폐 지정 등이 이어졌으며, 경제개혁 중기(中期)계획인 아젠다(The Agenda)가 수립되었다. 그러나, 몬테네그로가 밀거래와 돈세탁, 도박, 러시아마피아 등의 온상이 되리라는 일부 의견도 있다.

문화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추가해 주세요.

대외 관계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몬테네그로의 대외 관계입니다.

각주

[편집]
  1. 포드고리차는 행정수도이고체티네는 옛 왕실의 수도로 여겨진다.
  2. “SY MNE - 2024”(PDF). 《Statistički godišnjak》. 2024.ISSN 0354-2076. 
  3. 〈Language and alphabet Article 13〉.《Constitution of Montenegro》.WIPO. 2007년 10월 19일.The official language in Montenegro shall be Montenegrin. Cyrillic and Latin alphabet shall be equal. 
  4. “Procjene broja stanovnika na 1. januar”. 《MONSTAT》. 
  5.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Montenegro)”. 《IMF.org》.국제 통화 기금. 2023년 10월 10일. 2023년 10월 12일에 확인함. 
  6. “Human Development Report 2025”(PDF).유엔 개발 계획. 2025년 5월 6일. 2025년 5월 6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5월 6일에 확인함. 
  7. 동방 정교회 72.1%
    기독교 3.2%
  8. (http://www.me/english/podaci/podaci.htm Basic data of Montenegro){{보관됨 2008-12-01 -웨이백 머신
  9. “Montenegro.org”. Montenegro.org. 1997년 1월 1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11일에 확인함. 
  10. “Montenegro.org”. Montenegro.org. 1997년 4월 24일. 2012년 2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11일에 확인함. 
  11. (http://www.worldstatesmen.org/Montenegro.html)
  12. Elitsa Vucheva (2008년 12월 15일).“Montenegro files EU membership application”. Euobserver.com. 2010년 9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유럽의 나라
나라
속령
미승인국
  1. 일부 영토가아시아에도 속한다.
  2. 일부 영토가아프리카에도 속한다.
  3. 지리적으로는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유럽으로 분류된다.
산하기구
회원국
참관국
구 회원국
역사
구조
요인
회원국
대외관계
지중해 연합
참관국:리비아의 기리비아
회원국
참관국
* 프랑스어 이외에 공용어가 존재하는 나라
^ 프랑스어가 공용어가 아닌 나라
지역1918년
이전
1918년~
1929년
1929년~
1945년
1941년~
1945년
1945년~
1946년
1946년~
1963년
1963년~
1992년
1992년~
2003년
2003년~
2006년
2006년~
2008년
2008년
이후

같이 보기:
프레크무레 공화국
(1919년)
바나트 바치카 바라냐
(1918년~1919년)
피우메 자유국
(1920년~1924년)
(1924년~1945년)
이탈리아령 자다르주
(1920년~1947년)
이탈리아,
독일
헝가리에 병합됨a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

(1945년~1946년)


유고슬라비아
연방인민공화국

(1946년~196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1963년~1992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구성됨:
슬로베니아
(1945년~1991년)
크로아티아
(1945년~1991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945년~1992년)
세르비아
(1945년~1992년)
몬테네그로
(1945년~1992년)
마케도니아
(1945년~1991년)

같이 보기: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1947년~1954년)h

슬로베니아 공화국

10일 전쟁

크로아티아
독립국

(1941년~1945년)

독일괴뢰국.
일부분이
이탈리아에 병합됨.
메지무레
바라냐
헝가리에 병합됨.

크로아티아 공화국
b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c
보스니아 전쟁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1995년 이후),
스릅스카 공화국 (1995년 이후) 및
브르치코 행정구 (2000년 이후)로 구성됨
헝가리
델비데크 지역의 일부
바나트 자치령d
(독일령세르비아
군정청
의 일부)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세르비아 공화국
(1992년~2006년)

몬테네그로 공화국
(1992년~2006년)
으로 구성됨

세르비아몬테네그로 국가연합

세르비아 공화국

세르비아 공화국

보이보디나 자치주
포함

세르비아 왕국

(1882년~1918년)
세르비아 군정청
(1941년~1944년)e
세르비아
왕국
의 일부
(1912년~1918년)
대부분
이탈리아령
알바니아

(1941년~1944년)
에 병합됨

마케도니아 서부 및
몬테네그로 남동부 포함

코소보
공화국

몬테네그로
왕국

(1910년~1918년)

메토히야가
오스트리아-
헝가리에 지배됨 (1915년~1918년)
몬테네그로
보호령
f
(1941년~1944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왕국
의 일부
(1912년~1918년)
불가리아
왕국
에 병합됨
(1941년~1944년)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g
국제
국가
지리
학술
아티스트
인물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몬테네그로&oldid=39016200"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