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명온공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명온공주
明溫公主
조선 순조의 공주
신상정보
출생일1810년 10월 13일(1810-10-13)(음력)
사망일1832년 6월 13일(1832-06-13)(21세)(음력)
부친순조
모친순원왕후 김씨
배우자동녕위(東寧尉) 김현근(金賢根)
자녀없음

명온공주(明溫公主,1810년음력 10월 13일 ~1832년음력 6월 13일)는조선의 왕족이다.순조순원왕후의 장녀이다.

생애

[편집]

가계

[편집]

1810년(순조 10년) 음력 10월 13일[1] 조선의 제23대순조순원왕후의 장녀로 태어났다.은 이,본관전주이다[2].문조(효명세자)의 친동생이며,복온공주덕온공주의 친언니이다.

덕온공주의 모후 순원왕후는안동 김씨 출신으로,김조순의 딸이다. 순원왕후는 자신의 집안이풍양 조씨 가문과 함께 조선 말기세도 정치의 절정기를 이끌어 나가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왕비이기도 하다[3].

공주 시절

[편집]

8살 때인 1817년(순조 17년) 음력 5월 11일 정식으로 공주에 봉해져명온공주(明溫公主)라 하였다[4]. 이후 1823년(순조 23년) 음력 5월 10일 명온공주의 부마를 간택하기 위해 전국의 12세부터 15세까지의 남자들에게 금혼령을 내렸으며[5], 이 해 음력 6월 2일 진사를 지낸 안동 김씨김한순의 아들이자 명은공주와는 동갑내기인김현근을 부마로 정하고 동녕위(東寧尉)에 봉했다[6][7]. 그리고 음력 7월 20일 명온공주와 김현근의 가례가 열렸다[8].

명온공주가 궁궐 바깥에 새로운 살림을 꾸리게 되자 1824년(순조 24년) 음력 9월 8일에는 효명세자가 공주의 집에 다녀갔고[9], 1826년(순조 26년) 음력 3월 28일에는 대신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순조와 효명세자가 함께 직접 공주의 집에 행차하였다[10].

죽음

[편집]

1830년(순조 30년) 음력 5월 6일 오빠 효명세자의 죽음에 이어[11] 1832년(순조 32년) 음력 5월 12일, 명온공주의 바로 아랫동생인 복온공주가 혼인 2년만에 15세의 어린 나이로 사망하였다[12]. 그리고 겨우 한 달이 지난 음력 6월 13일, 명온공주도 오랜 투병생활 끝에 23세의 나이로 사망하고 말았다. 당시 순조는 장례를 복온공주의 예에 맞춰 진행하도록 하고, 직접 명온공주의 집에 행차하였다[13].

한편 명온공주의 남편인 김현근은 1868년(고종 5년) 음력 8월 26일 사망하였다. 김현근에게는 사후영의정이 추증되었다[14].

가족 관계

[편집]
  • 조부 :정조(正祖, 1752 ~ 1800)
  • 조모 : 효의왕후 청풍김씨 (1753~1821)
  • 생조모 :수빈 박씨 (綏嬪 朴氏, 1770 ~ 1822)
    • 아버지 :순조(純祖, 1790 ~ 1834)
    • 고모 : 숙선옹주
  • 외조부 :김조순(金祖淳, 1765 ~ 1832)
  • 외조모 : 청양부부인청송 심씨(靑陽府夫人 靑松 沈氏, 1766 ~ 1828)
    • 어머니 :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 金氏, 1789 ~ 1857)
      • 오빠 :익종(翼宗, 1809 ~ 1830)
      • 이복동생 : 영온옹주 (1817~1829)
      • 여동생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 ~ 1832)
      • 여동생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 ~ 1844)


  • 시조부 : 김이양(金履陽, 1755∼1845)
    • 시아버지 :김한순(金漢淳, 생몰년 미상)
    • 시어머니 : 청산현감 신의(靑山縣監 申懿)의 딸평산 신씨(平山 申氏)
      • 남편 : 동녕위(東寧尉) 김현근(金賢根, 1810 ~ 1868)
        • 자녀 없음[15]
        • 양자 : 김병찬(金炳瓚)

명온공주가 등장하는 작품

[편집]

각주

[편집]
  1. 《승정원일기》순조 10년 10월 13일 (갑오) 원본1989책/탈초본104책 (17/18)
  2.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명온공주〉”. 2016년 3월 1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31일에 확인함. 
  3.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순원왕후〉”. 2016년 3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31일에 확인함. 
  4. 《조선왕조실록》순조 20권, 17년(1817 정축 / 청 가경 22년) 5월 11일(갑인) 1번째기사
  5. 《조선왕조실록》순조 26권, 23년(1823 계미 / 청 도광 3년) 5월 10일(무인) 1번째기사
  6. 《조선왕조실록》순조 26권, 23년(1823 계미 / 청 도광 3년) 6월 2일(기해) 1번째기사
  7.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김현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8. 《조선왕조실록》순조 26권, 23년(1823 계미 / 청 도광 3년) 7월 20일(병술) 2번째기사
  9. 《조선왕조실록》순조 27권, 24년(1824 갑신 / 청 도광 4년) 9월 8일(정유) 1번째기사
  10. 《조선왕조실록》순조 28권, 26년(1826 병술 / 청 도광 6년) 3월 28일(기유) 2번째기사
  11. 《조선왕조실록》순조 31권, 30년(1830 경인 / 청 도광 10년) 5월 6일(임술) 3번째기사
  12. 《조선왕조실록》순조 32권, 32년(1832 임진 / 청 도광 12년) 5월 12일(무오) 1번째기사
  13. 《조선왕조실록》순조 32권, 32년(1832 임진 / 청 도광 12년) 5월 12일(무오) 1번째기사
  14. 《조선왕조실록》고종 5권, 5년(1868 무진 / 청 동치 7년) 8월 26일(경오) 3번째기사
  15. 홍석주가 쓴 명온공주 묘지명에 따르면 2차례 임신을 하였으나 모두 일찍 잃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외부 링크

[편집]
조선과 대한제국의 왕녀 및 황녀 목록
추존목조 소생
-
추존익조 소생
-
추존도조 소생
-
추존환조 소생
-
태조 소생
정종 소생
-
태종 소생
세종 소생
문종 소생
단종 소생
-
-
세조 소생
-
추존덕종 소생
-
예종 소생
-
성종 소생
연산군 소생
중종 소생
인종 소생
-
-
명종 소생
-
-
선조 소생
광해군 소생
-
  • 폐옹주
추존원종 소생
-
-
인조 소생
  • 공주
효종 소생
현종 소생
-
숙종 소생
  • 공주
  • 공주
-
경종 소생
-
-
영조 소생
-
추존진종 소생
-
-
추존장조 소생
정조 소생
-
순조 소생
추존문조 소생
-
-
헌종 소생
-
  • 옹주
철종 소생
-
고종 소생
  • 공주
순종 소생
-
-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명온공주&oldid=39261661"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