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말레이시아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말레이시아군
Angkatan Tentera Malaysia
alt=말레이시아군의 문장 말레이시아군의 깃발
말레이시아군의 문장



말레이시아군의 깃발
창립일1933년 3월 1일(92년 전)(1933-03-01)
국적말레이시아말레이시아
병종
URLwww.mafhq.mil.my
지도부
본부위스마 페르타하난,쿠알라룸푸르
통수권자최고사령관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술탄
국방장관모하메드 칼레드 노르딘
연합참모장모흐드 니잠 자파르 대장
인사
징집 연령18세 이상
병력113,000명[1][2]
예비군51,600명[1][2]
군사비
예산212억 링깃 (2025 회계연도)
(약 47억 8천만 미국 달러)[3]
국내 공급
목록
  • 데프테크
  • 밀데프 인터내셔널 테크놀로지스
  • 웨스트스타 디펜스 인더스트리
  • 센다나 오토
  • 사푸라
  • 민드매틱스
  • 이그라마틱 시스템즈
  • 루무트 해군 조선소
  • 부스테드 중공업 공사
  • 데스티니
  • 가딩 마린
  • 라부안 조선소 및 엔지니어링
  • 말레이시아 해양 및 중공업
  • 신양
  • 그레이드 원 마린 조선소
  • 에어로드
  • ATSC
  • CTRM
  • SME 항공우주
  • 갤럭시 항공우주
  • [ME 군수
  • 케테크 아시아
해외 공급

말레이시아군(말레이어:Angkatan Tentera Malaysia,자위 문자: اڠكتن تنترا مليسيا,영어:Malaysian Armed Forces,MAF)은말레이시아군대로, 3개군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말레이시아 육군,말레이시아 왕립 해군말레이시아 왕립 공군) MAF 현역병력은 113,000명, 예비군은 51,600명이다.

말레이시아 군대의 최고 사령관은양 디페르투안 아공, 즉말레이시아 국왕이다.

배경

[편집]

말레이시아군은 20세기 전반 말라야와 싱가포르가대영제국속령이었던 시기에 형성된 군사력의 통합으로 창설되었으며, 1957년 말라야가 독립하기 전에 창설되었다. 말레이시아군의 주요 목표는 국가의 주권을 방어하고 모든 유형의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는 것이다.[5]

말레이시아군은 모든 국제적 위협을 극복하고, 공공 질서를 유지하며, 자연재해를 지원하고, 국가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민간 당국을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유엔의 지침에 따라 국제 외교 정책을 지지하기 위해 국제 분야에서 역량을 유지하고 강화하고 있다.

작전 구역

[편집]
65회 메르데카 데이 쿠알라룸푸르에서파스칼,GGK,69 코만도파스카우 요원들이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작전 구역은 말레이시아 국경 내였으며, 주로말라야 비상사태로 알려진 사건에서말라야 공산당이 주도하는분란전과 싸웠다. 현대에 말레이시아 영토에 대한 유일한 외세 침략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당시 말라야는 통일된 정치적 실체가 아니었으며, 영국의해협 식민지와 영국의보호령말레이 연방 주비연방 말레이 주로 구성되어 있었다)과수카르노 대통령이 이끄는 인도네시아에 의한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기간 동안이었다. 해외 작전은 주로 유엔의 후원 하에 평화유지 작전이었다.

유엔 평화유지 임무(UNPKO) 하의 기타 제한된 참여로는 1995년 12월부터 유엔 국제 경찰(UNIPTF); 1999년 6월부터 유엔 코소보 임무단(UNMIK); 1999년 10월부터 유엔 시에라리온 임무단(UNAMSIL); 1999년 9월부터 유엔 동티모르 잠정 통치기구(UNTAET); 2000년 2월부터 유엔 콩고 민주 공화국 임무단(MONUC)이 있다. 18명의 말레이시아군 병력이 유엔 평화유지 작전 중 사망했다.

현재의 발전

[편집]
말레이시아군 자산
말레이시아군 주요 무기 자산의 예. 오른쪽 위에서 시계 방향으로:스코르펜급 잠수함,PT-91M 주력전차,말레이시아 육군 공수부대원과M4A1,Su-30MKM 전투기.

말레이시아의 국방 요구 사항은 말레이시아군에 할당된다. 국군은말레이시아 육군(TDM),말레이시아 왕립 해군(TLDM) 및말레이시아 왕립 공군(TUDM)의 세 가지 군종으로 구성된다. 말레이시아는 징병제를 실시하지 않으며, 자원 군 복무의 최소 연령은 18세이다.[8]

1990년대 초반, 말레이시아는 군대를 확장하고 현대화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그램을 착수했다. 그러나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한 예산 제약으로 인해 많은 조달이 지연되었다. 최근의 경제 회복으로 예산 제약이 완화되고 주요 무기 구매가 재개될 수 있다. 2000년 10월, 국방부 장관은 국가 방위 및 안보 정책을 최신화하기 위한 검토를 발표했다. 이 검토는사바주 동부 해안의 리조트 섬에서 말레이시아인과 외국인이 납치되는 사건, 그리고 여러 이웃 국가들과의 영토 분쟁 위험 증가와 같은 저강도 분쟁의 형태로 나타난 새로운 안보 위협을 다루었다. 현재 말레이시아 GDP의 1.4%가 군사비로 지출되며, 말레이시아 인력의 1.23%가 군인으로 고용되어 있다.[8]

말레이시아 육군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말레이시아 육군입니다.
말레이시아 육군의PT-91M 펜데카 주력전차.

1997년 경제 위기 회복 이후, 육군의 현대화 프로그램은 탄력을 받았다. 주력전차(MBT), 장갑차(APC), 보병전투차(IFV) 및 현대 포병의 도입으로 말레이시아 육군은 이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군대 중 하나가 되었다.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말레이시아 왕립 해군입니다.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RMN)의레키우급 프리깃함.

신형 초계함(NGPV) 프로그램이 완료된 후,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RMN)은제2세대 초계함(SGPV)이라는 다음 프로그램으로 넘어갔다. RMN은 또한 더 많은잠수함케리스급 연안 임무함아다급 코르벳함과 같은 연안 임무함(LMS)을 구매하려고 한다. RMN은 또한 지원 역할을 위한다목적 지원함(MRSS)을 추가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노후화된 함선을 위한 수명 연장 프로그램(SLEP)은 최신 기술로 함대를 현대화할 것이다.

말레이시아 왕립 공군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말레이시아 왕립 공군입니다.
말레이시아 왕립 공군(RMAF)의수호이 Su-30MKM.

말레이시아 왕립 공군(RMAF)은 역사적으로 대부분의 항공기를 서방 공급업체,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 조달해왔다. 그러나 미국이 이 지역으로의 첨단 기술 이전을 제한하면서 말레이시아는 러시아 및 기타 비전통적인 공급업체로 조달원을 다변화하게 되었다. 그 결과 RMAF는 현재 미국, 유럽(튀르키예 포함), 러시아 항공기를 혼합하여 운용하고 있다.[9]

2025년 현재, 말레이시아는 전투기 편대를 확장하려 하고 있다.쿠웨이트 공군으로부터 중고F/A-18 호넷을 획득할 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이 구매는 미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절차 지연으로 인해 말레이시아 국방 당국은 인수를 재고하고 대신5세대 전투기를 조달할 가능성을 모색했다. 말레이시아는 유럽, 러시아 및 미국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5세대 플랫폼에 관심을 표명했으며, 조달 절차는 가까운 미래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RMAF의 장기 목표는 2040년까지 노후화된 함대를 완전히 교체하는 것이다.[9][10][11]

해병대 창설

[편집]

2013년 10월 10일,히샴무딘 툰 후세인 국방부 장관은 상륙 작전을 수행할해병대 창설 계획을 발표했다. 제안된 부대는 말레이시아군의 세 가지 군종에서 인력을 끌어올 계획이었으며, 핵심 요소는제10 공수 여단 (10 PARA BDE)의 세 공수대대 중 하나에서 올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해병대대으로 재지정될 예정이었다.제9대대 왕립 말레이 연대 (공수)제8대대 왕립 레인저 연대 (공수)는 이전에 협력 해상 준비 및 훈련에미국 해병대와 함께 참여하고 외국군과 다른 합동 상륙 훈련에 참여하는 등 보조 역할로 상륙전 훈련을 수행한 적이 있다.[12][13]

2025년 현재, 해병대 창설 계획은 10 PARA BDE가 해병대 역할을 대신하면서 대부분 취소된 것으로 보인다. 2024년 12월, 여단 소속 약 130명의 병력이 미래 여단 후보자들을 상륙전에서 훈련시키기 위해 상륙전 훈련 교관으로 재훈련받았다.[14]

국방 산업

[편집]
ACV-300 아드난 보병전투차.
AV-8 젬피타 장갑전투차.
케다급 초계함.
SME 에어로 티가 경항공기.

독립 후 말레이시아는 자체 국방 산업을 설립하고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말레이시아는 국방 기업들을 통해 탄약, 소총, 장갑차, 군함, 무인 항공기를 포함한 경항공기와 같은 무기를 국내에서 제조 및 생산하여 국방 산업을 향상시켰다.데프테크,밀데프 인터내셔널 테크놀로지스,웨스트스타 디펜스 인더스트리 및 센다나 오토는 군용 지상 차량 및 자동차 부문의 유지보수 및 제조에 중점을 둔 국내 기업들이다. 반면사푸라, 민드매틱스 및 이그라마틱 시스템즈는 통신 시스템, 전술 시스템, 지휘 통제 시스템, 훈련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 감시 시스템과 같은 군용 전자 및 시스템 통합에 더 중점을 둔다.[15][16] 말레이시아 국방 정책에 따라 말레이시아군은데프테크 ACV-300 아드난,데프테크 AV-8 젬피타,데프테크 AV-4 리판바라,웨스트스타 GK-M1/M2한다란과 같은 국내산 무기를 채택했다.[17] 2021년 1월, 밀데프 인터내셔널 테크놀로지스는 국내 시장 및 수출용으로 새로운밀데프 타란툴라 HMAV를 출시했다.[18] 국방 서비스 아시아(DSA) 2022에서 밀데프 인터내셔널 테크놀로지스는 두 번째 장갑차인밀데프 렌타카를 출시했다. 세 번째 장갑차인밀데프 리바트 HMLTV는 국방 서비스 아시아(DSA) 2024에서 출시되었다.[19][20] 또 다른 국내 기업인 센다나 오토(Cendana Auto)도 말레이시아 육군에 납품할 준비가 된 새로운센다나 오토 4x4를 선보였다.

광대한 해양 지역을 가진 국가로서 말레이시아는 말라카 술탄국 이래로 훌륭한 조선 산업을 오랫동안 유지해 왔다. 그 기간 동안 이 나라는 이 지역의 주요 조선업체였다. 오늘날 말레이시아에는 많은 조선 회사가 있으며, 훌륭한 해양 전문 지식과 시설을 갖춘 국가로 명성이 높다.루무트 해군 조선소,부스테드 중공업 공사,데스티니가딩 마린과 같은 국내 기업을 통해 말레이시아는마하라자 렐라급 프리깃함,케다급 초계함,제룽급 포함,가각 사무데라급 훈련함,스리 티가급 고속 병력 수송선,가딩 마린 G2000-18m급 전투정산다칸 자야 테크닉급 보트와 같은 자체 주요 수상 전투함 및 전투정을 국내에서 건조할 수 있었다.[21] 이 외에도라부안 조선소 및 엔지니어링,말레이시아 해양 및 중공업,신양, 그레이드 원 마린 조선소 등 국내 기업들도 해군 등급 선박에 대한 경미한 및 주요 유지보수 및 오버홀 작업을 해외로 보내지 않고 국내에서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위대한 성과 중 일부는 말레이시아가 스코르펜급 잠수함에 대한 주요 오버홀 작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을 때 전시되었다.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은BHIC 잠수함 엔지니어링 서비스부스테드 DCNS 해군 공사가 사바 라부안의 RMN 잠수함 기지에서 국내에서 수행했다. 말레이시아는 또한 신양에서 제작한알-쿠와이사트급 LST를 아랍에미리트 해군에, 북부 조선소 / KN 알루미늄 및 엔지니어링에서 제작한 P38 시 이글스 순찰정 및 만타 MkII급 고속 차단 전투정을 나이지리아 해군에 수출했다. 이 특정 순찰정 및 전투정은 싱가포르 기반 회사인 선크래프트 프라이빗 리미티드(Suncraft Private Limited)를 통해 판매되었다.[22][23]

항공우주 분야에서 말레이시아는 이 지역의 항공우주 허브 중 하나이다. 1990년부터 말레이시아는 주요 외국 항공우주 기업들로부터 많은 외국인 직접 투자를 받아 항공우주 산업이 성장하는 것을 목격했다. 1998년보잉은 말레이시아 항공우주 산업에 진출하여 항공우주 복합 재료 말레이시아 지분 50%를 인수하고 케다 주 부킷 카유 히탐에 공장을 설립했다. 2024년 보잉은 이 제조 시설을 보잉 복합 재료 말레이시아로 다시 시작한다.[24] 다른 두 개의 주요 외국 항공우주 기업인스피릿 에어로시스템즈하니웰 항공우주 기술도 각각 수방과 페낭에 공장을 설립했다.[25][26]에어버스BAE 시스템즈는 말레이시아 기업으로부터 항공 구조 부품을 아웃소싱하여 말레이시아 항공우주 산업에 투자했다. 1990년대부터 말레이시아는SME 항공우주CTRM을 통해 에어버스용 날개 부품, 나셀, 복합 구조물 및 헬리콥터 부품과 같은 항공기 부품을 제조해왔다. 여기에는 A320, A330, A350, A380, A400 및 에어버스 헬리콥터 부품이 포함된다.[27] 그 외에도 SME 항공우주는 전 세계 고객을 위해 BAE 시스템즈 호크 AJT용 파일론도 제조한다.[28] 말레이시아는 주요 항공기를 국내에서 또는 어떤 파트너십을 통해 직접 제작하지는 않지만,SME 에어로 티가CTRM 이글 항공기 이글 150과 같은 경항공기를 제작한 경험이 있다. 이 외에도 CTRM은CTRM 알루드라라는 자체 무인 항공기를 제작했다.[29] 2005년에는UPECA 에어로테크가 보잉과 에어버스 모두를 위한 항공기 부품을 제조 및 공급하여 이 분야에 합류했다. 2021년에는튀르키예 항공우주산업이 말레이시아에 엔지니어링 및 설계 센터를 개설하여 현지 엔지니어를 훈련하고 현지 국방 산업 및 항공 분야에 기술을 공유했다.[30] 항공 구조물 제조 외에도 말레이시아는MRO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에어로드는 미국 외 지역에서 C-130 MRO 센터로서 미국 기반 국방 회사인록히드 마틴으로부터 인증서를 받은 유일한 회사 중 하나이다. 2015년 미국 해병대는 일본에 기반을 둔 13대의 C-130 항공기에 대한 MRO 작업을 에어로드에 의뢰했다.[31] C-130 외에도 에어로드는 다른 유형의 상업 및 군용 항공기 서비스에 대한 전문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지역의 다른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다. 에어로드와 마찬가지로ATSC라는 또 다른 국내 항공우주 회사도 말레이시아 항공우주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 회사는 수호이 Su-30, 미그-29 및 밀 Mi-17과 같은 러시아제 항공기에 대한 MRO 서비스에 더 중점을 둔다. 2017년 ATSC는 말레이시아 왕립 공군 수호이 Su-30 MKM 함대에 대한 주요 오버홀 및 업그레이드 계약을 따냈다.[32] 다른 국내 항공우주 기업으로는BHIC 에어로서비스,UMW 항공우주,UMW 에어로 자산,데스티니 프리마,데스티니 아비아 테크닉 및 갤럭시 항공우주가 MRO 부문에 기여하는 회사들이다.[33]

1969년, 말레이시아는 국내 군대에 무기를 공급하기 위해 화기 제조 회사인SME 군수를 설립했다. 처음에는 탄약을 국내에서 제조하다가, SME 군수는 첨단 하이테크 화기를 제조하는 것으로 확장되었다. 1991년까지 SME 군수는 오스트리아제슈타이어 AUG 소총을 국내에서 제조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획득했다. 2001년, SME 군수는 미국제M4 카빈 돌격 소총을 국내에서 제조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획득했다.[34] 국내에서 제조된 슈타이어 AUG와 M4 돌격 소총은 현재 말레이시아군 및 기타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SME 군수는 5.56mm부터 155mm 구경 탄약, 지뢰, 폭발물 및 로켓을 포함한 다양한 북대서양 조약 기구 표준 탄약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국내 화기 회사인아에기스 말리노브는 말레이시아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기 위한말리노브 M1P라는 자체 권총을 개발했다.[35]LIMA 2023과 관련하여 아랍에미리트의엣지 그룹은 말레이시아 회사 케테크 아시아와 기술 이전을 통해카라칼 화기를 국내에서 생산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36]

말레이시아는 또한 자체 국방 기술 연구 법정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국방 과학 기술 연구소(STRIDE)는말레이시아 국방부 산하의 법정 기관으로, 말레이시아 국방부와 말레이시아군을 위한 국방 기술 관련 연구 개발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37]

국제 활동

[편집]

말레이시아,싱가포르,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영국 간의오국방위협정 (FPDA)은 45년 이상 시행되어 온 지역 안보 이니셔티브이다. 이 협정에는 5개국 간의 합동 군사 훈련이 포함된다.[38]

말레이시아는 또한CARAT,[39]RIMPAC[40] 및 COPE와 같은 국제 훈련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41]브루나이,[42]인도네시아,[43]프랑스[44]미국과도 합동 훈련 및 워게임이 개최되었다.[45] 그 외에도 말레이시아,필리핀,태국베트남은 해상 국경을 확보하고 불법 이민,해상강도밀수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동 안보군 훈련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46][47][48]

이전에는필리핀 남부[49]태국 남부[50]의 이슬람 극단주의자 활동이 말레이시아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말레이시아는 국경 보안을 강화하기 시작했다.[49]

장비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말레이시아군 장비 목록입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2023년 2월 15일).《The Military Balance 2023》.London: Taylor & Francis. 270쪽.ISBN 978-1000910704. 
  2.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2021년 2월 25일).《The Military Balance 2021》.London:Routledge. 281쪽.ISBN 9781032012278. 
  3. “Malaysia’s Security Sector Secures RM40.7 Billion for 2025: Where Will the Funds Go?”. 《Defence Security Asia》. 2024년 10월 19일. 
  4. “Arms Transfers”.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 2011년 5월 1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30일에 확인함. 
  5. Babatunde Fagoyinbo, Joseph (2013). 《The Armed Forces: Instrument of Peace, Strength, Development and Prosperity》. Author House.ISBN 978-1477218440. 
  6. UN Chronicle: "Mandate for UNOSOM II revised; 'coercive methods' not to be used – UN Operation in Somalia emphasizes nation building", June 1994
  7. “UNIFIL Troop-Contributing Countries” (영어). 《UNIFIL》. 2016년 3월 14일. 2019년 10월 2일에 확인함. 
  8. “말레이시아 군사 통계”. NationMaster. 2010년 10월 1일에 확인함. 
  9. Aziz, Ilah Hafiz (2025년 8월 22일).“Malaysia considers 5th-generation fighter jets for 2040 fleet replacement” (영어). 《New Straits Times》. 2025년 9월 5일에 확인함. 
  10. Nizam, Fuad (2025년 6월 16일).“US green lights Malaysian deal to acquire Kuwaiti F/A-18 Hornets” (영어). 《New Straits Times》. 2025년 9월 5일에 확인함. 
  11. “Malaysia Considers Fifth-Generation Stealth Fighters Amid Potential Delays in Kuwaiti Hornet Acquisition” (영국 영어). 《Defence Security Asia》. 2025년 8월 20일. 2025년 9월 5일에 확인함. 
  12. “Malaysia to establish a marine corps, naval base close to James Shoal”. IHS Jane's 360. 2013년 10월 18일에 확인함. 
  13. “US Marines and Malaysian Soldier Completed Malaysia-United States Amphibious Exercise”. 
  14. “Mobile Training Team - Train the Trainer: Amphibious and Air Assault Courses for 10th Brigade (Para)” (영국 영어). 《MY Military Times》. 2024년 12월 23일. 2025년 9월 5일에 확인함. 
  15. Balakrishnan, Kogila (2008).《Defence Industrialisation in Malaysia》. 《Security Challenges》4. 135–155쪽.JSTOR 26459817. 
  16. “Winner of Muhammad Amin FCS Tender Revealed”. 
  17. “An Overview The Malaysian Defence Industry”. 
  18. “Unifil Contender Out on Show”. 2021년 2월 11일. 
  19. “DSA 2022 Mildef Rentaka”. 2022년 3월 28일. 
  20. “New Straits Times - Lima '25 Gets First Look At Malaysia's Homegrown Tactical Armoured Vehicle”. 
  21. Balakrishnan, Kogila (2008).《Defence Industrialisation in Malaysia: Development Challenges and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Security Challenges》4. 135–155쪽.JSTOR 26459817. 
  22. “MRSS As Well, Plan B Shorts - Malaysian Defence”. 2018년 6월 13일. 
  23. “Northern Shipyard from Malaysia finalizes construction of four Manta Mk II patrol boats for Nigerian Navy”. 2021년 1월 7일. 
  24. “Boeing relaunches Malaysian plant making composite parts, subassemblies of all its commercial aircraft”. 2024년 8월 29일. 
  25. “Spirit Aerosystems to divest Subang operations to Airbus following merger with Boeing”. 2024년 7월 1일. 
  26. “Honeywell keen to grow in Malaysia”. 2016년 2월 17일. 
  27. “Airbus to keep growing with Malaysia”. 2021년 7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4일에 확인함. 
  28. “BAE strengthens ties with SMEA, orders more Hawk parts | The Star”. 《www.thestar.com.my》. 
  29. “Pesawat UAV Aludra MK helang perisik ciptaan tempatan” [Aircraft UAV Aludra MK 'eagle' local creation spy] (말레이어). UTUSAN MELAYU. 2007년 12월 12일. 2018년 3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4일에 확인함. 
  30. “Turkish Aerospace opens its first engineering and design office in Southeast Asia in Cyberjaya”. 
  31. “Airod secures contract to maintain US Navy aircraft”. 2015년 11월 9일. 
  32. “First Overhauled Malaysian Su-30MKM Aircraft to Debut at LIMA 19”. 《Defense Aerospace news, exhibitions, contracts and procurement》. 2019년 3월 25일. 2020년 9월 29일에 확인함. 
  33. “Malaysian Aerospace Industry Blueprint 2030”(PDF). 
  34. “Products and Services”. 2011년 8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22일에 확인함. 
  35. “BERNAMA - Malaysian-Made Pistol To Enter Market By Year-End”. 2016년 4월 22일. 2016년 4월 2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6. “Janes - LIMA 2023: Edge signs agreement with Ketech Asia to produce rifles.”. 2023년 5월 25일. 
  37. “STRIDE Official Page”. 
  38. “Australia says major military exercise underway in Malaysia”. My Sinchew. 2010년 4월 26일. 2016년 3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1일에 확인함. 
  39. “U.S. Sailors and Marines Join the Malaysian Armed Forces for CARAT 2015”. 
  40. “A First: Malaysia to Deploy Warship for RIMPAC 2018”. 
  41. “Cope Taufan”. 
  42. Wood, Daniel (2014년 4월 20일).“Brunei, M'sia train in 11th military exercise”. 《The Brunei Times》. 2014년 12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5일에 확인함. 
  43. “Indonesia-Malaysia military exercises must continue – defence minister”. 《ANTARA News》. 2010년 9월 13일. 2010년 10월 1일에 확인함. 
  44. “French Navy FREMM Provence in ASW Exercise with Royal Malaysian Navy in South China Sea”. March 2016. 
  45. “Malaysia, US armed forces in joint exercise”. 《The Star》. 2014년 8월 25일. 2014년 8월 26일에 확인함. 
  46. “Malaysia, Philippines committed to enhancing border security”. 《My Sinchew》. 2010년 8월 9일. 2016년 3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18일에 확인함. 
  47. “Piracy in Southeast Asia: Organised Criminal Syndicates or Small Scale Opportunists?”(PDF). 《Gray Page》. April 2013. 24 July 2015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24 July 2015에 확인함. 
  48. Carvalho, Martin (2012년 5월 15일).“Malaysia, Thailand military exercise to include other agencies, Asean members”. 《The Star》. 2014년 11월 5일에 확인함. 
  49. Pike, John.“Malaysia Intensifies Border Security Following US Warnings”. GlobalSecurity.org. 2010년 9월 18일에 확인함. 
  50. Kent, Jonathan (2004년 4월 28일).“Malaysia ups Thai border security”. 《BBC News》. 2010년 9월 18일에 확인함. 

더 읽어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말레이시아군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말레이시아군 관련 문서
역사
지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국가 상징
국제
국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말레이시아군&oldid=4081636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