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리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의 내용은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문서를 편집하여,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0년 10월)
다른 뜻에 대해서는리듬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리듬(rhythm,문화어: 흐름새)은 비슷한 것이 규칙적으로 되풀이될 때 인간이 느끼는 시간적인 덩어리의 연속이다. 심장 고동소리, 자동차의 깜빡이, 걷는 발소리, 세탁기, 매미 등 리듬은 주로 청각적으로 느끼는 것이다.

리듬은음악이나 음성 언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의

[편집]

리듬은 가락, 화성과 함께음악의 3요소이다. 파도의 소리, 비 내리는 소리, 발소리, 새소리, 사람의 소리 등 모든 시간 속에서 생성되는 것, 움직이고 있는 것, 소리를 내는 것들은 반드시 어떤 리듬을 느끼게 한다. 또한 우리의 생활 전체도 리듬과 더불어 있다고 하여도 지나친 말은 아니다. 그러나 리듬 그 자체를 정의하기는 매우 어렵다. 예로부터 리듬이란 '운동의 질서'라든가, '시간의 새김'이라고 각 시대마다 여러 가지 정의가 있었다. 음악에서는 특히 음의 장단(長短), 높낮이, 셈여림(強弱), 음질(音質) 등으로 여러 가지 리듬이 생긴다.[1]

언어의 리듬

[편집]

강세 박자 리듬

[편집]

강세 박자 리듬(stress-timed rhythm)은강세를 가진음절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나타나서 생기는 리듬.영어,러시아어,아랍어 등에서 보인다. 음절수가 많아져도 강세가 나타나는 간격은 변화지 않는다.

[2]Abercrombie, David. Elements of General Phonetics,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90. https://doi.org/10.1515/9781474463775

음절 박자 리듬

[편집]

음절 박자 리듬(syllable-timed rhythm) 은음절의 길이가 같은 간격으로 나타나서 생기는 리듬.스페인어,프랑스어 등에서 보인다.

한국어의 리듬

[편집]

한국어의 리듬은 음절보다 긴말토막(어절)이란 것이 리듬 단위를 형성한다.

말토막은 하나의 강세 음절과 그 외의 비강세 음절으로 구성된다. 강세 음절은 앞뒤의 비강세 음절보다 돋들리게 길게 나타난다. 말토막 마지막 음절도 다른 음절보다 길게 된다.

  1. S (강세 음절 하나) /ˈ달/
  2. www...S (비강세 음절 - 강세 음절) - /왜그ˈ래/
  3. Swww... (강세 음절 - 비강세 음절) - /ˈ한글/
  4. www...Swww... (비강세 음절 - 강세 음절 - 비강세 음절) - /기ˈ분이/

음절수가 많아지면 말토막도 길게 되지만 음절수에 정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말토막이 조금 길어질 뿐이다. 말토막과 말토막 경계는 휴지와 억양으로 구별된다.

("/"는 완정 휴지, "+"는 말토막 경계)

각주

[편집]
  1.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리듬〉
  2. ...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리듬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오선보
음표
아티큘레이션
발달
기타
전거 통제: 국가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이 글은 음악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언어학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듬&oldid=39021519"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