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룩셈부르크

좌표:북위 49° 45′동경 6° 10′ / 북위 49.750° 동경 6.167° /49.750; 6.167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국가에 관한 것입니다. 룩셈부르크의 수도에 대해서는룩셈부르크 (도시) 문서를, 다른 뜻에 대해서는룩셈부르크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비슷한 이름의합스부르크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룩셈부르크 대공국

국기

국장
표어"Mir wëlle bleiwe wat mir sinn" (룩셈부르크어)
"Nous voulons rester ce que nous sommes" (프랑스어)
"Wir wollen bleiben, was wir sind" (독일어)
표어 설명우리는 현재의 우리로서 남기를 원한다[1]
국가우리 나라
왕실 국가빌헬무스a
수도룩셈부르크[2]북위 49° 36′ 42″동경 6° 07′ 48″ / 북위 49.611667° 동경 6.1300° /49.611667; 6.1300
정치
정치체제군주제,입헌제,민주제,단일제,내각제
대공기욤 5세
총리뤼크 프리덴
역사
독립네덜란드로부터 독립
 • 동군연합 해체1867년5월 11일
지리
면적2,586km2 (167 위)
내수면 비율0.6%
시간대CET (UTC+1)
DSTCEST (UTC+2)
인문
공용어국어:
룩셈부르크어
행정 언어:
룩셈부르크어
프랑스어
독일어
데모님
인구
2025년 어림681,973명[3] (163위)
인구 밀도255명/km2 (58위)
경제
GDP(PPP)2025년 어림값
 • 전체증가 $1,065억 500만[4] (100위)
 • 일인당증가 $154,014[4] (1위)
GDP(명목)2025년 어림값
 • 전체증가 $969억 9,300만[4] (73위)
 • 일인당증가 $141,079[4] (1위)
HDI감소 0.922[5] (25위,2023년 조사)
통화유로1 (EUR)
종교
종교기독교 73.2%[6]
무종교 23.4%
기타 종교 3.2%
기타
ISO 3166-1442,LU,LUX
도메인.lu
국제 전화+352
11999년까지는프랑.

룩셈부르크 대공국(룩셈부르크어:Groussherzogtum Lëtzebuerg 그러우스헤흐초흐툼 러처부어시,IPA: [ˈɡʀəʊ̯shɛχt͡soːχtum ˈlət͡səbuəɕ],독일어:Großherzogtum Luxemburg 그로스헤어초크툼 룩셈부르크[*],프랑스어:Grand-Duché de Luxembourg 그랑뒤셰 드 뤽상부르[*]), 약칭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어:Lëtzebuerg 러처부어시,독일어:Luxemburg 룩셈부르크[*],프랑스어:Luxembourg 뤽상부르[*],문화어: 룩셈부르그)는서유럽에 위치한대공국이다. 수도는룩셈부르크이다. 룩셈부르크는 세계에서 국민 소득이 높은 나라 중 하나다. 세계 최대의 철강 업체아르셀로미탈의 본사가 룩셈부르크에 있다. 공용어는룩셈부르크어,프랑스어,독일어이다.

유럽 연합,경제협력개발기구,유엔,북대서양 조약 기구,베네룩스 경제 연합의 창립 회원국이며, 수도룩셈부르크에는 유럽 연합의 여러 기관이 위치하고 있다. 2013년에 역사상 처음으로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으로 선출되어, 2014년에 임기를 마쳤다.[7] 2016년 기준 룩셈부르크 여권 소지자가 무비자 혹은 도착비자로 여행할 수 있는 국가는 187개국이며, 이는 전세계 15위에 해당한다.[8]

역사

[편집]

정치

[편집]

지리

[편집]

독일,프랑스,벨기에 사이에 있는내륙국으로,독일프랑스완충국으로서의 의미도 지녔다.

행정 구역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룩셈부르크의 구룩셈부르크의 주입니다.

수도룩셈부르크이다. 룩셈부르크는 3개 구와 12개 주, 116개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 구역 목록

[편집]

다음은 룩셈부르크의 행정 구역 목록이다.

  • 룩셈부르크의 지형도
    룩셈부르크의 지형도
  • 룩셈부르크의 구
    룩셈부르크의 구
  • 룩셈부르크의 주
    룩셈부르크의 주

경제

[편집]
룩셈부르크의 교회
도시 전경
룩셈부르크 전경
룩셈부르크의 한 은행
Lintgen 소방서

전통적으로 협소한 국토 때문에 이웃 나라와 유대를 굳게 하여1843년부터1918년에 독일과관세 동맹을 맺고,1921년 이후벨기에-룩셈부르크 경제동맹,1944년베네룩스 경제동맹,1952년유럽석탄철강공동체,1958년유럽경제공동체 등에 가맹함으로써 소국의 불리함을 극복하고 있다. 프랑스와 국경을 따라 발달한 철강 산업은 룩셈부르크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철강 산업은 무역액의 29%, 국내총생산(GDP)의 1.8%, 산업고용의 22%, 노동력의 3.9%를 차지한다.

남부의구틀란트를 중심으로 농업이 이루어져 감자, 보리, 사탕무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독일 국경을 따라 흐르는모젤강 연안의 포도원에서 생산하는 포도주는 특히 유명하다. 이 나라 제1의 산업인 광공업은 남서부의뒤들랑주,로딩겐,에슈쉬르알제트,디페르당주 등지에서 산출되는 철광석을 원료로 하였으나, 철광석층의 대부분이 고갈되어 프랑스의 수입에 의존한다.

이밖에 화학제품·금속제품·시멘트를 생산하며, 맥주, 담배, 낙농제품의 제조도 성하다. 그러나 석유파동 이래 세계적 경제의 혼미는 룩셈부르크의 철강업에도 큰 영향을 끼쳐 정부는 경제적 부진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외국기업유치에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자국(自國)을 금융시장으로 부상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현재 룩셈부르크는은행·보험업,철강업을 기간산업으로 하는 서비스산업국이자 공업국으로실업률유럽 연합 국가 중 최저이며,1인당 국내총생산은 세계 최고수준이다.1998년 이후에도 제조업의 수출증가나 금융업의 호조에 의해 고성장을 유지하였다.

무역면에서는 1998년 수출 208억 달러, 수입 174억 달러이며, 주요 수출품은 금속, 기계, 전기제품, 플라스틱, 고무, 섬유 등이고 수입품은 기계류, 전기제품, 금속, 수송용 기기, 광산물품(석유 포함) 등이다. 주요 무역 상대국은 독일, 프랑스, 벨기에, 영국, 네덜란드, 이탈리아, 미국, 중국 등이다.

주민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룩셈부르크의 인구입니다.

게르만족이 바탕이 되고프랑스인과의 혼혈이 있다.포르투갈인과이탈리아인들이 소수로 살고 있는 데, 이들은 룩셈부르크의철강 산업의 붐이 일어날 때 노동자로 들어왔다.

언어

[편집]

헌법상의 명시적 조항은 없고,룩셈부르크어(이 언어는 독일어의 방언으로 규정한다),프랑스어,독일어가 사실상의공용어이다.

입법 활동은 프랑스어가 독점하고, 행정 및 사법분야는 3개 언어를 사용한다. 전 국민의 97%가 익숙한 프랑스어이기에,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영어도 관광 장소에서 사용한다.

종교

[편집]

국교는 없고, 주민 대부분은 전통적으로로마 가톨릭교회에 속해 있다. 그러나 세속화 경향이 심하고, 외국인의 유입이 많아무신론자나 이웃 종교 신도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개신교,유대교,정교회,성공회,이슬람교 등의 신자가 있다.

문화

[편집]

대한관계

[편집]

룩셈부르크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룩셈부르크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각주

[편집]
  1. 룩셈부르크어: [miːə̯ ˈvələ ˈblɑɪ̯və vɑt miːə̯ ˈzin].Nous voulons rester ce que nous sommes 누 불롱 레스테 스 크 누 솜[*],Wir wollen bleiben, was wir sind 비어 볼렌 블라이벤 바스 비어 진트[*]
  2. “The World Factbook” (영어).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0년 11월 24일. 2020년 12월 11일에 확인함. 
  3. “Évolution de la population” (프랑스어). 《Statistiques – Luxembourg》. 2023년 2월 10일. 2023년 4월 1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18일에 확인함. 
  4.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4” (영어). 《imf.org》.국제 통화 기금. 2024년 9월 1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0월 29일에 확인함. 
  5. “Human Development Report 2025”(PDF) (영어).유엔 개발 계획. 2025년 5월 6일. 2025년 5월 6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5월 6일에 확인함. 
  6. 가톨릭 63.8%
    기타기독교 9.4%
  7. “Luxemburger Wort – Asselborn's final Security Council meeting”. Wort.lu. 2014년 12월 19일. 2017년 10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4일에 확인함. 
  8. “Global Ranking – Visa Restriction Index 2016”(PDF). Henley & Partners. 2016년 3월 12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4일에 확인함. 
룩셈부르크 백작
(963년–1354년)
고 룩셈부르크가
나무르가
호엔슈타우펜가
나무르가
림부르크가
룩셈부르크 공작
(1354년–1794년)
림부르크가
발루아부르고뉴가
합스부르크가
부르봉가
비텔스바흐가
합스부르크가
합스부르크로트링겐가
룩셈부르크 대공
(1815년-현재)
오라녜나사우가
나사우바일부르크가
디키르히구
그레벤마허구
룩셈부르크구
유럽의 나라
나라
속령
미승인국
  1. 일부 영토가아시아에도 속한다.
  2. 일부 영토가아프리카에도 속한다.
  3. 지리적으로는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유럽으로 분류된다.
역사
구조
요인
회원국
대외관계
산하기구
회원국
참관국
구 회원국
창립 회원국
독일 연방구성국 (1815~1866)
제국
독일 연방의 문장
왕국
선제후국
대공국
공국
안할트(1863년부터)  · 안할트베른부르크(1863년까지)[* 2]  · 안할트데사우(1863년까지)[* 2]  · 안할트쾨텐(1847년까지)  · 브라운슈바이크  · 홀슈타인  · 라우엔부르크  · 림부르크  · 나사우  · 작센알텐부르크(1826년부터)  · 작센코부르크잘펠트→(1826년 이후로)작센코부르크고타  · 작센고타알텐부르크(1826년까지)  ·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1826년까지)  · 작센마이닝겐
후국
자유시
  1. 독일 연방에 속하지 않는 영토가 있던 국가
  2. 1863년 이후 안할트에 합병됨
회원국
참관국
* 프랑스어 이외에 공용어가 존재하는 나라
^ 프랑스어가 공용어가 아닌 나라
회원국
역내 회원국
역외 회원국
예상 회원국
역내 회원국
역외 회원국
참여 희망국
국제
국가
지리
아티스트
인물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룩셈부르크&oldid=4026022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