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신화(— 神話, Roman mythology)는라틴어 문학과로마의 시각 예술에 나타난고대 로마의신화이며,로마 민속의 한 형태이다. "로마 신화"는 또한 이러한 표현들에 대한 현대적 연구와 어떤 시기든 다른 문화의 문학과 예술에 나타난 주제를 지칭하기도 한다. 로마 신화는이탈리아족의 신화에서 유래하며원시 인도유럽 신화와신화소를 공유한다.
로마인들은 자신들의 전통 서사가 기적적이거나 초자연적인 요소가 있더라도 대개 역사적인 것으로 취급했다. 이야기들은 종종 정치와 도덕에 관한 것이며, 개인의 청렴성이 공동체나 로마 국가에 대한 책임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다룬다. 영웅주의는 중요한 주제이다. 이야기들이 로마의 종교적 관행을 조명할 때, 그것들은신학이나우주기원론보다는 의식,아우구르, 그리고 제도에 더 중점을 둔다.[1]
고전 신화는 그리스와 로마 신화가 합쳐진 전통으로, 특히라틴 문학을 통해 유럽 전역의중세에서르네상스를 거쳐 현대 소설과 영화에서 신화가 사용되는 방식까지 전파되었다. 로마인들의 그리스 신화 해석은 그리스 원전보다 신화의 서사적 및 회화적 표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아우구스투스 통치 시대에 쓰인오비디우스의변신 이야기에 실린 그리스 신화 버전은정전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의식이 그리스인들에게 신화가 그랬던 것처럼 로마 종교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에, 로마인들이 고유한 신화를 많이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 의심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인식은낭만주의와 19세기고전학의 산물로, 그리스 문명을 더 "진정으로 창의적"이라고 평가했다.[3] 그러나르네상스부터 18세기까지 로마 신화는 특히유럽 회화의 영감이 되었다.[4] 로마 전통은 도시의 건국과 발흥에 관한 역사적 신화, 즉전설이 풍부하다. 이러한 서사는 신들의 간헐적인 개입만이 있을 뿐 신의 명령에 따른 운명이라는 만연한 감각을 가진 인간 행위자들에게 초점을 맞춘다. 로마의 초기 시대에는 역사와 신화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졌다.[5]T. P. 와이즈먼이 언급했듯이:
로마 신화의 주요 출처로는베르길리우스의아이네이스와티투스 리비우스의 초기 역사서 몇 권, 그리고 디오니시오스의 로마 고대사(Roman Antiquities)가 있다. 다른 중요한 출처로는로마 종교력을 기준으로 구성된 6권의 시인오비디우스의행사력과프로페르티우스의 4권의 애가(elegy)가 있다. 로마 신화의 장면들은 로마의벽화,주화,조각, 특히부조에서도 나타난다.
아이네이스와 티투스 리비우스의 초기 역사는로마의 건국 신화에 대한 현존하는 가장 좋은 자료이다. 그리스 영웅 전설의 자료는 일찍이 이 토착 혈통에 접목되었다. 트로이 왕자아이네이아스는라틴족의 이름 조상인라티누스 왕의 딸인라비니아의 남편으로 설정되었으며, 따라서복잡한 수정주의 계보를 통해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조상으로 여겨졌다. 나아가 트로이인들은 로마 민족의 신화적 조상으로 받아들여졌다.[6]
신적 활동에 대한 서사는 로마인들 사이에서보다는 그리스 종교적 신념 체계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로마인들에게는 의식과숭배가 우선이었다. 로마 종교는성경과 그주석에 기반을 두지 않았지만, 사제 문헌은라틴어 산문의 가장 초기 형태 중 하나였다.[13]폰티펙스단과아우구르의 서적(libri)과 주석(commentarii)은 종교적 절차, 기도문, 그리고 종교법에 대한 판결과 의견을 담고 있었다.[14] 이러한 보관된 자료 중 적어도 일부는로마 원로원이 참고할 수 있었지만, 그것은 종종 occultum genus litterarum,[15] 즉 정의상 사제만이 접근할 수 있는 난해한 형태의 문헌이었다.[16] 세계사와 로마의 운명에 관한 예언들은 역사적 전환점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는데,쿠마에 무녀로부터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전설에 따르면)가 기원전 6세기 후반에 구입한 모호한시빌라 신탁집에서 갑자기 드러났다. 고대 로마 종교의 일부 측면은 다른 고전 및 기독교 작가들을 통해 알려진 기원전 1세기 학자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의 유실된 신학 저작에 남아 있었다.
전통적인 로마 종교는 교리적으로는 독단적이지 않고 의식적으로는 보수적이었지만, 그들이 영속시킨 의식의 의미는 사회 변화에 대응하여 신화,원인론, 주석, 그리고 다른 문화의 영향이 축적되면서 적응되고 확장되며 재해석될 수 있었다.[17] 가장 초기의 판테온에는야누스,베스타, 그리고 최고위플라멘을 가진유피테르,마르스,퀴리누스의 이른바원시 삼신이 포함되었다. 전통에 따르면,사비니인 출신의 로마 제2대로마 국왕인누마 폼필리우스가 로마 종교를 창시했다. 누마는 샘과 예언의 로마 여신 또는님프인에게리아를 그의 배우자이자 조언자로 두었다고 믿어졌다. 에트루리아의 영향을 받은유피테르,유노,미네르바의카피톨리노 삼신은 나중에 공식 종교의 중심이 되었고 원시 삼신을 대체했다. 이는인도유럽 종교 내에서 두 명의 여성 신과 한 명의 남성 신으로 이루어진 최고 삼신이 형성된 특이한 사례이다.디아나 숭배는아벤티노 언덕에 정착했지만, 이 여신에 대한 가장 유명한 로마의 표현은J.G. 프레이저가신화 연구의 고전인황금가지에서 그녀의 숭배에 관심을 기울였기 때문에디아나 네모렌시스일 것이다. 현대 학자들이아벤티노 삼신이라고 부르는케레스,리베르, 그리고리베라는플레브스가 부와 영향력을 얻으면서 발전했다.
익시온의 처벌: 중앙에는케뤼케이온을 들고 있는메르쿠리우스가 서 있고, 오른쪽에는유노가 왕좌에 앉아 있다. 그녀 뒤에는이리스가 서서 손짓하고 있다. 왼쪽에는불카누스 (금발의 인물)가 바퀴 뒤에 서서 그것을 조작하고 있으며, 익시온은 이미 바퀴에 묶여 있다.네펠레는 메르쿠리우스의 발 아래 앉아 있다. –폼페이베티이 가옥의트리클리니움 동쪽 벽에 그려진 로마 프레스코화,제4양식 (서기 60~79년).
신들은 일상생활의 실제적인 필요를 명확히 나타냈으며, 로마인들은 그들에게 적절한 의식과 제물을 꼼꼼히 바쳤다. 초기 로마의 신들에는 다양한 특정 활동을 수행할 때 이름이 불려지는 수많은 "전문 신들"이 포함되었다. 쟁기질이나 씨뿌리기와 같은 행위에 수반되는 오래된 의식의 단편들은 작업의 모든 단계에서 별도의 신이 불려졌으며, 각 신의 이름은 해당 작업의 동사에서 정기적으로 유래했다는 것을 보여준다.수호신은 고대 로마에서 특히 중요했다.사투르누스는유피테르,케레스,플루톤,넵투누스,유노,베스타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었다.
그리하여야누스와베스타는 문과 화로를 지키고,라레스는 밭과 집을,팔레스는 목초지를,사투르누스는 씨뿌리기를,케레스는 곡식의 성장을,포모나는 과일을, 그리고콘수스와옵스는 수확을 보호했다. 신들의 지배자인유피테르는 그의 비가 농장과 포도밭에 줄 수 있는 도움에 대해 숭배받았다. 그의 더 포괄적인 성격으로 그는 번개라는 무기를 통해 인간 활동의 지휘자로 여겨졌다. 그의 광범위한 영역 때문에 로마인들은 그를 자신의 공동체 경계를 넘는 군사 활동에서 자신들의 수호자로 여겼다. 초기에는마르스와퀴리누스 신들이 두드러졌는데, 이들은 종종 서로 동일시되었다. 마르스는 전쟁과 농업의 신이었고, 3월과 10월에 숭배받았다. 퀴리누스는 평화 시에 무장 공동체의 수호신이었다.
19세기 학자게오르크 비소바[18]는 로마인들이 신을 두 가지 범주, 즉디스 인디게테스와 디스 노벤시데스 또는노벤실레스로 구분했다고 생각했다. 인디게테스는 로마 국가의 본래 신들로, 그 이름과 본질은 초기 사제들의 칭호와 달력에 고정된 축제들로 나타나며, 30명의 신들이 특별한 축제로 숭배받았다. 노벤시데스는 역사 시대에 도시로 유입된 후기 신들로, 보통 알려진 날짜에 특정 위기나 느껴진 필요에 따라 도입되었다. 그러나아르날도 모밀리아노 등은 이러한 구별을 유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9]한니발 전쟁 동안 "토착 신"과 "이민 신" 사이의 구별은 희미해지기 시작했고, 로마인들은 다양한 문화권의 다양한 신들을 힘과 보편적인 신성한 호의의 상징으로 받아들였다.[20]
이웃 지역의 신들을 흡수하는 과정은 로마 국가가 이웃 영토를 정복하면서 이루어졌다. 로마인들은 일반적으로 정복된 영토의 지역 신들에게로마 국가 종교의 이전 신들과 동일한 영예를 부여했다.디오스쿠로이 외에도 이탈리아의 정복된 정착지들은 로마 판테온에디아나,미네르바,헤르쿨레스,베누스, 그리고 낮은 지위의 신들을 기여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들 중 일부는 이탈리아 신들이었고, 다른 일부는 원래마그나 그라이키아의 그리스 문화에서 유래했다. 기원전 203년, 로마는프리기아의페시누스에서키벨레를 상징하는 숭배물을 들여왔고, 정당한의식으로 그 도착을 환영했다. 기원전 1세기 중반의 동시대 시인인루크레티우스와카툴루스는 키벨레의 맹렬하게 열광적인 숭배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제시한다.
어떤 경우에는, 적대 세력의 신들이에보카티오 의식을 통해 로마의 새로운 신전에 거주하도록 공식적으로 초대되기도 했다.
외국인 (페레그리누스) 공동체와 해방 노예(리베르티니)는 도시 내에서 자신들의 종교적 관행을 계속했다. 이러한 방식으로미트라스는 로마에 전파되었고로마 육군 내에서 그의 인기가 높아져 그의 숭배는브리타니아까지 퍼져나갔다. 중요한 로마 신들은 결국 더의인화된 그리스 신들과 여신들과 동일시되었고, 그들의 많은 속성과 신화를 받아들였다.
로마 신화와 그리스 신화에서, 유피테르는 인간 여인에게서 태어난 아들인 아기헤르쿨레스를 잠든유노의 가슴에 올려 놓아 아기가 신성한 젖을 마시고 불멸이 되게 한다. 이 행위는 아기에게 신과 같은 자질을 부여할 것이다. 유노가 깨어나 알 수 없는 아기에게젖을 먹이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를 밀쳐내자, 그녀의 젖이 쏟아져우리 은하가 되었다. 신화의 다른 버전에서는, 버려진 헤르쿨레스를미네르바가 유노에게 먹이도록 주지만, 헤르쿨레스의 강인함 때문에 미네르바는 고통 속에서 그를 자신의 가슴에서 떼어내게 된다. 튀어나온 젖이 은하수를 형성한다.[21][22][23]
↑예지 린데르스키, "The libri reconditi", Harvard Studies in Classical Philology 89 (1985) 207–234.
↑Molly Pasco-Pranger, "With the Veil Removed: Women’s Public Nudity in the Early Roman Empire," Classical Antiquity 38:2 (2019), p. 218.
↑게오르크 비소바, De dis Romanorum indigetibus et novensidibus disputatio (1892), full text (in Latin)online.
↑아르날도 모밀리아노, "From Bachofen to Cumont", in A.D. Momigliano: Studies on Modern 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p. 319; Franz Altheim, A History of Roman Religion, as translated by Harold Mattingly (London, 1938), pp. 110–112;메리 비어드, J.A. North and S.R.F. Price. Religions of Rome: A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vol. 1, p. 158, note 7.
↑윌리엄 워드 파울러,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oman People (London, 1922) pp. 157 and 319; J.S. Wacher, The Roman World (Routledge, 1987, 2002), p. 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