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로런츠 변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의 내용은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문서를 편집하여,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0년 11월)
양자장론

로런츠 변환(Lorentz transformation)은 네덜란드의 수학자겸 물리학자헨드릭 안톤 로런츠가 발견한,전자기학고전역학 간의 모순을 해결해 낸특수상대성이론의 기본을 이루는 변환식이다. 예를 들어, 이 변환식을 사용해서 기준관성계에 일정한 속도로 운동하는 다른관성계에서 관찰한 입자의 궤적이 어떻게 되는지를 계산할 수 있다. 로런츠 변환은 고전 역학의갈릴레이 변환을 대체하는 식이다. 이 변환식은 진공에서의빛의 속도c를 계수로 포함한다.c를 무한대로 두면 식은 갈릴레이 변환과 동일하게 된다.

로런츠 변환은군변환(group transformation)의 일종으로, 한 관성계의 공간, 시간좌표S{\displaystyle S}S{\displaystyle S}u{\displaystyle {\mathbf {u} }}의 상대속도로 움직이는 다른 관성계의 좌표S{\displaystyle S'}의 좌표를 변환한다. 어떤 사건(event)가S{\displaystyle S}계에서(x,y,z,t){\displaystyle (x,y,z,t)}의 시공간 좌표를 갖고,S{\displaystyle S'}계에서(x,y,z,t){\displaystyle (x',y',z',t')}의 좌표를 갖는다면, 이 두 좌표들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로런츠 변환식으로 주어진다.

x=γ(xut){\displaystyle x'=\gamma (x-ut)}
y=y{\displaystyle y'=y}
z=z{\displaystyle z'=z}
t=γ(tuxc2){\displaystyle t'=\gamma \left(t-{\frac {ux}{c^{2}}}\right)}

여기서

γ=11u2c2{\displaystyle \gamma ={\frac {1}{\sqrt {1-{\frac {u^{2}}{c^{2}}}}}}}

이고,c{\displaystyle c}는 (진공에서의) 광속을 나타낸다.

위 변환식은 상대속도u{\displaystyle {\mathbf {u} }}S{\displaystyle S} 좌표계의 x축 방향일 때만 성립한다.u{\displaystyle {\mathbf {u} }}S{\displaystyle S}계의 x축 방향이 아닐 때에는 좌표축의 회전을 통해u{\displaystyle {\mathbf {u} }}가 x축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편이 일반적인 로런츠 변환식을 구하는 것보다 간단하다. 또 다른 위 식의 제한조건은 두 시공간 좌표의 원점이 일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S{\displaystyle S}계의(0,0,0,0){\displaystyle (0,0,0,0)}S{\displaystyle S'}계의(0,0,0,0){\displaystyle (0,0,0,0)}과 일치해야 한다.(수학적인 설명이 부족하므로 추후 다시 수정할 예정)

역사

[편집]

헨드릭 안톤 로런츠1900년맥스웰 방정식을 보존하는 변환식을 발견했다. 그러나, 로런츠는에테르 가설을 믿고 있었고,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한아인슈타인에 이르러 이 변환식의 의미가 재해석 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특수
상대론
배경
근본
개념
공식화
현상
시공간
일반
상대론
배경
근본
개념
공식화
현상
고급
이론
과학자
전거 통제: 국가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이 글은 수학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로런츠_변환&oldid=39021904"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