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레흐 바웬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흐 바웬사
Lech Wałęsa
레흐 바웬사 (2009년)
레흐 바웬사 (2009년)
폴란드 제3공화국제2대 대통령
임기1990년 12월 22일~1995년 12월 22일

신상정보
출생일1943년 9월 29일(1943-09-29)(82세)
출생지폴란드브워츠와베크포포보
정당강화결속 선거활동당
배우자다누타 고워시
자녀야로슬라프 바웬사 외 8명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서명
서훈노벨 평화상(1983년)

레흐 바웬사(폴란드어:Lech Wałęsa 레흐 바웽사[ˈlɛɣ‿vaˈwɛ̃sa][*]이 소리의 정보듣기 (도움말·정보), 1943년 9월 29일 ~ )는폴란드의 정치인,연대 지도자이며, 민주적으로 선출된대통령(1990년 ~1995년)이었다.

어린 시절

[편집]

레흐 바웬사는1943년9월 29일폴란드브워츠와베크 근처인포포보에서 태어났다. 그단스크에서 초등학교를 나왔다. 집에서 부모의농사를 거들던 바웬사는 언제까지 이렇게 살 수 없는 터라을 나왔으며 직업 학교를 졸업하여 1967년그단스크에서 레닌 조선소 전기 노동자가 되었다. 당시 노동자들은 좋지 못한 노동조건에서 살고 있었던 터라 바웬사는 이들과 연대하여 노동조합 활동에 참가했다.1969년에 그는 다누타라는 여자와 결혼했다.

노동자 운동

[편집]
1980년8월 레닌 조선소에서파업 운동을 지도하는 바웬사

연대 주장

[편집]

노동운동이 정부에 의해 탄압받는 현실과1970년 '12월 사건'을 목격한 레흐 바웬사는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는 민주적인노동조합 결성을 결심해 노동자의 요구 조건을 조선소 측에 제시했다. 하지만 노동운동 탄압으로 4년간 실업자 생활을 했다.1976년, 레흐 바웬사는 '죽은 노동자를 위한 기념탑'을 세우기 위하여 청원을 위한 서명운동을 벌였다. 그는 이런 점 때문에직업을 얻을 수 없었고, 주위 친구의 도움을 받았다.

파업투쟁

[편집]

1980년8월 14일조선소 파업투쟁을 시작했다. 식료품 값의 인상으로 시작된 파업은 계속 확대되었고, 그는 직접 그 조선소 안으로 들어가서 노동조합을 이끌고 대정부투쟁에 나섰다. 레흐 바웬사가 이끄는 이 투쟁의 결과 최종 승리로 끝났다. 그 해 9월 정부에서는 자유 노조 설립을 합법화했다. 이 결과로 폴란드에서는중앙유럽 구 공산 국가들중에서는 처음으로 나라의 통제를 받지 않는 민주적인 노동조합 '연대'가 탄생하게 되었다.

탄압

[편집]

그러나폴란드 구 공산정부는 곧 입장을 바꾸어서계엄령을 선포했다. 그리고 '연대'를 불법화 시켰다. 레흐 바웬사는1981년12월 11일 검거되었고, 폴란드에 내려진 계엄령 밑에서 소련 국경 근처에서1982년11월 14일까지 약 11달 간 구금되었다. 1982년 11월에 석방되어 복직했으나, '연대'는 이미 불법적인 단체로 인정되어 있었다. 1983년 7월, 계엄령은 해제되었지만, 정부는 바웬사와의 대화를 거부했다.

노벨 평화상

[편집]

1983년10월 5일, 그는 노동자로는 최초로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다. 수상 당시, 그는 폴란드 정부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며,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망명객이 될까봐 두려워서 대신 부인 다누타가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1986년 ~1987년 동안 레흐 바웬사는 자신의 자서전을 파리로 밀반출해1987년 《희망의 길》(프랑스어:Un Chemin d'Espoir)을 펴냈다.

그리고1988년~1989년 동안 폴란드 정부와의 협상에 참여해 '연대' 노조와 다른 노조들의 법적 지위 회복, 새로 부활된 폴란드 의회 구성을 위한 자유로운 의원선거, 대통령직의 설치, 일정한 경제적 변화조치의 발표 등을 얻어냈다.1989년에는 그의 동료인타데우시 마조비에츠키가 총리가 되는 일에 협력했다.

폴란드를 방문한부시 대통령과 회담에서

대통령 시기와 그 이후

[편집]

1990년12월 9일 레흐 바웬사는 대통령 선거에서 마조비에츠키와의 선거에서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되었다. 그는 대통령이 되자 소위 "war at the top" 이란 슬로건을 내걸었다.

바웬사의 임기 기간 동안 국가가 정돈된 정부와 높은 실업률을 겪었어도 그는 거의 성취를 이루었다.

바웬사는 개혁을 위하여 열심히 밀어나갔고 폴란드가유럽 연합에 들어가는 것을 확실히 하는 데 세력의 거대한 처리를 바쳤다. 그는 폴란드의러시아와 제휴를 끝내는 데 책임을 지었고, 폴란드가나토에 가입하는 것을 반대하는 데 러시아의 부족을 진술한보리스 옐친 대통령으로부터 선언을 받기도 하였다.

바웬사 아래 폴란드의 경제는 6 퍼센트의 성장률과 함께 60 퍼센트 민영화되었다. 과도 경제에서 곤경에 빠진 근로자들의 상태에서 이익의 부족과 즉시의 변화를 위한 폴란드 국민의 실재하지 않는 자신의 명백한 욕망의 이유로 그는 이 성과와 명예를 얻지 못하였다.

많은 그의 비판들은공산주의에서자유 민주주의로 경제 전환의 진동을 위하여 폴란드를 준비하는 데 바웬사가 실패하였다고 말하였다. 그는 결국1995년11월 5일 대통령 선거에서 전 공산당원알렉산데르 크바시니에프스키에게 패하였다.

1991년 저서 《분투와 승리》를 펴냈다. 후에 레흐 바웬사 연구 재단의 부회장이 되었다.

1994년 폴란드 대통령으로선 처음으로대한민국을 방문하였으며,2016년11월에는계명대학교에서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가족 관계

[편집]

부인은 다누타이며 그의 자녀는 8명이다. 그 중 넷째인야로스와프 바웬사2005년부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2]

기타 사항

[편집]

소수자 인권 부정 발언

[편집]

2013년 3월 2일 폴란드 민영 방송사인 TVN와의 인터뷰에서 동성애자를 비롯하여 소수자의 권리를 부정하는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었다.[3]

역대 선거 결과

[편집]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1차 득표율1차 득표수2차 득표율2차 득표수결과당락
1990년 선거폴란드의 대통령2대연대자유노조 39.96%6,569,889표 74.25%10,622,696표1위
1995년 선거폴란드의 대통령3대무소속 33.11%5,917,328표 48.28%9,058,176표2위낙선
2000년 선거폴란드의 대통령3대폴란드 제3공화국의 기독교 민주주의 1.01%178,590표 7위낙선

각주

[편집]
  1. “명예박사 학위 받은 레흐 바웬사 전 폴란드 대통령”. 2016년 11월 4일에 확인함. 
  2. “한겨레 뉴스 - 레흐 바웬사 아들도 정치 입문 2005.10.19”. 2015년 6월 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6일에 확인함. 
  3. 네이버 뉴스 - 바웬사 “동성애자는 벽 뒤에나 있어야”소수자 인권 부정 발언 2013.03.04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레흐 바웬사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제2대 폴란드 대통령          

전임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1990년 12월 22일 ~ 1995년 12월 22일후 임
알렉산데르 크바시니에프스키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 레흐 바웬사 · 알렉산데르 크바시니에프스키 · 레흐 카친스키 · 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 · 안제이 두다 · 카롤 나브로츠키
전임
로널드 레이건
제55대타임 올해의 인물
1981년
후임
컴퓨터
폴란드 섭정왕국 섭정
(1916년-1918년)
폴란드 제2공화국
(1918년-1939년)
국가수령
공화국 대통령
폴란드 망명정부 대통령
(1939년-1990년)
폴란드 인민공화국
(1944년-1989년)
인민평의회
상임간부회 주석
공화국 대통령
국가평의회 주석
폴란드 제3공화국 대통령
(1989년-현재)
기울임꼴 은 권한대행을 의미한다.
1901 – 1925
1926 – 1950
1951 – 1975
1976 – 2000
2001 – 현재
← 1983년노벨상 수상자 →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학·의학상
문학상
평화상
경제학상
1927년 ~ 1950년
1951년 ~ 1975년
1976년 ~ 2000년
2001년 ~ 현재
냉전의 주요 인물
미국
소련
영국
서독
프랑스
동유럽
바티칸 시국
중화인민공화국
아시아
중동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국제
국가
학술
아티스트
인물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레흐_바웬사&oldid=39059855"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