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레알 소시에다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슷한 이름의CD 레알 소시에다드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레알 소시에다드
전체 명칭Real Sociedad de Fútbol, S.A.D.
별칭Txuri-urdinak (하양-파랑)
Erreala /La Real (왕가)
국가스페인의 기스페인
대륙UEFA
리그라리가
경기장아노에타
수용 인원39,500[1]
창단1909년9월 7일
회장호킨 아페리바이
감독세르히오 프란시스코 라모스
2024-2511위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원정
2025-26 시즌

레알 소시에다드 데 푸트볼,S.A.D.(스페인어:Real Sociedad de Fútbol, S.A.D.,왕립 사회 축구단, 스포츠 공개 유한 법인)은 흔히레알 소시에다드(스페인어:Real Sociedad reˈal soθjeˈðað[*],왕립 사회단) 혹은라 레알(스페인어:La Real,왕가)로 알려진 스페인의스포츠 클럽으로, 1909년 9월 7일에 창단했으며,바스크 주산 세바스티안을 연고로 두고 있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안방 경기를아노에타에서 치른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1980-81 시즌과 1981-82 시즌에 연달아 라리가 우승을 거두었고, 가장 최근에 준우승을 차지한 때는2002-03 시즌이다. 구단은 1908-09 시즌, 1986-87 시즌, 그리고 2019-20 시즌에코파 델 레이에서도 3번 우승을 거두었다. 레알 소시에다드와 숙적아틀레틱 빌바오와의 경기는바스크 더비로 수식된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1929년라 리가의 원년 참가 구단들 중 하나이다. 레알 소시에다드가 1부 리그에 가장 오래 머물렀던 기간은 1967년부터 2007년까지 40년이다.[2]

전통적으로 레알 소시에다드는숙적 아틀레틱의 경우처럼 바스크 선수들만 영입하는 정책을 펼쳤지만, 1989년아일랜드 국가대표 공격수존 앨드리지를 영입하면서 폐지되었다. 지금도 선수단 구성을 보면 바스크를 대표하는 선수들 주축을 차지하지만, 바스크 출신이 아닌 스페인 타지 선수들과 외국인 선수들도 활약한다.유소년부는 바스크만 받아주는 시대가 지난 이후에도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친 선수들을 배출했는데, 이들 중에는 FIFA 월드컵 정상에 오른샤비 알론소앙투안 그리즈만도 있었다.

레알 소시에다드는UEFA 챔피언스리그에 두 번 참가했는데, 2003-04 시즌에는 16강에 진출했지만,리옹에 밀려 더 나아가지 못했다.

축구 외에도 레알 소시에다드는 다른 체육 부서도 운영하는데,여자 축구,트랙 및 필드 육상,필드하키, 그리고바스크 펠로타 부서를 두고 있다.

역사

[편집]

초창기 역사

[편집]
1912년의 레알 소시에다드 선수단
1930-31 시즌의 레알 소시에다드 선수단

산세바스티안에 축구가 전래된 때는 1900년대 초반으로,영국으로 건너갔다 돌아온 학생들과 노동자들에 의해 알려졌다. 1904년, 이들은 산 세바스티안 레크리에이션 클럽(San Sebastian Recreation Club)을 창단하였고, 이 구단은 이듬해코파 델 레이에 출전하였다. 1905년 5월, 산 세바스티안 축구단(San Sebastian Football Club)은 별도의 축구단으로 독립되어 창단되었다. 1909년 코파 델 레이 참가 신청을 냈지만, 복잡한 등록 절차로클루브 시클리스타 데 산세바스티안(Club Ciclista de San Sebastián)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이 구단은클루브 에스파뇰 데 마드리드를 결승전에서 3-1로 이겼다. 이러한 혼선으로, 축구 사회단(Sociedad de Futbol)이 1909년 9월 7일에 창단하였다. 1910년, 스페인 구단들은 두 라이벌 컵 대회에 참가했는데, 소시에다드 데 푸트볼은 바스코니아 데 산 세바스티안(Vasconia de San Sebastián)의 명칭으로 코파 UECF에 참가하였다. 같은 해 산 세바스티안을 여름 수도로 이용하던알폰소 13세 국왕은 구단에 자신의 명칭을 하사하였고, 이 때를 기점으로 오늘날의 명칭인 왕립 사회 축구단(Real Sociedad de Fútbol)이 확립되었다.

1952년의 레알 소시에다드 선수단

레알 소시에다드는 1929년라 리가 출범 당시 참가한 선수단이었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4위의 성적을 냈는데, 프란시스코 "파코" 비엔소바스가 득점왕에 올랐다. 1931년, 구단은스페인 제2공화국이 출범하면서도노스티아 축구단(Donostia Club de Futbol)으로 개칭했지만, 1939년에스페인 내전이 끝나면서 본래 명칭인 왕립 사회단으로 환원하였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초창기1부2부 리그 사이를 왕래하였는데, 1940년대에는 승격과 강등 횟수가 도합하여 7번이었다. 당시 조각가에두아르도 치이다가 부상으로 축구를 그만두기 전까지 선수단의 골키퍼를 맡았다.

1980년대 전성기

[편집]

레알 소시에다드는1979-80 시즌에 구단 역사상 최초로 라 리가 준우승의 성적을 기록했는데, 그 해 승점 52점을 수집하면서 3위를 차지한스포르팅 히혼을 13점 차로 제쳤지만, 승점 53점으로 정상에 오른레알 마드리드에 1점차로 밀렸다. 이듬해인1980-81 시즌, 레알 소시에다드는 사상 첫 라 리가 우승을 거두어 레알 마드리드의 리그 4연패를 무산시켰는데, 최종전을 마치고 두 구단은 45점을 얻었는데, 마드리드는 골득실차에서 우위를 점했지만, 레알 소시에다드가 상대 전적에서 앞서서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다.[3] 왕가는 이 우승에 따라유러피언컵 1981-82에 참가했지만, 1라운드에서 불가리아의CSKA 소피아에 패해 탈락했는데, 불가리아 원정에서 0-1로 패한 뒤, 스페인 안방에서 0-0으로 비겼다.[4]

산 세바스티안의 레알 소시에다드 지지자들

알베르토 오르마에체아 감독이 이끄는 레알 소시에다드는이듬해에도 리그 우승을 거두었는데, 이번에는 승점 47점을 확보하여 승점 45점을 차지한 바르셀로나를 따돌리고 우승하였다.[5] 공격수헤수스 마리아 사트루스테기가 1980-81 시즌에 16골로 구단 득점 1위를 기록했다.[6] 사트루스테기는 이듬해에도 13골을 넣어 14골을 기록한페드로 우랄데에 이어 득점 2위였다.[7] 리그를 2년 연속 석권한 레알 소시에다드는유러피언컵 1982-83의 준결승까지 올라갔는데, 아이슬란드의비킹귀르, 스코틀랜드의셀틱, 그리고 포르투갈의스포르팅 리스본을 연달아 제압하였고, 이 시즌 우승을 차지한함부르크에 2-3으로 석패하여 결승까지 오르지는 못하였다.[8] 레알 소시에다드는1982-83 시즌을 앞두고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에서 우승을 거두었는데, 1차전에서 0-1로 패한 후 합계 4-1로 레알 마드리드를 이겼다.

1987년 3월 11일, 레알 소시에다드는마요르카를 10-1로 크게 이겨 상대로 8강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다.같은 대회의 준결승전에서바스크 숙적아틀레틱 빌바오를 두 번의 경기에서 각각 1-0으로 이겼다. 1987년 6월 27일, 레알 소시에다드는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결승전에서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기고 사상 처음으로 코파 델 레이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는아라곤 지방사라고사라 로마레다에서 열렸다.[9] 이듬해의 코파 델 레이에서, 레알 소시에다드는 8강에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재회하여 또다시 승리를 쟁취했다. 이후 준결승전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합계 5-0으로 이겼지만, 1988년 3월 30일 레알 마드리드의 안방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린 결승전에서바르셀로나에게 0-1로 패하였다.[10]1987-88 시즌 리그에서는 2번째 우승을 거둔 이래 처음으로 준우승을 차지하였는데, 승점 51점을 획득해 62점을 획득한 레알 마드리드와 11점차였고, 3위에 오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보다 승점 3점을 더 획득하였다.[3]

잉글랜드 태생의 아일랜드 국가대표존 앨드리지가 레알 소시에다드에 입단한 첫 비(非)바스크 선수가 되었는데, 앨드리지는 1991년까지 2년 연속으로 구단 득점 1위를 기록했다

오랜 기간 동안, 레알 소시에다드는 바스크 숙적 아틀레틱 빌바오와 마찬가지로바스크 선수만 영입하는 정책을 고수했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1989년에아일랜드 국가대표존 앨드리지리버풀에서 영입하면서 이 정책을 폐기하였다.[11] 앨드리지는 도노스티아라에서의 1년차에 16골을 기록하여 구단 득점 1위를 기록하였고,[12] 리그 전체 득점 4위에 올랐는데, 왕가는 이 시즌 리그를 5위로 마쳤다.[13] 1990년 왕가는 또다른 잉글랜드 리그 공격수데일리언 앳킨슨셰필드 웬즈데이에서 영입했는데,[14] 그에 따라 앳킨슨은 구단 첫 아프리카계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앳킨슨은 1년차에 12골을 넣었는데, 그는 17골을 넣은 앨드리지에 이어 구단 득점 2위에 이름을 올렸다.[15] 앨드리지는 이 시즌을 끝으로 왕가를 떠나 잉글랜드 무대로 복귀했는데, 하부 리그의트랜미어 로버스로 이적하였고, 앳킨슨도 잉글랜드 1부 리그인애스턴 빌라로 떠났다.

1997-98 시즌, 레알 소시에다드는 라 리가 3위의 성적을 거두었는데, 이는 1988년에 준우승을 차지한 이래 거둔 최고의 성적이었다. 이 시즌에는 승점 63점을 쌓아 올려 우승을 거둔 바르셀로나보다 승점이 11점 적었는데, 준우승을 차지한 아틀레틱 빌바오와는 불과 승점 2점차였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레알 마드리드보다 골득실차에서 우위를 차지해 더 높은 순위에 올랐다.[13] 유고슬라비아의 공격수다르코 코바체비치가 이 시즌에 17골을 넣어, 리그 득점 4위에 이름을 올렸다.[16] 리그에서 3위의 성적을 거둔 왕가는1998-99년 UEFA컵에 진출했는데,스파르타 프라하디나모 모스크바를 꺾었지만, 3라운드에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패퇴하였다.

21세기

[편집]
니하트 카흐베지는 2002-03 시즌 레알 소시에다드의 준우승 주역으로, 그 해 구단 득점 1위를 기록하였다
니하트 카흐베지2002-03 시즌 레알 소시에다드의 준우승 주역으로, 그 해 구단 득점 1위를 기록하였다
아노에타의 내부 파노라마

3년 연속 리그에서 13위의 성적을 거둔 레알 소시에다드는2002-03 시즌에 1988년과 마찬가지로 리그에서 준우승을 거두었다.[17] 레알 소시에다드는 승점 76점을 획득하였는데, 우승을 거둔 레알 마드리드만이 승점 78점으로 2점 앞섰고, 3위를 차지한데포르티보보다는 승점을 4점 더 땄다.[18] 이 시기에 구단을 지휘한 감독은 프랑스 출신의레날 드누에였다. 왕가의 공격진을 터키 공격수니하트 카흐베지유고슬라비아 국가대표다르코 코바체비치가 맡았다. 두 선수는 각각 23골, 20골을 넣어 리그 득점 3위와 4위를 기록했다.[19] 도노스티아라인들의 주축 선수들로는네덜란드 국가대표 수문장산데르 베스터르펠트와 신예 미드필더샤비 알론소도 있었다. 알론소는 리그에서의 활약으로돈 발론 올해의 국내 선수로도 선정되었고, 카흐베지는 올해의 외국인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드누에 감독도 올해의 감독으로 명명되었다.[20]

레알 소시에다드의 2002-03 시즌 가장 중요한 순간은 4월에아노에타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4-2로 이긴 것이었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37라운드까지 치열한 라 리가 우승 경쟁을 이어나갔는데,셀타 비고 원정에서 2-3으로 패하는 와중에 레알 마드리드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4-0으로 이겼다. 그에 따라 레알 마드리드는 한 경기를 남겨놓고 레알 소시에다드를 승점 2점 차로 앞서나가게 되었고, 왕가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3-0으로 이기는 동안 레알 마드리드는 아틀레틱 빌바오를 이기고 우승을 차지하였다.[21] 레알 소시에다드는 리그 준우승으로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조별 리그에 직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아노에타 무패 기록을 세웠고, 총 71골을 넣었으며, 6경기에서만 졌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에서유벤투스,갈라타사라이, 그리고올림피아코스와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2승 3무 1패를 기록했는데, 1패는 유벤투스 원정에서 거둔 것이었고, 조 2위로 16강에 진출하였다.[22] 하지만리옹과의 경기에서 1차전 안방 경기, 2차전 원정 경기를 모두 1-0으로 패하면서 8강 진출이 좌절되었다.[23]2003-04 시즌을 기점으로 도노스티아라인의 급격한 하락이 두드려졌는데, 20개 구단이 참가하는 리그에서 15위를 차지하였다. 이 시즌에 승점 46점을 모으는 데에 그쳐 강등된바야돌리드보다 겨우 승점 5점이 많았다.[24]

2006년 9월 9일, 레알 소시에다드는 2000번째 라 리가 경기를 치렀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2006-07 시즌에 19위에 그치면서 라 리가에서 강등되었다. 2007년 7월 9일, 전웨일스 국가대표 감독이자풀럼의 감독인크리스 콜먼이 전 레알 소시에다드 감독이자 구단의 주요 관계자인존 토샥의 추천으로 후임 감독이 되었다. 그러나, 콜먼 감독은 2008년 1월 16일에 사표를 냈다.

2010년 6월 13일, 레알 소시에다드는 3년 만에 라 리가에 복귀하였다.

2012-13 시즌, 레알 소시에다드는 4위를 차지하면서UEFA 챔피언스리그 2013-14에 진출하게 되었는데, 플레이오프전 진출이었지만 2003-04 시즌 이래 처음으로 이 대회에 진출하였다. 플레이오프전에서, 구단은 9년 전 16강에서 레알 소시에다드를 떨어뜨렸던 리옹을 두 차례 2-0으로 이겨 설욕하면서 조별 리그 진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레알 소시에다드는 조별 리그에서 승점 1점을 획득하는 데에 그쳐 16강에 오르지 못하였다.[25]

2014년 11월 10일, 레알 소시에다드는 성적 부진으로 해임된하고바 아라사테의 후임 감독으로데이비드 모이스를 선임하였다. 모이스는 구단 역사상 6번째 영국인 감독이 되었지만, 라 리가에서 16위로 추락하면서 2015년 11월 9일에 해고장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같은 날,에우세비오 사크리스탄이 후임 감독으로 취임하였다.

명칭과 색상

[편집]

구단명은스페인어로 "왕립 사회 축구단"을 뜻한다.제2 공화국 (1931-1939) 시절, 구단명은 "'도노스티아 축구단'"으로 개명되기도 하였다. 구단의 별칭은바스크어왕가(Erreala) 혹은하양-파랑(Txuri-urdin, 하양 파랑 줄무늬의 고유 유니폼에서 유래)이다. 레알 소시에다드 유니폼의 고유 색상은 하얀 바탕에 한쪽 구석 사각형을 파란색으로 칠한 산 세바스티안의 깃발에서 차용되었다.

지지 기반

[편집]

스페인 사회학 조사 당국의 조사에 따르면 49개 주의 2473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스페인 국민의 1.3%가 레알 소시에다드를 가장 열렬히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1.5%는 자신이 가장 열렬히 지지하는 구단 외에도 왕가를 지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6]

구단에 지지를 보내는 지지자들에 대한 보답한 호킨 아페리바이 구단 회장은 "지지자들은 레알 소시에다드의 영혼이자, 자양분이며, 존재의 이유입니다"라고 말했다. 2012년 12월,세비야와의 경기에 출전한 선수들은 각자 무작위로 선정된 구단 회원의 유니폼을 입고 출전하기도 하였다.[27]

도핑 스캔들

[편집]

이냐키 바디올라 전 구단 회장은 2001년부터 2007년까지 레알 소시에다드가스페인 국가대표팀과 스페인의 축구 선수들에게 도핑을 촉구한 의혹에 대해 조사를 받은에우페미아노 푸엔테스에게 €300,000을 지불했다고 폭로했다.[28] 2013년에 공개된 2008년텔레그래프의 영상에 따르면 바디올라가 주주들에게 "푸엔테스가 레알 소시에다드가 라 리가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2002-03 시즌에 선수단과 밀접한 연계가 있었다"라고 말하는 것으로 보였다.[29] 바니올라는 이어서 "레알 소시에다드가 약을 입수하는데 들인 €328,000의 예산은 목록에 없었다. 이 것은 또다른 예산안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 이를 증명하는 서류나 거래 내역이나 배송 내역이 밝혀지지 않았다. 우리는 그 약이 무엇인지 알며 우리는 그것이 무엇을 위해 쓰였든 혹은 무엇을 위해 쓰이지 아니었든 간에 이 사건에 연루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을 이었다. 2005년부터 2013년까지스페인 프로축구연맹 회장을 역임한호세 루이스 아스티아사란은 이 주장을 "제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레알 소시에다드 회장을 역임했을 때에 항상 최선의 도덕성과 전문성으로 종사하는 의료 부문에서 불법 행위가 벌어진다는 정보나 의혹에 대해 아는 것이 없었습니다. 만약 제가 알았다면, 제가 근면함과 완고함에 따라 조치를 취했을 것입니다"라고 일축하였다. 그는 "레알 소시에다드는 제가 회장으로 역임할 당시 도핑 관계자들과 밀접하게 활동했지만, 수 차례 도핑 검사 과정에 영향을 끼친 적이 없다"라고 덧붙였다.[30] 2013년 4월, 푸엔테스에게작전명 문 도핑 사건에 연루된 것과 스캔들에서 공공 보건법을 위반한 죄로 1년 징역형이 내려졌다.[31]

수상

[편집]

선수

[편집]

현재 선수 명단

[편집]

2025년 9월 1일 기준

참고: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번호포지션국적이름
1GK알렉스 레미로
2DF베네수엘라혼 아람부루
3DF아이엔 무뇨스
4MF혼 고로차테기
5MF이고르 수벨디아(3주장)
6DF아리츠 엘루스톤도(부주장)
7FW안데르 바레네체아
8MF베냐트 투리엔테스
9FW아이슬란드오리 오스카르손
10FW미켈 오야르사발(주장)
11FW포르투갈곤살루 게드스
12MF베네수엘라양헬 에레라
13GK우나이 마레로
번호포지션국적이름
14MF구보 다케후사
15FW나이지리아우마르 사디크
16DF크로아티아두예 찰레타차르(리옹에서 임대)
17FW세르히오 고메스
18MF카를로스 솔레르
19FW혼 카리카부루
20DF알바로 오드리오솔라
21MF아르센 자하랸
22FW미켈 고티
23MF브라이스 멘데스
24MF크로아티아루카 수치치
28MF파블로 마린
31DF혼 마르틴

2군 선수 차출 명단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레알 소시에다드 B입니다.

참고: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번호포지션국적이름
32GK아이토르 프라가
33DF이냐키 루페레스
35GK에고이츠 아라나
번호포지션국적이름
40FW아르카이츠 마리에스쿠레나
41GK테오 폴가도

임대 선수 명단

[편집]

참고: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번호포지션국적이름
DF혼 파체코(알라베스로 임대)
DF하비 로페스(오비에도로 임대)
번호포지션국적이름
FW카를로스 페르난데스(미란데스로 임대)

역대 선수 명단

[편집]
 분류:레알 소시에다드의 축구 선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시즌별 기록

[편집]

최근 시즌

[편집]
시즌서열순위승점유럽비고
2011–121부123812111546524716강
2012–131부4381812870496616강
2013–141부738161111625559준결승UCL조별 리그
2014–151부123811131444514616강UEL플레이오프전
2015–161부9381391645484832강
2016–171부638197125953648강
2017–181부12381471766594932강UEL32강
2018–191부93813111445465016강
2019–201부63816814564856우승
2020–211부53817111059386216강UEL32강

전체 시즌 기록

[편집]
  • 왕립 사회 축구단의 명칭으로
시즌리그리그명순위코파 델 레이
192911부4위16강
1929/3011부7위16강
1930/3111부3위32강
  • 도노스티아 축구단의 명칭으로
시즌리그리그명순위코파 델 레이
1931/3211부8위8강전
1932/3311부6위32강
1933/3411부5위16강
1934/3511부11위5라운드
1935/3622부6위1라운드
  • 왕립 사회 축구단의 명칭으로
시즌리그리그명순위코파 델 레이
1939/4022부1위16강
1940/4122부1위4강
1941/4211부14위16강
1942/4322부1위16강
1943/4411부13위16강
1944/4522부4위16강
1945/4622부6위1라운드
1946/4722부3위1라운드
1947/4811부13위4강
1948/4922부1위8강
1949/5011부8위16강
1950/5111부5위준우승
1951/5211부10위8강
1952/5311부10위8강
1953/5411부9위8강
1954/5511부14위불참
1955/5611부8위16강
1956/5711부12위4강
1957/5811부9위4강
1958/5911부10위32강
시즌리그리그명순위코파 델 레이
1959/6011부14위16강
1960/6111부8위16강
1961/6211부15위32강
1962/6322부4위32강
1963/6422부6위16강
1964/6522부4위4강
1965/6622부10위32강
1966/6722부1위32강
1967/6811부14위16강
1968/6911부7위4강
1969/7011부7위16강
1970/7111부8위8강
1971/7211부8위8강
1972/7311부7위5라운드
1973/7411부4위16강
1974/7511부4위8강
1975/7611부8위4강
1976/7711부8위16강
1977/7811부11위4강
1978/7911부4위4라운드
시즌리그리그명순위코파 델 레이
1979/8011부2위8강
1980/8111부1위16강
1981/8211부1위4강
1982/8311부7위4강
1983/8411부6위16강
1984/8511부7위8강
1985/8611부7위3라운드
1986/8711부10위우승
1987/8811부2위준우승
1988/8911부11위16강
1989/9011부5위8강
1990/9111부13위16강
1991/9211부5위5라운드
1992/9311부13위8강
1993/9411부11위5라운드
1994/9511부11위4라운드
1995/9611부7위2라운드
1996/9711부8위2라운드
1997/9811부3위16강
1998/9911부10위16강
시즌리그리그명순위코파 델 레이
1999/0011부13위1라운드
2000/0111부13위64강
2001/0211부13위64강
2002/0311부2위64강
2003/0411부15위32강
2004/0511부14위32강
2005/0611부16위3라운드
2006/0711부19위32강전
2007/0822부4위2라운드
2008/0922부6위3라운드
2009/1022부1위2라운드
2010/1111부15위32강
2011/1211부12위16강
2012/1311부4위32강
2013/1411부7위4강
2014/1511부12위16강
2015/1611부9위32강
2016/1711부6위8강
2017/1811부12위32강
2018/1911부9위16강
시즌리그리그명순위코파 델 레이
2019/2011부6위우승
2020/2111부5위16강

유럽대항전 출전 기록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레알 소시에다드의 유럽대항전 출전 기록입니다.
2018년 2월 22일 기준
대회승률%
유러피언컵 / UEFA 챔피언스리그 (4)2686122429−5030.77
UEFA 컵위너스컵 (1)413031+2025.00
UEFA컵 / UEFA 유로파리그 (10)46228166966+3047.83
합계763117289696040.78

출처:UEFA.com보관됨 2017-12-09 -웨이백 머신
= 총 경기 횟수; = 승리 횟수; = 무승부 횟수; = 패배 횟수; = 득점 횟수; = 실점 횟수; = 골득실차.

감독

[편집]
연도이름
1918–23스페인호세 베라온도
1923–26헝가리헤르츠카 리포
1926스페인루이스 오르티스 데 우르비나
1926–30스페인베니토 디아스
1930–35잉글랜드해리 로
1939–41스페인가스파르 구루차가
1941–42스페인세바스티안 실베티
스페인파치 감보레나
1942–51스페인베니토 디아스
1951–55스페인호세 이그나시오 우르비에타
1955–60스페인살바도르 아르티가스
1960스페인호세바 엘리손도
1960–62스페인발타사르 알베니스
1962스페인호세바 엘리손도
1962–63스페인페리코 토레스
1963–64스페인안토니오 바리오스
1964–66스페인로만 갈라레가
1966–70스페인안도니 엘리손도
1970–70스페인앙헬 세구롤라
1970–72스페인안도니 엘리손도
1972–74스페인라파엘 이리온도
1974–76스페인안도니 엘리손도
1976–78스페인호세 안토니오 이룰레기
1978–85스페인알베르토 오르마에체아
1985–89웨일스존 토샥
1989–91스페인마르코 안토니오 보로나트


연도이름
1991스페인하비에르 에스포시토
1991–94웨일스존 토샥
1994–95스페인살바 이리아르테
1995–97스페인하비에르 이루레타
1997–99오스트리아베른트 크라우스
1999–2000스페인하비에르 클레멘테
2000스페인페리코 알론소
2000–02웨일스존 토샥
2002스페인로베르토 올라베
2002–04프랑스레날 드누에
2004–06스페인호세 마리아 아모로르투
2006스페인곤살로 아르코나다
2006스페인호세 마리 바케로
2006–07스페인미겔 앙헬 로티나
2007–08웨일스크리스 콜먼
2008스페인호세 라몬 에이스멘디
2008–09스페인후안마 리요
2009–11우루과이마르틴 라사르테
2011–13프랑스필리프 몽타니에
2013–14스페인하고바 아라사테
2014–15스코틀랜드데이비드 모이스
2015–18스페인에우세비오 사크리스탄
2018스페인이마놀 알과실
2018스페인아시에르 가리타노
2018–현재스페인이마놀 알과실

통계

[편집]

최다 출전

[편집]
순위이름출전
1스페인알베르토 고리스599
2스페인후안 안토니오 라라냐가589
3스페인헤수스 마리아 사모라588
4스페인루이스 아르코나다551
5스페인미겔 푸엔테스495
6스페인로베르토 로페스 우파르테474
7스페인아구스틴 가하테469
8스페인샤비 프리에토463
9스페인이나시오 코르타바리아442
10스페인미켈 아란부루427

최다 득점

[편집]
순위이름
1스페인헤수스 마리아 사트루스테기162
2스페인촐린136
3스페인로베르토 로페스 우파르테129
4스페인세바스티안 온토리아114
5스페인파코 비엔소바스109
6세르비아다르코 코바체비치107
7스페인페드로 우랄데100
8스페인호세 마리 바케로91
9스페인호세 마리 페레스86
10스페인에피파니오 페르난데스8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noeta: bienvenido el fútbol en color” [아노에타: 컬러 축구 세계에 환영합니다] (스페인어). 《El Diario Vasco》. 2019년 9월 8일. 2019년 9월 13일에 확인함. 
  2. “Real Sociedad”. 《free-elements.com》. 
  3. http://www.rsssf.com/tabless/spanhist7989.html#8081
  4. “UEFA Champions League 1981/82 - History - 1st – UEFA.com”. 《Uefa.com》. 2017년 12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26일에 확인함. 
  5. “Performance record of Real Sociedad football Club”. 《contentcreatorz.com》. 2011년 4월 1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26일에 확인함. 
  6. “Real Sociedad 1980–1981”. 《free-elements.com》. 
  7. “Real Sociedad 1981–1982”. 《free-elements.com》. 
  8. http://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es/season=1982/round=1037/match=63866/prematch/index.html
  9. http://www.rsssf.com/tabless/spancup1987.html
  10. http://www.rsssf.com/tabless/spancup1988.html
  11. “BBC – Oxford – Oxford Inspires - John Aldridge”. 《bbc.co.uk》. 
  12. “Real Sociedad 1989–1990”. 《free-elements.com》. 
  13. http://www.rsssf.com/tabless/spanhist8999.html
  14. “Página web Oficial de la Liga de Fútbol Profesional – Liga de Fútbol Profesional”. 《lfp.es》. 
  15. “Real Sociedad 1990–1991”. 《free-elements.com》. 
  16. “La Liga Top Scorers – 1997–1998”. 《free-elements.com》. 
  17. “Resultados Fútbol y clasificaciones – Bienvenido a Futbolme”. 《futbolme.com》. 
  18. “Human Check”. 《soccerpunter.com》. 
  19. “La Liga Top Scorers – 2002–2003”. 《free-elements.com》. 
  20. http://www.rsssf.com/miscellaneous/spanpoy.html
  21. “Cheap phentermine diet pills”. 《holdingmidfield.com》. 
  22. “UEFA Champions League 2003/04 - History - Standings – UEFA.com”. 《UEFA.com》. 
  23. “UEFA Champions League 2003/04 - History - 1/8. – UEFA.com”. 《Uefa.com》. 2012년 11월 2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26일에 확인함. 
  24. “Spanish Primera División Table – ESPN FC”. 《go.com》. 2010년 12월 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26일에 확인함. 
  25. 2013–14 Uefa Champions league, Group A Uefa.com
  26. http://www.cis.es/cis/export/sites/default/-Archivos/Marginales/2700_2719/2705/Es2705mar_A.pdf
  27. “Real Sociedad players wear supporters' names on their shirts”. Supporters Direct. 2014년 5월 1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28. “Ewan MacKenna: Murky questions surround Spanish football's golden era - and people might not like the answers - Independent.ie” (영어). 《Independent.ie》. 2018년 5월 27일에 확인함. 
  29. “Spanish football shaken by drug claims made by former Real Sociedad president - Telegraph.co.uk” (영어). 《Telegraph.co.uk》. 2018년 8월 28일에 확인함. 
  30. “Real Sociedad president claims doping practices - eurosport.com” (영어). 《eurosport.com》. 2018년 8월 28일에 확인함. 
  31. “Doping doctor Eufemiano Fuentes' sentence shocks anti-drugs bodies”. 《theguardian.com. 2018년 8월 28일에 확인함. 
  32. “Spain - List of Champions of Norte”.RSSSF. 2000년 1월 21일. 2018년 3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레알 소시에다드 – 현재 명단
2025-26 시즌 참가 구단
대회
통계 및 수상
재정
관련 대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레알_소시에다드&oldid=40742512"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