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아의 이름은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거인족티탄인레아에서 따왔다. 다른 명칭으로토성 V가 있다.
카시니는루이 14세를 찬양하는 의미에서 자신이 발견한 4개 위성(테티스,디오네, 레아,이아페투스)에 '루이의 별들'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는천문학자들이 자주 부르는 이름이 되었다.타이탄은토성 I로 불리며, 나머지 4개는 차례대로토성 V까지 명칭이 붙어 있다.1789년미마스와엔셀라두스가 발견되자 명칭은토성 VII까지 확장됐다.
토성의 위성 7개의 이름은존 허셜(미마스와 엔셀라두스를 발견한윌리엄 허셜의 아들)이1847년 자신의 책 '희망봉에서 작성된 천문 관측 결과'에서 언급한 것이다.[1][7] 이 책에서 허셜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크로노스의 딸과 형제들인, 티탄족 이름을 위성들에 붙였다.
레아의밀도는1.23g/cm3으로 낮다. 밀도로 볼 때 레아는 25%의암석과 75%의물얼음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종전에는 레아가 중심부에 암석의 핵을 지니고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8] 그러나카시니 호의 근접 탐사 결과 축관성 모멘트계수는 0.3911 ± 0.0045 kg/m2로 측정되었다.[a][9] 중심부에 암석 물질이 존재할 경우의 계수가 0.34임을 감안하면, 이 값은 레아의 내부가 거의 균일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8] 레아의 외관이3축(軸) 형태를 보인다는 점은유체정역학적 균형상 내부 물질들이 균일함을 보여준다.[10][11]
레아의 겉모습은디오네와 비슷하며, 조성물 및 생성 역사도 비슷할 것으로 추측한다. 레아의표면 온도는 73켈빈으로, 태양빛을 직접 받는 곳의 99켈빈과 그늘진 곳의 53켈빈의 중간값이다.
레아 표면에는충돌구가 매우 많으며,[12]밝은 선 구조가 존재한다. 레아의 표면은 충돌구의 밀도를 기준으로, 지질학적으로 다른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첫째는 충돌구들의 지름이 40킬로미터 이상인 곳이며, 둘째는 극과 적도 지대로 충돌구의 지름이 40킬로보다 작은 곳이다. 이는 레아가 생성 당시 얼마 동안 큰 규모의 지각 활동을 겪었음을 보여준다.
전반구에는 충돌구의 수가 많으며 균일하게 밝은 색을 띤다. 레아의 충돌구는수성이나달에 있는 높은 릴리프 구조가 없다.[13]후반구 표면에는 밝은 색의 그물 무늬가 있으며 어두운 색을 띠고 충돌구의 수가 적다. 그물 무늬는 레아가 생성될 당시 내부에서 액체였던 물질들이 흘러나와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관측을 통해 디오네 표면에 있는 줄무늬가 얼음 계곡임이 밝혀졌음을 고려하면, 레아의 표면에 보이는 그물 무늬 역시 얼음 계곡일 가능성이 크다.[14]
2006년1월 17일 카시니호의 근접플라이바이로 더 높은해상도의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 레아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진행 중이며, 플라이바이로 얻은 사진을 통해 레아 표면의 선 무늬가 디오네와 같은 얼음 계곡인지를 밝혀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08년3월 6일NASA는 레아에 희미한고리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이는 위성에서 고리가 발견된 최초의 사례가 될 것이다. 고리의 존재는 카시니호가토성의자기장에 의해전자의 흐름이 바뀌는 것을 근거로 알아낸 것이다.[15][16][17] 먼지 및 얼음 조각들이 레아의힐 구 바깥에 펼쳐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18] 이 고리는 레아에 근접할수록밀도가 증가하며, 폭은 좁지만 밀도는 높은 세 개의 고리를 포함하고 있다.
카시니 탐사선은 레아에 여러 차례 접근하여 사진을 찍었다. 카시니 호는2005년11월 26일 집중 탐사를 위해 레아에 500킬로미터 거리까지 접근했다. 이후 추가 탐사를 위해2007년8월 30일 5,750킬로미터,2010년3월 2일 100킬로미터,2011년1월 11일 69킬로미터 거리까지 접근했다.[19] 2013년 3월 9일, 마지막으로 992km까지 접근했다.[20]
↑Wagner, R.J.; Neukum, G. 외 (2008). “Geology of Saturn's Satellite Rhea on the Basis of the High-Resolution Images from the Targeted Flyby 049 on Aug. 30, 2007”. 《Lunar and Planetary Science》. XXXIX: 1930.Bibcode:2008LPI....39.1930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