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라카인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영어 위키백과Rakhine State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요한 번역 안내를 보려면 [펼치기]를 클릭하십시오.
  • 신뢰성 있고확인할 수 있는 출처가 제시되도록 번역하여 주십시오.
  • 번역을 완료한 후에는 {{번역된 문서}} 틀을 토론창에 표기하여 저작자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 문맥상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서를 같이 번역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번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내용이 포함된 다른 문서를 보고 싶으시다면분류:번역 확장 필요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최신 정보로 교체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은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21년 11월)


ရခိုင်ပြည်နယ်
라카인주

(MLCTS:ra.hkuing: prany nai)

주도시뛔
지역서부 해안
면적36,780 km²
인구2,744,000 (2000)
민족여카잉족,친족
종교상좌부 불교

라카인주(버마어:ရခိုင်ပြည်နယ်)는미얀마의 주이며,벵골만과 접하고 있다. 북쪽으로친주, 동쪽으로머궤도,버고도,에야워디도과 접하고 서쪽은벵골만, 북서쪽은방글라데시치타공주와 접한다. 해발 3,063m의 빅토리아산을 포함하는아라칸산맥은 여카잉주와 버마족 지역을 분리한다. 면적은 36,762km2이고 주도는시뛔이다.

역사

[편집]

라카인주의 역사는 기원전 3325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라카인 지방에 존재했던 제국은 한 때 잉와, 중국의 일부, 벵골 만까지 확대되었다고 하나, 역사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았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3~4세기부터 기원후 4세기 사이에 여카잉 지역에 다냐와디라는 왕국이 세워졌다. 유명한 마하무니 불상(현재만달레이에 위치)이 기원전 554년경에 다냐와디에서 주조되었다.

4세기에는와이타리 왕국다냐와디 왕국을 계승하였다.

와이타리, 렘로, 마라욱 시기에 아라칸의 힘은 절정에 달하여벵골만까지 진출하였으나, 이후 17세기까지 꾸준히 쇠퇴하였다. 아라칸의 일부였던치타공은 1666년에무굴 제국에 점령당했다. 국내의 불안정과 왕을 퇴위시키는 일이 아주 흔했다. 대항해시대에는 포르투갈인들이 일시적으로 아라칸을 점령하기도 했다.

1784년에 왕국은 마침내 버마족에게 점령되었다. 유명한 마하부니 불상은 전리품으로서아마라푸라로 옮겨졌다(불상은 1853년에민돈 왕에 의해 만달레이로 이전되었다). 버마족은 아라칸을 정복한 후에 동인도에 관심이 있던 영국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었다. 버마족은 아라칸의 이웃 국가인아삼마니푸르를 점령하였고벵골의 영국의 전초기지인 신마후섬을 공격하게 되었다. 이것은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의 발단이 되었다. 얀다보 조약(1826)으로 버마는 아라칸과 테나시림을영국령 인도에 할양하였다. 그래서 아라칸은 영국에 할양된 버마의 첫 영토의 하나가 되었다. 영국은 수도를아키아브로 하는 한편, 아라칸의 전통적인 구분인 3군(아크야브, 차우크퓨, 산드웨)을 유지하고 각각에 관리를 파견하였다.

1948년에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고 버마 연방이 형성된 후에 3군은 미얀마의 다른 행정 구역과 동등한 아라칸구가 되었다.

1950년대부터 라카인주의 분리 독립 운동이 성장하였다. 이들을 달래기 위해 1974년에네 윈 정부는 아라칸구를 라카인주로 개편하여 명목적이나마 다수인 라카인족을 인정하였다.

인구

[편집]

미얀마의 다른 지역처럼 라카인주의 민족도 다양하다. 2000년의 추정 인구는 275만 명이다.여카잉족이 근소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여카잉족은 주로 저지 계곡과 람베 섬, 마나웅 섬에 거주한다.로힝야족은 주 인구의 25%를 차지하지만 주로방글라데시의 국경 지대에 제한적으로 거주한다. 2009년의 유엔 추정에 의하면 로힝야족의 인구는 723,000명이지만 군부는 이들을 미얀마 시민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친족,차크마족,캄티족, 다이넷족, 마라마그리족과 같은 많은 다른 민족들은 주의 산악 지대에 주로 거주한다.

행정 구역

[편집]
  • 시뛔군(Sittwe District)
  • 마웅또군(Maungdaw District)
  • 짜우퓨군(Kyaukpyu District)
  • 딴뒈군(Thandwe District)

교통

[편집]

라카인 산맥에 의해 라카인주는 미얀마 본토와 분리된다. 항공 교통은 인기있는 해변 휴양지인 시뛔, 딴뒈를 잇는 교통 수단으로서 많이 사용된다. 1996년에 시뛔와 미얀마 본토를 잇는 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 주에는 여전히 철도가 없지만 빠떼인으로부터 시뛔까지 480km의 철도가 연장될 계획이다.

경제

[편집]

러카인주는 비가 많이 오기 때문에 쌀이 주요 작물로, 전체 경작지의 약 85%를 차지한다. 코코넛과 니파야자 플랜테이션 또한 중요하다. 어업이 주요 산업으로 잡힌 것의 대부분은 양곤으로 보내지지만, 일부는 수출된다. 낮은 등급의 적은 양의 원유가 원시적인 방법으로 생산되고 있으나 아직 발견되지 않은 석유와 천연가스가 더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관광업은 느리게 발전하고 있다.마락우의 고대 왕국 유적과딴뒈의 해변은 외국 관광객을 위한 주요 관광지이지만 시설은 여전히 원시적이고 교통 인프라는 여전히 제대로 발달하지 못했다.

미얀마의 다른 지역처럼 만성적인 전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으며, 특히 여카잉과 같은 농촌 지역은 불균형이 더욱 심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얀마 군부는 2009년 12월에 3개의 수력 발전소를 건설했다.

치안

[편집]

여카잉주는 버마족 외의 소수부족이 많은 관계로 교육 및, 복지, 의료 등의 혜택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경없는 의사회를 비롯한 극소수의 NGO가 활동 중이나 미얀마 정부는 1월 국경없는 의사회 철수를 명령했으며 며칠 이후 이는 번복됐다.[1] 이는 MSF가 소수 무슬림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일한 단체여서 의료 활동이 갈등을 부추긴다는 극단주의자들의 책동이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카잉주 극단주의자들은 이에 NGO와 UN, 적십자사 등에 대해서도 철수 시위를 2014년 3월 초부터 시작하고 있다.[2]

2014년 3월 28일 여카잉주 일대에서 구호단체들이 세계불교기를 모욕했다는 이유로 많은 주민들이 단체 활동지에 돌을 던지는 등 소요 사태가 일어나미국 정부가 이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시했다.[1] 미얀마 정부는 인구 통계 조사가 반드시 필요하여 사전에 예고된 폭동 사태를 억눌러 왔으나 소수의 불교도 버마족과 내부 난민 지위를 얻지 못한 로힝야 족 간에 마찰이 생길 소지가 있다.[1]

각주

[편집]
  1. Concern as Buddhist mobs target foreign aid groups in Myanmar 폴 암스트롱 2014-03-28 CNN
  2. Fears Rakhine extremists could drive more aid agencies out of Myanmar state 팀 흄, CNN, 2014-03-04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라카인주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라카인주
편지
[[File:{{{Myanmar image}}}|75px]]
편지
က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특별여행경보제도 적색 경보 발령 지역
아시아·태평양
중동·아프리카
  • 나이지리아의 기나이지리아 (니제르델타 부근 8개 주(델타,바이엘사,리버스,아콰이봄,이모,아비아,에도,아남브라주) 및 플래토, 보르노, 요베, 카노, 카두나, 바우치, 아다마와, 아부자, 잠파라, 타라바, 소코토, 카치나, 지가와, 곰베 주)
  • 남수단의 기남수단 (전 지역)
  • 니제르의 기니제르 (니아메를 제외한 전 지역)
  • 레바논의 기레바논 (리타니강 이남, 트리폴리 시, 12개 팔레스타인 난민촌, 베이루트 남부 교외 지역, 시돈, 트리폴리 이북, 리타니강 이남, 북부 베카 지역(브리텔 이북))
  • 말리의 기말리 (전 지역)
  • 모로코의 기모로코 (서부 사하라 내 모래방어벽 동쪽)
  • 모리타니의 기모리타니 (황색경보 지정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 모잠비크의 기모잠비크 (카보델가도 주)
  • 베냉의 기베냉 (부르키나파소 국경 지역(펜자리 국립공원 및 W 국립공원))
  • 부룬디의 기부룬디 (황색경보 지정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 부르키나파소의 기부르키나파소 (북부, 사헬, 중북부, 중동부, 동부 주, 말리 접경 40km 이내 지역)
  • 사우디아라비아의 기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예멘 국경 인근 180km 지역 (슈케이크, 아브하, 카미스무샤이트 포함))
  • 수단의 기수단 (다르푸르 지역 3개 주, 남코르도판 주, 블루나일 주, 화이트나일 주(코스티시 이남 지역)
  • 알제리의 기알제리 (카빌리 지역 6개 주(부르메데스, 부이라, 티지우, 베자이아, 보르즈부아레리즈, 지젤, 우아르글라), 튀니지, 리비아, 니제르, 말리, 모리타니 국경 인근 지역(테베사, 엘웨드 동부, 일리지 동부, 타만라셋 남부, 아드라르 남서부, 틴두프 남서부, 오아글라 동부))
  • 에리트레아의 기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수단, 지부티 국경 지역)
  • 에티오피아의 기에티오피아 (아파르, 소말리, 감벨라, 베니샹굴-구무즈, 수단‧남수단‧에리트레아‧케냐 접경 10km 이내 지역)
  • 이란의 기이란 (시스탄발루체스탄 주, 터키·이라크 국경지역, 페르시아만 연안 3개 주(후제스탄, 부셰르, 호르모즈건))
  • 이스라엘의 기이스라엘 (요르단 강 서안 지구, 가자지구 및 인근 40km 이내 지역)
  • 이집트의 기이집트 (샤름엘셰이크를 제외한 시나이 반도 전역 및 리비아 국경 지역 전역(국경도시 살룸을 포함, 국경지역으로부터 100km까지))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기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전 지역)
  • 지부티의 기지부티 (소말리아 및 에리트레아 접경 10km 이내 지역)
  • 차드의 기차드 (전 지역)
  • 카메룬의 기카메룬 (노르드 주, 아다모와 주, 북서부 주, 남서부 주, 극북부 주)
  • 케냐의 기케냐 (나이로비 이스트레이, 가리사, 케냐~소말리아 접경 및 동부해안가 일부 지역(라무, 말린디)으로부터 100km)
  • 코트디부아르의 기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기니 국경 지역(뎅궤레 주, 몬테그뉴 주, 바핑 주, 까발리 주))
  • 콩고 민주 공화국의 기콩고 민주 공화국 (오트우엘레 주, 이투리 주, 남키부 주, 북키부 주, 카사이 주, 카사이상트랄 주, 카사이오리앙탈 주, 마니에마 주, 바우엘레 주, 구 카탕가 주 북부지역, 남수단·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국경 50km 이내 지역)
  • 튀니지의 기튀니지 (까세린 주 샴비산 일대 및 알제리 접경 지역, 젠두바 주 알제리 접경 지역, 크사르 길랜 이남 사막 지역 전역 및 리비아 접경 지역)
유럽
  • 러시아의 기러시아 (북카프카스 지역 : 체첸, 다게스탄, 세베로오세티야(북오세티야), 카바르디노발카르(카바르티노-발카리야 공화국), 잉귀쉬(잉구세티아),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카라차이-체르케스), 아디게이(아디게야))
  • 아제르바이잔의 기아제르바이잔 (나고르노카라바흐 및 인근 7개 지역)
  • 우크라이나의 기우크라이나 (도네츠크, 루한스크, 크림 반도)
  • 조지아의 기조지아 (남오세티야, 압하스)
  • 코소보의 기코소보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
  • 튀르키예의 기튀르키예 (가지안테프, 디야르바커, 마르딘, 반, 바트만, 비트리스, 빙골, 산리우르파, 시르낙, 시르트, 엘라지, 킬리스, 툰셀리, 하카리, 시리아의 국경 10km 이내 지역(히타이))
아메리카
  • 베네수엘라의 기베네수엘라 (전 지역)
  • 볼리비아의 기볼리비아 (태양의 섬)
  • 아이티의 기아이티 (전 지역)
  • 콜롬비아의 기콜롬비아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및 파나마 국경 지역, 아라우카 주, 바예델카우카 주[칼리 시 제외], 나리뇨 주[투마코], 카우카 주, 카케타 주 일부, 초코 주 일부, 안티오키아 주 일부)
  • 페루의 기페루 (우앙카벨리카 주 : 타야카하, 츄르캄파 지역, 아푸리막 주 : 안다우아이라스, 친체로스 지역, 후닌 주 : 콘셉시온, 우앙카요, 사티포 지역), 쿠스코 주 : 라콘벤시온 지역, 아야쿠초 주 : 라미르, 우안타 지역)
국제
국가
지리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카인주&oldid=39174128"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