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라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라돈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라돈(86Rn)
개요
영어명Radon
주기율표 정보
수소헬륨
리튬베릴륨붕소탄소질소산소플루오린네온
나트륨마그네슘알루미늄규소염소아르곤
칼륨칼슘스칸듐타이타늄바나듐크로뮴망가니즈코발트니켈구리아연갈륨저마늄비소셀레늄브로민크립톤
루비듐스트론튬이트륨지르코늄나이오븀몰리브데넘테크네튬루테늄로듐팔라듐카드뮴인듐주석안티모니텔루륨아이오딘제논
세슘바륨란타넘세륨프라세오디뮴네오디뮴프로메튬사마륨유로퓸가돌리늄터븀디스프로슘홀뮴어븀툴륨이터븀루테튬하프늄탄탈럼텅스텐레늄오스뮴이리듐백금수은탈륨비스무트폴로늄아스타틴라돈
프랑슘라듐악티늄토륨프로트악티늄우라늄넵투늄플루토늄아메리슘퀴륨버클륨캘리포늄아인슈타이늄페르뮴멘델레븀노벨륨로렌슘러더포듐더브늄시보귬보륨하슘마이트너륨다름슈타튬뢴트게늄코페르니슘니호늄플레로븀모스코븀리버모륨테네신오가네손
Xe

Rn

Og
AtRnFr
원자 번호(Z)86
18족
주기6주기
구역p-구역
화학 계열비활성 기체
전자 배열[Xe] 4f14 5d10 6s2 6p6
준위전자2, 8, 18, 32, 18, 8
라돈의 전자껍질 (2, 8, 18, 32, 18, 8)
라돈의 전자껍질 (2, 8, 18, 32, 18, 8)
물리적 성질
겉보기무색
상태(STP)기체
녹는점202 K
끓는점211.3 K
융해열3.247 kJ/mol
기화열18.10 kJ/mol
몰열용량20.86 J/(mol·K)
증기 압력
압력 (Pa)1101001 k10 k100 k
온도 (K)110121134152176211
원자의 성질
산화 상태2
전기 음성도(폴링 척도)2.2
이온화 에너지
  • 1차: 1037 kJ/mol
공유 반지름150 pm
판데르발스 반지름220 pm
Color lines in a spectral range
스펙트럼 선
그 밖의 성질
결정 구조면심 입방정계 (fcc)
열전도율3.61 m W/(m·K)
자기 정렬비자성
CAS 번호10043-92-2
동위체존재비반감기DMDE
(MeV)
DP
211Rn인공14.6hε2.892211At
α5.965207Po
222Rn100%3.824dα5.590218Po
보기  토론  편집 | 출처

라돈(←독일어:Radon 라돈[*],영어:radon 레이돈[*])은화학 원소로 기호는Rn(←라틴어:radon 라돈[*]),원자 번호는 86이다. 라돈은방사성비활성기체로써무색,무미,무취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공기보다 무겁다. 자연에서는우라늄토륨의 자연 붕괴에 의해서 발생된다. 가장 안정적인동위 원소라돈-222으로반감기는 3.8일이고, 이를 이용하여방사선 치료 등에 사용된다. 라돈의 방사능을 흡입하게 되면 폐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과학자들이 라돈에 대한 화학적 연구를 꺼리고 있고, 그로 인해 아직까지 알려진 화학적 합성물질은 매우 극소수에 불과하다.

우라늄토륨으로 자연붕괴되는 과정에서라듐을 생성하게 되고, 이라듐에 의해서 라돈이 생성되게 된다.우라늄하고토륨지구를 구성하는 물질 중에 하나이며, 지구상 어디에서나 흔히 존재하고 있다. 자연상태에 있는우라늄의 반감기는 45억년, 토륨의 반감기는 140억년이다. 지구상에우라늄토륨이 존재하는 한 계속적으로라듐이 생성되고 그 과정에서 라돈이 생성되게 되어있다.

물리적 성질

[편집]

라돈은 무색, 무미, 무취의 성질을 가진 기체로써 사람의 어떠한감각 기관으로 감지가 불가능하다.표준 온도 압력에서 라돈은 비활성기체의 성질을 지니며, 밀도는 9.73kg/m3로 지구 대기(해수면에서 밀도 1.217kg/m3)의 약 8배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라돈은 상온에서 제일 밀도 높은 비활성기체이다. 라돈의 끓는점은 -61.8°C이며, 녹는점은 -71°C 이고 녹는점에서 노란색 방사성 발광을 시작하며,액화 공기의 온도인 -195°C에서는 홍색 빛을 내게 된다.

위험성

[편집]

라돈은 지구상에 흔한우라늄,토륨에 의해서 발생되므로, 건물의 미세한 균열이나 노출된 지표에 의해서 지표면의 건물 안이나 지하의 건물 안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라돈의 물리적 특성상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공기순환이 잘 이뤄지지 않은 곳에서는 라돈이 쌓여서 축적될 수 있다. 이렇게 축적된 고농도의 라돈이 실내 생활을 하는 사람들의 폐에 들어가게 되어폐암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 비 흡연자의 폐암 발생 제1원인으로 라돈이 추정되고 있다. 북미서구권 에서는 라돈이 비 흡연자의 제1의 폐암 원인 물질로 판단하여, 실내의 라돈 환경 기준치를 설정하여 규제하고 있다. 이에 대한 산업도 활발하여 검출키트와 지표에서 올라오는 라돈 회수장치 등이 개발되어있다. 최근 한국에서는 각종 건축자재 및 일부 생활제품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되고 있으며, 그로인한 비 흡연자의 폐암 발생 율이 증가하고 있다. 지면으로부터 높이 떨어진 고층건물에서도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 되었다. 이러한 이유는 라돈이 함유된 자재로 건축되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콘크리트로 지어진 건축물중 신축 건축물에서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1] 실내에 축적된 라돈을 줄이기 위해서는 외부 환기를 자주하여 축적된 라돈을 공기 중으로 비산시켜야 한다.최근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률 증가의 원인으로 주방 가스렌지가 지목되어 왔으나 이는 잘못된 사실이다. 흡연 다음으로 주택 내에서의 폐암에 원인으로는 라돈일 확률이 매우높다.

현재 대한민국은 지질학적 특성상 라돈 으로부터 매우 위험한 국가로 분류되어 있다.[출처 필요]

역사

[편집]

라돈은 1900년에 독일의 화학자인 도른이 발견했다. 라돈은 라듐의 방사성붕괴로 생기는데, 라돈 원자는 알파붕괴 과정을 거쳐 방사선을 내놓으면서, 방사성원소인 폴로늄의 원자가 된다. 라돈은 실상 몇 가지 이름이 주어졌다. 1904년에는exradio,exthorio,exactinio[2], 1918년에는radon,thoron,akton[3], 1919년에는radeon,thoreon,actineon[4], 그리고 끝으로 1920년에는radon,thoron,actinon이 주어졌다.[5]

각주

[편집]
  1. 라돈, 비흡연 폐암환자 집에서 발견한 '침묵의 살인자' 서울신문, 2013년 12월 27일 작성
  2. Ramsay, Sir William; Collie, J. Normal (1904). “The Spectrum of the Radium Emanation”.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73: 470–476.doi:10.1098/rspl.1904.0064.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3. Schmidt, Curt (1918). “Periodisches System und Genesis der Elemente”. 《Z. anorg. Ch.》103: 79–118.doi:10.1002/zaac.19181030106. 
  4. “Radon”. 《Ann. Physique》11: 5. 1919. 
  5. Adams, Elliot Quincy (1920). “The Independent Origin of Actinium”.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42: 2205–2208.doi:10.1021/ja01456a010.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위키낱말사전라돈 주제와 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전거 통제: 국가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돈&oldid=39031618"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