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라톤(영어:dilaton) 또는늘임자는입자물리학에서칼루자-클라인 등의축소화되는 여분 차원을 가정하는 이론에서 여분 차원의 부피가 변량일 경우 등장하는 스칼라 입자이다.
구체적으로,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시간 차원은 그대로 두고 공간 차원을 3+d 차원으로 확장하고, d가축소화된 차원이라고 가정하자. 그리고 다음의계량

을 생각하자. 이 때 확장된힐베르트 작용 (물질 부분은 생략)
![{\displaystyle S={\frac {1}{16\pi G_{4+d}}}\int d^{4+d}x\,R[g_{4+d}]{\sqrt {-g_{4+d}}}\,}](/image.pl?url=https%3a%2f%2fwikimedia.org%2fapi%2frest_v1%2fmedia%2fmath%2frender%2fsvg%2feead1db7821cd7c86562a0d5ebe6611fdacdd27d&f=jpg&w=240)
을 d차원에 대해 우선 적분하여 축소화하면
![{\displaystyle S={\frac {1}{16\pi G_{4}}}\int d^{4}x\,{\sqrt {-g}}\left[b^{d}R[g]+d(d-1)b^{d-2}g^{\mu \nu }\nabla _{\mu }b\nabla _{\nu }b+R[\gamma ]b^{d-2}\right]}](/image.pl?url=https%3a%2f%2fwikimedia.org%2fapi%2frest_v1%2fmedia%2fmath%2frender%2fsvg%2fe42f12c6ccc942a269e1206184b18ef5b5d41240&f=jpg&w=240)
가 된다. 이것을 다시 규격화하면 축소화되지 않은 부분의등각 변환을

으로 적을 수 있다. 여기서 축소화되는 차원의 크기와 관계 있는
를 다시 규격화하여

등으로 쓴 것이 스칼라장인 딜라톤이다.[1]여기서
는 플랑크 질량이다. 이것들을 활용하여 위의 작용을 다시 쓰면,
![{\displaystyle S={\frac {1}{16\pi G_{4}}}\int d^{4}x\,{\sqrt {-{\tilde {g}}}}\left[R[{\tilde {g}}]+{\frac {1}{2}}{\tilde {g}}^{\mu \nu }{\tilde {\nabla }}_{\mu }\phi {\tilde {\nabla }}_{\nu }\phi +{\frac {1}{2}}R[\gamma ]\,{\tilde {m}}_{p}^{2}e^{-{\sqrt {2(d+2)/d}}\,\phi /{\tilde {m}}_{p}}\right]}](/image.pl?url=https%3a%2f%2fwikimedia.org%2fapi%2frest_v1%2fmedia%2fmath%2frender%2fsvg%2f10d6eae10e966fd6312b2571b8851574549767bb&f=jpg&w=240)
이 되어
가 스칼라장으로 행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주론적으로, 딜라톤은브랜스-딕 이론의 스칼라장처럼 행동하나, 임의의 퍼텐셜을 가질 수 있어 좀 더 일반적이다.
닫힌보손 끈 이론에서는중력자와캘브-라몽 장과 함께 3종의 무질량 입자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모든 종류의초끈이론에서도 존재한다.M이론에서는 축소화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딜라톤의진공 기댓값은 끈 이론의결합 상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닫힌 끈의 결합 상수는 딜라톤장
에 대하여
이다. 즉 끈 결합 상수는 통상적인 양자장론과 달리 기본 상수가 아니라 동적으로 결정되는 값이다.
- ↑Carroll, Sean (2003). 《Spacetime and Geometry: An Introduction to General Relativity》.ISBN 0-8053-8732-3.
|
|---|
| 기본 입자 | | 페르미온 | |
|---|
| 보손 | |
|---|
| 미관측 입자 | | 대통일 이론 등 | |
|---|
| 초대칭짝 | | 게이지노 | |
|---|
| 스페르미온 | - 스쿼크 (스칼라 위 쿼크,스칼라 아래 쿼크,스칼라 맵시 쿼크,스칼라 기묘 쿼크,스칼라 꼭대기 쿼크,스칼라 바닥 쿼크)
- 슬렙톤 (스엘렉트론,스뮤온,스타우온,스뉴트리노,스뮤온 스뉴트리노,스타우 스뉴트리노)
|
|---|
|
|---|
| 양자 중력 및끈 이론 | |
|---|
| 기타 | |
|---|
|
|---|
|
|---|
| 합성 입자 | |
|---|
| 준입자 | |
|---|
| 목록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