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해부학 에서두정후두고랑 (Parieto-occipital sulcus)은대뇌 피질 의 깊은뇌고랑 으로쐐기소엽 과앞쐐기소엽 사이, 그리고두정엽 과후두엽 의 경계를 이룬다. 대뇌 반구의 외측면에서는 작은 부분만 보이고, 주요 부분은 내측면에 있다.
두정후두고랑의가쪽 부분 (그림 726)은 대뇌 반구의후두엽 에서 약 5cm 앞에 위치하며 길이는 약 1.25cm이다.
두정후두고랑의안쪽 부분 (그림 727)은 대뇌 반구의 안쪽 면에서 깊은 틈새로 아래쪽과 앞쪽으로 달리고뇌량 의 뒤쪽 끝 아래 뒤쪽에서조롱이자고랑 과 만난다. 대부분의 경우 잠겨 있는이랑 을 포함한다.
두정후두엽은PET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신경 영상 연구[ 1] [ 2] [ 3] [ 4] 및SPECT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 연구[ 5] [ 6] 에서배외측 전전두 피질 과 함께플래닝 중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왼쪽
대뇌 반구 애니메이션. 두정후두고랑은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오른쪽 반구의 안쪽 면. 두정후두고랑은 오른쪽 상단에 "*"로 표시되어 있다.
왼쪽 반구의 안쪽 면. 두정후두고랑은 왼쪽 상단에 보인다.
인간 뇌 해부 영상 (1분 52초). 왼쪽 대뇌 반구의 두정후두고랑 위치를 보여준다.
이 문서는 현재퍼블릭 도메인 에 속하는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page 820 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Owen, Adrian M.; Doyon, Julien; Petrides, Michael; Evans, Alan C. (1996). 《Planning and Spatial Working Memory: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tudy in Humans》.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8 . 353–364쪽.doi :10.1111/j.1460-9568.1996.tb01219.x .PMID 8714706 .S2CID 21770063 . ↑ Baker, S.C.; Rogers, R.D.; Owen, A.M.; Frith, C.D.; Dolan, R.J.; Frackowiak, R.S.J.; Robbins, T.W. (June 1996).《Neural Systems Engaged by Planning: a PET Study of the Tower of London Task》 (PDF) . 《Neuropsychologia》34 . 515–526쪽.doi :10.1016/0028-3932(95)00133-6 .hdl :21.11116/0000-0001-A39D-6 .PMID 8736565 .S2CID 7366716 . 2014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Dagher, Alain; Owen, Adrian M.; Boecker, Henning; Brooks, David J. (October 1999). 《Mapping the Network for Planning: a Correlational PET activation study with the Tower of London Task》. 《Brain》122 . 1973–1987쪽.doi :10.1093/brain/122.10.1973 .PMID 10506098 . ↑ Rowe, J.B.; Owen, Adrian M.; Johnsrude, Ingrid S.; Passingham, R.E. (2001).《Imaging the Mental Components of a Planning Task》 (PDF) . 《Neuropsychologia》39 . 315–327쪽.doi :10.1016/S0028-3932(00)00109-3 .PMID 11163609 .S2CID 21819578 . 2014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Rezai, Karim; Andreasen, Nancy C.; Alliger, Randy; Cohen, Gregg; Swayze, Victor II; O'Leary, Daniel S. (June 1993).《The Neuropsychology of the Prefrontal Cortex》 . 《Archives of Neurology》50 . 636–642쪽.doi :10.1001/archneur.1993.00540060066020 .PMID 8503801 . 2014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Morris, R.G.; Ahmed, S.; Syed, G.M.; Toone, B.K. (December 1993). 《Neural Correlates of Planning Ability: Frontal Lobe Activation during the Tower of London Test.》. 《Neuropsychologia》31 . 1367–1378쪽.doi :10.1016/0028-3932(93)90104-8 .PMID 8127433 .S2CID 1335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