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두산 베어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두산 베어스
Doosan Bears
팀 로고이니셜 로고
회사명주식회사 두산 베어스
설립 연도1982년
소속 리그
KBO
1군 :KBO 리그
2군 :KBO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이전 구단명
OB 베어스 (1982년~1998년)
홈 구장
1군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985년~2026년) (예정)
서울올림픽주경기장 (2027년 ~ 2031년) (예정)
잠실 돔구장 (2032년~) (예정)
2군 :베어스 파크 (2005년~현재)
수용 인원25,000명
이전 홈구장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1982년~1984년)
연고지대전광역시 (1982년~1984년)
서울특별시 (1985년~현재)
영구 결번
21 박철순,54 김영신
역대 타이틀
시리즈 우승(6회)
1982·1995·2001·2015·2016·2019
리그 우승(4회)
1982전기·1986후기·1995·1999드림·2016·2018·2019
성적(타이틀 이외)
시리즈 출장(15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1982·1995·2000·2001·2005·2007·2008·2013·2015·2016·
2017·2018·2019·2020·2021
플레이오프(16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1986·1987·1999·2000·2001·2004·2005·2007·2008·2009·
2010·2013·2015·2017·2020·2021
준플레이오프(11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1993·1998·2001·2004·2009·2010·2012·2013·2015·2020·
2021
와일드카드 결정전(3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2021·2023·2024
구단 조직
구단주박정원
대표이사고영섭
운영모체두산그룹
감독김원형
단장김태룡
유니폼
원정
2025년 KBO 리그

두산 베어스(Doosan Bears)는대한민국서울특별시를 연고지로 하는KBO 소속프로 야구단이다.KBO 한국시리즈에서 총 6회 우승(1982, 1995, 2001, 2015, 2016, 2019) 하였으며,서울특별시송파구잠실동에 있는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LG 트윈스와 함께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역사

[편집]

김영덕 시대 (1982년 ~ 1983년)

[편집]

1981년 12월 29일, 한국프로야구 사상 최초의 드래프트에서박철순,선우대영,조범현,박상열,황태환,계형철,유지훤,윤동균,김우열 등을 지명했다.

OB 베어스의 한국프로야구 첫 경기는 3월 28일MBC 청룡과의 경기로박철순의 4피안타 2실점(1자책점) 완투승으로 승리했다. 전기리그를 28승 8패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후기리그에서도 1위를 하여 한국시리즈 없이 통합우승을 할 수 있었으나삼성에 1경기차 2위를 기록하여 전기리그 1위팀의 자격으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였다.1982년 한국시리즈에서삼성 라이온즈를 4승 1무 1패로 꺾고 원년우승을 차지한다. 김유동이한국시리즈 6차전 4-3 상황에서 9회에 만루홈런을 쳐내면서 초대 MVP에 선정되었다.박철순이 KBO리그 역대 최다 연승인 22연승을 포함 시즌 24승을 거두면서 정규리그 MVP에 선정되었으며 당시 16승이 선발승이었는데[1] 그 이후선동열(86년 17선발승),손민한(2005년 17선발승)(선동열과 타이),류현진 (2006년 18선발승),리오스 (2007년 22선발승)[2]에 의해 역대 정규시즌 최다 선발승 MVP 기록이 갱신됐다. 이는 비공식이지만 세계 기록과도 견주어 볼 만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그러나1983년 시즌에는박종훈,한대화,장호연,정선두만을 신인으로 확보했고,박철순,선우대영,강철원 등의 주력 투수와구천서 등의 야수진도 부상을 당하면서, 결국 전기리그 6위, 후기리그 5위를 기록하여 저조한 성적을 남겼으며 허리 디스크 때문에 고생해 온박철순의 디스크 치료를 주선해주는 등[3]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한때 자매결연을 맺었던 탓인지 이 팀이1948년부터 스프링캠프 장소로 활용한 플로리다 베로비치 다저타운(현재 홀먼 스타디움)에서 시즌 전 전지훈련 예정이었지만 미국행 비자를 받기 너무 어려워 대만 일본으로 전지훈련 장소를 바꿔[4] 최초 KBO 해외 전지훈련 팀이 됐고 일본 전지훈련 당시난카이 호크스와 연습경기를 치르면서 처음으로 일본 프로 선수들과의 맞대결을[5] 경험했다.그리고 10월 14일,김영덕감독이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사임하였다.

김성근 시대 (1984년 ~ 1988년)

[편집]

1984년, 새 감독으로 투수 코치였던김성근이 취임했고, 코치진도 보강되었다.[6] 선수도 재일교포최일언, 홍신차 등을 비롯해 신인윤석환,김진욱,김광림 등을 확보했다.[6] 그리고 계형철이 14승, 박상열 12승, 장호연이 평균자책점 1위의 성적을 거두었고, 야수진에서도 부상 공백이 메워지며 9연승으로 치고 나갔다. 그러나 이후 6연패에 빠지며 삼성에게 전기리그를 내주었고, 후기리그에서도 초반에는 선두로 질주했지만, 8월 15일부터 선두 자리를 내주었다.[7] 마지막 두 경기에서 OB는 해태와, 롯데는 삼성과 맞붙었는데, 삼성은 롯데에게 일부러 패하면서 OB는 후기리그도 2위에 머물렀다.[8]

1985년, 전기리그는 2위를 기록했으나 후기리그는 5위로 마무리했다. 1986년, 플레이오프 진출권이 달린 롯데와의 마지막 경기에서김형석의 동점 홈런과 이후 안타로 4-3으로 승리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9] 하지만 플레이오프에서 삼성에게 2승 3패로 패한다. 1987년, 전기리그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되지만 해태에 2승 3패로 탈락한다. 1988년, 개막전에서 장호연은 무탈삼진노히트 노런을 달성한다.[10] 이후 전기리그 3위, 후기리그 5위를 기록한다. 시즌 후에 두산 그룹은 우승을 못한 김성근 감독과 재계약을 하지 않으려 했고, 김성근 감독도 사임하여신용균 코치,최주억 코치,박상열 투수가 태평양으로 이적하게 된다.[11]

이광환 시대 (1989년 ~ 1991년)

[편집]

1989년, 제3대 이광환 감독이 취임했다. 그는 선수들 개개인에 개성과 책임감을 믿고 맡기는 '자율 야구'의 기치를 들었으나, 전임감독에게 젖은 고참선수들을 효과적으로 통솔하지 못한 데다[12] 팀컬러의 갑작스러운 변모를 꾀하려다가 오히려 10연패, 11연패를 기록했고 급기야 장래를 위해 2∼3년생을 주축으로 한 유망주들이 대거 기용되자 은퇴를 앞둔 고참선수들이 불안을 느끼기 시작하여[13] 팀워크에 틈새가 생겨 그 해 6월 19일 시즌 중 교체되었다.[14] 제4대 감독으로는 타격 인스트럭터였던[15]이재우였다. 그는 1990년 대행 기용되어 1991년 정식으로 감독에 취임했다. 하지만 초반에 잠깐 1위를 했으나 중반의 11연패 뿐 아니라장호연의 연봉 재계약[16] 문제-부상 등으로 투수진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못했으며 급기야 팀내 좌완 투수이자 에이스이기도 한구동우를 선발-중간-마무리 가리지 않고 투입시켜 최하위로 처지자 그 해 9월 9일 시즌 중에 교체되었다.[14]

윤동균 시대 (1992년 ~ 1994년)

[편집]

1991년, 제5대 감독은 최초의 선수 출신 감독으로윤동균이 내정되었고,[15] 그는 남은 경기를 5할의 승률을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였다.[17] 1992년, 본격적인 첫 시즌에 그는김민호,장원진,안경현 등의 신예들을 대거 발탁하여 5위까지 순위를 끌어올렸다.[18] 1993년에는 초반에는 5위에 머무르다가 9월부터 연승을 시작해 마지막 경기에서 LG에게 승리하며 3위로 6년 만에 팀을 포스트 시즌 진출로 이끈다.[18] 그러나 준플레이오프에서는 오히려 LG에게 1승 2패로 탈락한다.

1994년, 선발진은김상진,권명철,강병규 등의 젊은 투수로 구성되었고 불펜에는 마무리김경원, 노장 박철순 등이 있었다. 타선에서도 김형석,김상호의 중심 타선과 김민호를 중심으로 한 수비진이 있었다.[18] 개막전은 잠실 쌍방울 전이었는데 이 경기에서는 대통령이 시구를 하고 관전했으며 승리를 거뒀다. 하지만, 다음 날 2차전에서는 선발 자원 4명을 투입하고도 패배한다.[19] 그리고 5월 중순부터는 6,7위에 머물렀고 7위를 굳히는 형세가 되었다.[19] 이러한 부진의 이유는 장호연이 2승, 쌍방울에서 트레이드 해 데려온 강길룡이 1승만을 기록한 것도 있었다.[19] 그리고 9월 4일, 군산 쌍방울 전에서 1-2로 패배하자 윤동균 감독은 '몽둥이를 들겠다'고 했고 선수들은 이를 거부하자 윤동균 감독이 '맞기 싫은 선수들은 다 짐싸서 서울로 올라가라'라고 하였고 17명의 선수들은 이탈해 서울로 올라갔다.[20][21] 선수들 중 최고참인 박철순은 '윤 감독과 같이 옷을 벗겠다'라고 사태를 무마시키려 했다.[21] 결국 9월 14일, 윤동균 감독은 사태의 책임을 지고 스스로 물러났고,[22] 박철순, 김상호, 김형석, 장호연, 강영수 등의 다섯 고참 선수들은 계약을 해지하기로 했다.[23] 그러나 그들은 팀 전력의 핵심이었기 때문에 부진했던 강영수 만을 태평양으로 트레이드하는 것으로 사건은 마무리되었다.[23] 그리고 남은 시즌은 최주억 코치가 감독직을 대행했다.[24]

김인식 시대 (1995년 ~ 2003년)

[편집]

1995년, 제6대 감독인김인식이 취임했다. 선수단 이탈 사건을 겪었으나 예상과 달리 연습생 출신의김상진이 3경기 연속완봉승[25]을 포함해 17승을 올렸고, 이어 권명철이 15승, 그리고 3년생이용호와 신인진필중은 김경원의 빈자리를 메워주었다.[26] 타선에서는 1번 타자이자유격수인 연습생 출신 김민호, 고졸 2년생심정수는 21홈런으로 분발했다. 인터뷰에 따르면 심정수는 초반에 부진 했음에도 불구하고 감독의 신임으로 좋은 성적을 냈다고 한다.[26] 시즌 구도는 서울 라이벌인 LG와 OB의 선두 다툼으로 흘러갔는데, LG가 8월 중순에 6경기차로 간격을 벌렸다.[26] 그러나, 이후 LG가 연패를 하자 OB는 6연승, 4연승을 거두고 9월 10일에는 처음으로 선두를 탈환한다.[26] 그리고 마지막 27경기에서 OB는 20승 7패를 기록하면서 LG에 반 경기차로 정규 시즌에서 우승한다.[26] 롯데와의 한국시리즈에서는 7차전에 롯데에게 4-1로 승리하며 사상 두 번째 우승을 거머쥐었다.[27]

1996년에는 꼴찌 8위로 추락하여 최하위, 1997년에는 5위를 기록했다. 1998년, 이 해에는 10년 이상 중심 타선을 지켜오던 김상호, 김형석이 빠지게 된다.[28] 그 때문에 8월 말까지 꼴지를 기록했으나 외국인 타자타이론 우즈,김동주, 심정수의 활약에 힘입은 시즌 막판 연승으로 1경기차 4위에 오른다.[29] 그러나 준플레이오프에서는 LG에 2연패로 탈락하게 된다.

1999년 1월 5일, 구단 명칭을 기존의 OB 베어스에서 현재의두산 베어스로 바꾼다. 이 해 우즈의 활약과 3할 20홈런의 김동주, 3할3푼5리의 타율에 31홈런을 친 심정수의 활약으로 드림리그 1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만 한화에 4연패로 탈락한다.[30] 2000년, 우동수 트리오는 99홈런 308타점을 기록했으나 현대의 91승에 밀려 드림리그 성적은 2위였다.[31] 플레이오프에서 LG에게 4승 2패로 승리하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하고, 한국시리즈에서는 1~3차전을 통틀어 3점 밖에 내지 못했으나 4~6차전을 모두 쓸어 담는다.[31] 하지만 7차전에서톰 퀸란에게 연타석 홈런을 맞고 패배한다.[31]

2001년, 심정수는 선수협 사태로심재학과 트레이드 되었으나 심재학은 그해 3할4푼4리에 24홈런 88타점을 기록해 심정수의 빈틈을 메운다.[32] 두산은 상당한 자금력의 삼성, 현대에 밀려 3위를 기록했지만 준플레이오프에서 한화를 2연승으로 일축한 뒤 플레이오프에서도 현대를 1패 후 3연승으로 가볍게 제치고,[33] 한국시리즈를 삼성과 맞붙는다. 한국시리즈에서 두산은 갈베스의 구위에 밀려 1차전을 4-7로 패한다.[34] 그러나 다음 날 경기가 우천 취소가 되자, 활기를 다소 되찾은 두산은 장원진의 3점홈런으로 9-5로 2차전을 승리한다.[34] 잠실 3차전은 난타전이었으나 11-9로 승리한다.[34] 그리고 4차전, 두산은 우즈의 2점홈런으로 선취점을 얻었지만 2회초 삼성에게 타자 일순을 허용하여 8점을 내준다. 하지만 3회말, 두산은 김동주의 만루홈런, 안경현의 백투백 홈런 등으로 12점을 뽑아내고, 결국 18-11로 승리한다.[35] 이날 경기는 역대 한국시리즈 한 경기 최다 점수, 최다 안타, 최다 점수차 역전 경기였다.[35] 하지만 5차전에서는 심기일전한 삼성에게 10점차로 대패한다.[35] 그리고 6차전, 1회초 삼성은 2점을 선취했으나 우즈의 150m 홈런으로 3-2로 역전시켰고, 다시 삼성이 3점을 냈지만 두산은 다시 동점을 만들어낸다.[35][36] 그리고 8회말에 심재학의 얕은 좌익수 플라이에 정수근이 홈으로 들어오며 6-5로 역전하기에 이른다.[36] 그리고 진필중이 마지막 타자마해영을 삼진으로 잡아내며 세 번째 우승을 달성한다.[36] 한국시리즈 MVP는 시리즈에서만 7홈런을 기록한 우즈가 차지했는데 삼성은 쓸만한 좌완투수 부재를 극복하지 못한[37] 것이 컸다.

이후 FA, 트레이드로 팀 전력이 나빠지면서 2002년에는 5위, 2003년에는 7위를 기록했으며 2003년 시즌이 끝난 후 김인식 감독은 감독직에서 물러난다.

김경문 시대 (2004년 ~ 2011년)

[편집]

2003년 말, 두산은 원래 일본에서 코치 연수를 받던선동열을 감독으로 영입하려고 했다.[38] 그 때문에 김인식 감독이 스스로 감독에서 물러났다.[39] 그러나 영입에 실패하면서 그 대안으로김경문을 감독으로 영입했다.[40] 2004년, 두산은 정규시즌 3위로 준플레이오프에 진출, 기아에 2연승하고 플레이오프에서 삼성에게 1승 3패로 탈락한다. 2005년에는 정규시즌 2위를 기록해 플레이오프에서 한화에 3연승하여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지만 삼성에게 내리 4연패를 당하며 준우승에 머문다. 그 해에는 이천 구장을 준공해 열었다.[41] 2006년에는WBC에 출전했던 김동주의 부상으로[42] 5위에 머물렀다. 그러나 신고선수 출신의 좌타자의 도루왕이종욱을 발굴해냈다.

2007년, 두산은 역대 정규시즌 MVP 최다 선발승인[43] 22선발승을 거둔다니엘 리오스와 12선발승을 거둔맷 랜들의 원투펀치로 정규시즌 2위로 한화와의 플레이오프를 3연승으로 가볍게 이기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으나SK 와이번스에게 2연승 뒤 4연패로 준우승에 머문다.[44] 다음 해, 두산은 일본으로 리오스를 떠나 보내고 선발진에 약점을 드러냈고 정규 시즌 2위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으나 1승 뒤 4연패로 2년 연속 준우승에 머문다.[44] 2009년, 지난 2년과 달리 기아가 1위를 차지하고 SK가 2위, 두산은 3위를 차지했다. 두산은 준플레이오프에서 롯데를 1패 뒤 3연승으로 이기고 플레이오프에서 SK에게 좌완 7승금민철과 4승후안 세데뇨가 2연승을 거두었다.[45] 하지만 3차전 10회초, 1사 2루에서박재상의 타구를 우익수정수빈이 조명탑 때문에 시야가 가려져 놓쳤고, 이를 틈타 분위기 반전에 성공한 SK가 2연패 뒤 3연승을 하면서 두산은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지 못했다.[45] 2010년, 두산은켈빈 히메네스김선우의 원투펀치와 토종 타자 20홈런 5명으로 정규시즌 3위를 기록했고, 준플레이오프에서 롯데를 2패뒤 3연승으로 이기고, 플레이오프에서 삼성과 맞붙었다. 1차전에서박한이의 역전 홈런으로 패했으나 2차전에서임태훈이 경기를 마무리하면서 1승 1패로 가져갔다. 3차전, 양팀은 역전과 재역전을 반복했으나 결국임재철의 동점타와손시헌의 끝내기 안타로 승리했다. 4차전은 타격전으로 삼성이 승리했다. 5차전에서박석민의 끝내기 안타로 두산은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지 못했다.

2011년, 김경문 감독이 계약 마지막해 성적 부진을 이유로 시즌 도중 자진사퇴하였다. 8시즌 통산 960경기 512승 16무 432패를 기록한 김경문 감독대신에김광수 감독대행 이끄는 두산은 4강 진출에 실패하고 5위로 2011 시즌을 마감하였다.

김진욱 시대 (2012년 ~ 2013년)

[편집]

2011 시즌 이후김진욱 불펜 코치를 새로운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또한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에서 우승경력이 있는이토 쓰토무를 수석코치로 선임하고 넥센2군에서 투수코치로 있던 정명원도 투수코치로 선임하는 등 코치진을 개편하였다.

2012년에도최주환,최재훈,변진수,허경민 등 많은 신인들의 등장으로 제2의 화수분야구를 시작했고니퍼트,노경은,이용찬,김선우,김승회로 이어지는 선발투수는 국내 최고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성장했다. 특히 노경은과 이용찬의 활약이 돋보였는데 생애 첫 완봉, 10승 등 맹활약을 펼쳤다. 홍상삼은 불펜에서 안정된 피칭으로 힘을 보탰다. 반면 타격에 있어서는이종욱,김현수,김동주,최준석 등 주전선수들의 대거 부진과 부상 이탈로 최악의 한 해를 보냈다.롯데 자이언츠가 1,2차전 승리하고 4차전을 승리를 해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함에 따라 김진욱 감독은 첫시즌을 3위로 마무리지었다.

2013 시즌에는 기존 수석코치였던이토 쓰토무와 불펜 코치였던고마키 유이치, 작전 및 주루코치였던김민호, 배터리 코치였던고정식, 2군 타격코치였던이명수 등과 재계약하지 않았다. 그리고 새롭게 수석코치로황병일, 작전 및 주루코치로조원우, 수비코치로김민재, 배터리 코치로강성우, 2군 재활 코치로문동환, 2군 타격 코치로김우열을 선임하여 코치진을 대폭 개편하였다. 그리고 두산은 2013년에 페넌트레이스에서 4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으며, 준플레이오프에서넥센 히어로즈에게 1,2차전을 모두 내주었으나 3,4,5차전을 연속으로 이기는 역스윕을 거두고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이후LG 트윈스까지 3승 1패로 이기면서,한국시리즈까지 진출하였으나삼성 라이온즈에게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지면서한국시리즈 준우승을 하게 되었고 2013년 시즌을 2위로 마무리 지었다.

2013 시즌이 종료된 후 두산은 FA로 신청된 선수인이종욱,손시헌,최준석이 각각NC 다이노스롯데 자이언츠로 떠났고 2차 지명으로김상현임재철,이혜천도 각각KIA 타이거즈,LG 트윈스,NC 다이노스로 보내게 되었다. 그 뒤윤석민넥센 히어로즈장민석과 맞트레이드까지 하였고,2013년 11월 27일에는김진욱 감독을 전격 경질하기에 이르자정명원 투수코치,김민재 수비코치,조원우 작전, 주루코치가 사임하였다.

송일수 시대 (2014년)

[편집]

김진욱 감독의 경질로 후임으로는 이전 2군 감독이였던 일본프로야구 일본 출신 해외파송일수 감독을 신임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그리고 1월 중순에 수석코치송재박, 투수코치권명철이 선임되었고 2군 감독자리는 이전 1군 수석코치였던황병일, 2군 재활코치로유지훤, 2군 타격코치로강동우를 임명하면서 코치진을 전격 개편하였다. 그러나 계속되는 투수진의 부진과 6월 이후 타격 슬럼프를 겪으며 2위에서 점점 하위권으로 추락하게 되었고 결국 6위로 시즌을 종료하여 포스트시즌이 좌절되었다.

김태형 시대 (2015년 ~ 2022년)

[편집]

2015년

[편집]

2014 시즌 후 송일수 감독이 1년만에 경질되고 OB 베어스 초창기 3대 포수 중 한명이던김태형이 신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2015 시즌을 앞두고,롯데 자이언츠에서 활약했던 좌완 에이스장원준을 계약기간 4년과 계약금 40억원, 연봉 10억원 등 총액 84억원에 계약을 체결하여 영입하였다. 9월초까지만 해도넥센에 3경기차로 뒤지는 등, 4위가 유력하였으나 끈질긴 추격전 끝에 마지막 경기에서KIA를 제압하며 넥센을 반게임차로 제치고 3위로 준플레이오프에 직행하는데 성공한다.준플레이오프 4차전에서넥센에 7회까지 2-9로 끌려가면서 패색이 짙었으나, 7,8,9회 9점을 뽑아내면서 11-9로 역전승,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플레이오프에서는NC를 상대로 3차전에 2-16으로 대패하는등 벼랑끝에 몰렸으나, 4,5차전을 내리 잡아내며한국시리즈에 진출한다.한국시리즈에서는삼성을 상대로 5차전에서 13-2 대승을 거둬 남은 2경기에 상관없이2001년 이후 14년 만에 통산 4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로써2015년 한국시리즈는 정규시즌 우승팀이 아닌 팀이 한국시리즈를 우승한 4번째 사례가 되었다.

2016년

[편집]

2016 시즌을 앞두고김현수볼티모어 오리올스와 2년 계약을 체결하였다. 외국인 선수 쪽에서는앤서니 스와잭,데이빈슨 로메로와 계약을 해지하고마이클 보우덴,닉 에반스를 영입하였다.

팀의 주축선수였던김현수의 부재로 당초 작년보다 전력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전반기 내내 7할 승률을 넘나들며 화수분 야구의 힘을 다시 한번 보여 주었다. 이에 역사상 최초로 전반기를 1위로 마치게 된다. 9월 22일KT 위즈와의 홈경기에서 9-2 승을 거둬, 니퍼트(22승) 보우덴(18승) 유희관(15승) 장원준(15승)으로 선발투수 4명 전원이 15승 이상을 거두는 역사상 최초의 기록을 세웠으며 판타스틱4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10월 4일롯데 자이언츠와의 홈 최종전에서의 승리로2000년 시즌현대 유니콘스가 세웠던 정규리그 최다승 기록인 91승을 넘어섰으며, 8일2016 시즌 정규리그 최종전에서LG 트윈스에게 승리함으로써 정규리그 최다승 기록을 93승으로 마감하였다. 2016년 정규리그 최종 성적은 93승 1무 50패 승률 0.650으로1995년시즌 이후 21년만에한국시리즈에 직행하였다.NC와의 한국시리즈에서는 4차전에서 8-1로 대승을 거둬 4전 전승으로 남은 3경기와 상관없이 21년 만의 통합 우승, 한국시리즈 2연패와 동시에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2017년

[편집]

2017 시즌을 앞두고, 팀의 내야수인이원석은 계약기간 4년, 계약금 15억원, 연봉 3억원 등 총액 27억원에 계약을 체결하여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하였다. 그 후, 보상선수로경찰 야구단에서 군복무 중인이흥련을 영입하였다. 또한,이현승김재호가 팀에 잔류하였고SK 와이번스에서 뛰던김승회가 5년 만에 복귀하게 되었다. 외국인 선수 쪽에서는2016시즌에서 내내 최고의 활약을 해준더스틴 니퍼트,마이클 보우덴,닉 에반스 외인 3명과 재계약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올시즌을 앞두고 주축선수 8명이 대거WBC 대표팀에 차출되는 등, 그 후유증으로 초반 부진에 빠졌었지만, 6월 한때 3위까지 상승세를 타기도 하였다. 2016년 8월 1일 MBC 스포츠 플러스 단독 취재에 의해서 심판매수가 처음 거론되었으며 KBO는 상벌위를 비공개로 개최하였다. 7월 2일에 다시 MBC 스포츠 플러스 탐사팀 취재결과 2013년 10월 플레이오프시절 심판 매수 의혹으로 논란이 일었다.

2017년에는 최종일까지 1위 경쟁 끝에 정규시즌을 최종적으로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직행했으며 플레이오프에서NC 다이노스를 3승 1패로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였다. 한국시리즈에서는 정규시즌 1위KIA 타이거즈와 맞대결을 펼쳤으나 1차전을 승리하고도 이후 내리 4연패를 당하며 1승 4패로 준우승에 그쳤다.

2018년

[편집]

2018 시즌에는 4월 7일 공동 선두에 오른 이래 단 한 번도 1위 자리를 내주지 않으며 시즌 끝까지 독주했고, 결국 2년 만에 다시 한 번 정규시즌 우승을 차지하였다. 2위SK 와이번스와 14.5경기차의 압도적인 1위였다. 그러나 정작 한국시리즈에서는SK 와이번스를 맞아 4차전까지 2승 2패로 팽팽히 맞섰지만 이후 5, 6차전을 모두 패하면서, 시리즈 2승 4패로 2년 연속 준우승에 머물게 되었다.

2019년

[편집]

2019 시즌을 앞두고, 팀의 주전 포수인양의지NC 다이노스로 이적하였다.그래서 양의지의 대체 포수로 박세혁이 뛰게 되었다. 또 보상선수로는 NC의 중간계투를 소화하던이형범이 영입되었고 새 외국인 타자로는 쿠바 출신인호세 페르난데스가 영입되었다.호세 페르난데스가 안타 1위와 타율 2위를 기록하면서 타격 부분에서 많은 점을 보완해주었다. 2019년 시즌 초반에는 1,2위를 오고 갔지만 중반부터는SK 와이번스 에게 밀리며키움 히어로즈과 2,3위를 다투었다. 하지만 시즌 후반에는SK가 하락세를 보여 9경기차를 뒤집으며 정규시즌 마지막날에 KBO 최초로 승차 없는 1위를 쟁탈해내었다. 한국시리즈에서는키움 히어로즈에게 4연승을 하며 3년 만에 팀 통산 6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2020년

[편집]

2020 시즌을 앞두고 20승을 거둔조쉬 린드블럼밀워키 브루어스로 이적하였다. 또한, 2018년에 18승을 거두며 다승왕에 올랐지만 2019년에는 8승 9패로 안좋은 모습을 보여서 재계약이 확실치 않았던세스 후랭코프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이적하면서 선발진에 구멍이 생겼다. 다행인 점은 이 둘의 대체 자원으로 영입한라울 알칸타라크리스 플렉센이 각각 훌륭한 유망주로 평가받아 왔기 때문에 선발진의 구멍을 메워줄 것이라고 기대받았다. 다만 둘중 더 많은 관심을 받은크리스 플렉센은 잦은 부상으로 인해 패넌 트레이스에서는 많은 임팩트를 보여주지 못했지만, 가을야구에선 2승 1패의 호투를 보여주며 그 기대가 틀리지 않았음을 보여줬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많은 관심을 일으키지 못했던라울 알칸타라는 최고시속 160km/h의 강력한 패스트볼과 위력적인 포크볼로 시즌 20승을 달성하며 두산이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또한 2019년에 이어 재계약한호세 페르난데스는 종전 외국인 최다안타를 뛰어넘은 199안타를 기록하며 두산 타격에 큰 힘이 되었다. 2020 시즌 이후 두산은 9명의 FA 예정자가 있어 이들이 몸값을 올리기 위해 많은 활약을 할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하지만 한화의 18연패가 두산에 의해 마감되고,10월 1일에는 6위까지 떨어지며 포스트시즌 진출도 안개 속에 가려지게 되었다. 하지만 시즌 최종전키움에게 승리했으며 때마침LGSK에게 패하면서NC와 우승경쟁을 하던LG는 4위로, 두산은 극적으로 3위를 달성하며 디펜딩 챔피언의 면모를 보여줬다. 이후 포스트시즌에서LG에게 준플레이오프에서 2연승,KT에게 3승1패로 한국시리즈에 올라가며 6년 연속 한국시리즈라는 대기록을 달성 한다. 하지만NC와의 한국시리즈에서 2승 4패로 패하며 준우승에 만족해야했다.

2021년

[편집]

2021년에는 중반까지는 한때 6~7위를 달리고 있어서 약간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지만 최종전 가까이 갈 수록 점점 기세가 올라가서 4위까지 올라갔다. 일단KBO 포스트시즌 확정은 지었지만,SSG 랜더스와 2경기에서 다 승리해야 되는데 한 경기만 승리하고 패하는 바람에 4위 확정을 짓지는 못했다. 그래서, 최종전을 앞두고 4위를 확실하게는 가리지 못했지만, 그래도 최종전을 승리하거나 최소 비기기만 하면 무조건 4위 확보가 된다. 또한, 최종전 상대는 최하위한화여서 좀 손쉽게 이길 듯한 팀이었으나 그래도 방심하기엔 이른다. 오히려한화가 이길 지 모르는 상황이었고, 패할 시 같은 시간SSG가 승리하면 4위는SSG 손아귀로 넘어가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SSG가 지면 두산 베어스는 최종전을 져도 상관없이 4위가 확정짓는다. 실제로SSG는 최종전에서KT에게 8대 3으로 처참하게 패하고 있어서 두산 베어스는 굳이한화 최종전 경기를 이기거나 비기지 않아도 될 일이었지만, 두산 베어스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5:3으로 자력 승리를 택하여 4위 확보를 지었다. 이후 두산 베어스는와일드카드 경기에서키움에게는 비록 1차전에 승리를 내주어서 불안했지만 2차전에는 승리하여 본격적으로KBO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이후 준플레이오프 경기에서LG에게 승리하고 플레이오프 경기에서삼성에게 승리한 후 사상 최초로 7년 연속2021년 한국시리즈 진출했다. 하지만KT와의 한국시리즈에서 4전 전패를 당하며 준우승에 만족해야했다.

2022년

[편집]

2022년에는 두산베어스가 그야말로 치욕적이고 믿을 수 없는 최악의 9위로 확정짓고 말았다. 두산베어스가 4월~5월부터 점점 패배로 기울어지더니 이후부터는 제대로 된 경기를 펼치지는 못했다.SSG 랜더스를 맞아서 4월 29일에는 12회말에 끝내기 패배를 맞고, 6월 22일에는 10회말에 끝내기 패배를 당했고, 두산 베어스 최다 기록인 9월 18일에는SSG 랜더스에게 13대13으로 가다가 끝내 9회말에 끝내기 패배를 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게다가 최하위한화 이글스까지도 5월 15일에는 1:14로 크게 패하는 등 치욕적인 위닝시리즈 패배 경험도 겪어야 했고, 6월에도한화 이글스에게 2패를 내주는 위닝시리즈 패배를 또다시 안겼다. 7월 30일 경기에서도한화 이글스에게 1:11로 대패하는 등 제대로 된 경기를 펼치지 못했다. 이후두산베어스는 웬일인지 2022년 내내 제대로 된 경기를 펼치지는 못했으며, 다른 팀에게 거의 동네북이 될 정도의 패배 수치를 겪어야 했다. 그리고 마침내 두산 베어스는 9월 29일한화 이글스를 6:5로 간신히 이기긴 했지만 같은 시간KIA 타이거즈롯데 자이언츠를 5:4로 이기는 바람에 기여이 탈락이 확정되고 말았다. 게다가 그 탈락도 역시 유일하게한화 이글스를 제외하고 다른 팀들보다 제일 먼저 탈락이 확정된 팀이며 이후에도 무기력한 경기를 보여주면서 9위까지 확정짓고 말았다. 9위는 두산 베어스 야구 사상 최초의 최악 순위 기록이었다. 그리고 오재원이 10월 8일 마지막 경기에 은퇴식이 펼쳐졌고 김태형 감독도 이번 해를 끝으로 계약이 끝나 은퇴했다. 그래서 2023년부터는 두산베어스 감독이 이승엽 감독이 맡기로 했다.

이승엽 시대 (2023년 ~ 2025년)

[편집]

김태형 감독 후임으로 이승엽 감독을 영입해SSG 랜더스NC 다이노스와 3~5위를 놓고 다투었으나 최종전 앞두고 5위를 확정짓고 말았다. 이는 두산 베어스가 최종전에서 이기고NC 다이노스가 패해도 두산 베어스와NC 다이노스가 서로 승점도 같고 놀랍게도 승자승까지도 8승 8패로 같아진다. 그러나 아깝게도 득점에서 두산 베어스가 NC 다이노스보다 2득점 밀려 순위를 뒤집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결국 5위를 확정짓은 채 2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으나 와일드카드 1차전에서NC 다이노스에게 대패해 탈락했다.

2024년 때에 두산 베어스가 9월 17일에 삼성 라이온즈를 8:4로 대승하여 결국KIA 타이거즈가 정규시즌 우승을 하는데 이바지했다. 이는KIA 타이거즈가 같은 시간문학야구장에서SSG 랜더스에게 0:2로 패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최종 순위는 4위를 거두고, 안정적으로 와일드카드 경기를 펼쳤지만 정작 와일드카드 팀이었던 5위KT 위즈에게 도리어 2패를 당하면서 탈락하는 최초의 수모를 겪게 되고 말았다.

김원형 시대

[편집]

한국시리즈

[편집]
#연도감독상대 팀경기 결과우승 횟수시리즈 MVP주석 및 기타
11982년김영덕삼성 라이온즈4승 1무 1패 (△XOOOO)V1김유동 (외야수)
21995년김인식롯데 자이언츠4승 3패 (XOOXXOO)V2김민호 (내야수)
32000년김인식현대 유니콘스3승 4패 (XXXOOOX)
42001년김인식삼성 라이온즈4승 2패 (XOOOXO)V3타이론 우즈 (내야수)두산으로 첫 우승
52005년김경문삼성 라이온즈4패 (XXXX)
62007년김경문SK 와이번스2승 4패 (OOXXXX)
72008년김경문SK 와이번스1승 4패 (OXXXX)
82013년김진욱삼성 라이온즈3승 4패 (OOXOXXX)
92015년김태형삼성 라이온즈4승 1패 (XOOOO)V4정수빈 (외야수)
102016년김태형NC 다이노스4승 (OOOO)V5양의지 (포수)
112017년김태형KIA 타이거즈1승 4패 (OXXXX)
122018년김태형SK 와이번스2승 4패 (XOXOXX)
132019년김태형키움 히어로즈4승 (OOOO)V6오재일 (내야수)
142020년김태형NC 다이노스2승 4패 (XOOXXX)
152021년김태형KT 위즈4패 (XXXX)
한국시리즈 총 6회 우승 (OB 2회 / 두산 4회)

역대 유니폼, 마스코트

[편집]

역대 유니폼

[편집]

OB 베어스 시절 흰색 기본바탕에, 짙은 남색과, 빨간색으로 구성된 유니폼을 착용하였다. 프로 원년 전기리그에서는 가슴 양쪽에 OB가 새겨져있는 버튼형 유니폼을 착용하였다가, 후기리그에서는 가슴전체에 OB BEARS라는 로고가 새겨진 유니폼을 착용하였다. 그 후 1983 시즌부터 1998 시즌까지 16년 동안, 원년 후기리그 유니폼 디자인에, 단추형 유니폼에서 V넥 형태의 셔츠 형 유니폼으로 변경되어 착용하였다. 그 후 OB 베어스에서 두산 베어스로 팀명이 바뀌어 구단 BI도 변경되었다. 그에 따라 흰색 기본바탕에, 짙은 남색, 노란색의 유니폼으로 변경되었다. 이 유니폼의 특징은 새로운 구단 BI의 상징인 반달곰 로고를 가슴 부분에 새겨 넣었은 것이다. 1999 시즌부터 2001 시즌까지 가슴 전체에 반달곰 로고가 들어가있는 셔츠형 유니폼을 착용하였다가, 2002 시즌부터 2009 시즌까지는 반달곰 로고를 가슴 오른쪽에 새겨 넣은 단추형 유니폼을 착용하였다. 그 후 2010 시즌이 시작되기 전인 2010년 1월 4일에 두산 베어스는 구단 엠블럼과 유니폼을 기존의 짙은 남색 및 노란색에서 짙은 남색과 빨간색이 어우러진 새로운 팀 엠블럼 및 유니폼을 제작 발표하였다. 2010년 1월 현재 두산 베어스는 흰색에 BEARS 로고가 새겨진 버튼형 홈 유니폼과, 짙은 남색 바탕에 가슴 오른쪽에 구단 엠블럼이 새겨진 버튼형 원정 유니폼, 2015 시즌 중반부터 등번호에 약간의 그림자를 입혔다. 그리고 기존 OB 베어스 유니폼에서 OB를 뺀 셔츠형 올드 유니폼, 그리고 빨간색이 아닌 황금색으로 구성되고 BEARS가 흘림체로 적혀진 버튼형 스페셜 유니폼을 경기에 착용하고 있다.

마스코트

[편집]

이름은 철웅이. 배번은 V. 기존의 곰에 나사로 철판을 연결한 것처럼 보이는 사이보그 로봇 곰이다. 공식 홈페이지 마스코트 소개에 의하면 철웅이는 두산의 상징 동물인 곰을 역동적으로 형상화한 로봇 캐릭터로 이는 강인함과 미래지향적인 두산의 이미지를 강조한 것이라고 한다.

응원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두산 베어스의 응원가와 응원 문화입니다.

두산 베어스에는 20여 가지의 팀 응원가와 선수별 등장곡, 응원가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한재권이 응원단장이 응원을 하고 있다. 다른 구기 종목에서도 응원을 맡은 팀이 우승을 했는데 공교롭게도 처음 두산베어스에 오고 바로 다음해 우승을 하지 못했다.

단, 포스트시즌 제외

팬 서비스 행사

[편집]

두산 베어스는베어스 데이(매월 마지막 일요일 홈경기)[46](2004년 ~ 2007년에는 토요일). 베어스 데이는 홈페이지 여론 조사를 통해서 기획되었다.[46]플레이어스 데이(매월 특정 일요일 홈경기, 옛 유니폼 착용),퀸스 데이(여성 대상 이벤트)[47],직장인의 날(직장인 대상 이벤트) 5월5일 어린이날에는 어린이를위한두린이날등 다양한 팬 서비스와 이벤트를 제공하고 있다.

선수단

[편집]
두산 베어스 - 현재 명단
감독
코치
퓨처스 감독
퓨처스 코치
잔류군/재활군 코치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군입대 선수

역대 감독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두산 베어스 역대 감독입니다.

두산 베어스의 창단 감독은김영덕이었으며, 전 감독은 11대인이승엽이다. 최장 기간 지휘봉을 맡은 감독은 6대인김인식이다. 그는 1995년부터 2003년까지 9시즌 동안 한국 시리즈에서 두 차례 우승하며 정규 시즌 579승 33무 556패를 기록했다.

역대 선수

[편집]
 두산 베어스 연도별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82년 창단 멤버 중 가장 오래 OB 베어스에서 뛴 선수는 1996년에 은퇴한박철순(투수)이다. 1998년 입단한김동주는 17년 동안 OB, 두산에서 뛴내야수이자지명타자이다

역대 외국인 선수

[편집]
 두산 베어스의 외국인 선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타이론 우즈, 캐세레스, 윌슨, 알칸트라,닉 에반스,더스틴 니퍼트,마이클 보우덴, 리오스, 히메네스,조쉬 린드블럼,세스 후랭코프,지미 파레디스,스캇 반슬라이크,호세 미겔 페르난데스,크리스 플렉센,라울 알칸타라,아리엘 미란다, 호세 로하스

역대 포스트시즌 선수 명단

[편집]

한국시리즈 선수 명단

[편집]

두산 베어스(전신 OB 베어스 포함)가 참가한한국시리즈1982년,1995년,2000년,2001년,2005년,2007년,2008년,2013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이다.

 두산 베어스 역대 한국시리즈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플레이오프 선수 명단

[편집]

두산 베어스(전신 OB 베어스 포함)가 참가한 플레이오프는1986년,1987년,1999년,2000년,2001년,2004년,2005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3년,2015년,2017년이다.

 두산 베어스 역대 플레이오프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준플레이오프 선수 명단

[편집]

두산 베어스(전신 OB 베어스 포함)가 참가한 준플레이오프는1993년,1998년,2001년,2004년,2009년,2010년,2012년,2013년,2015년이다.

 두산 베어스 역대 준플레이오프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신인 드래프트와 2차 드래프트

[편집]

역대 신인 드래프트

[편집]
  • 선수 이름은 지명 순서대로 나열되었다.
  • 이름에가로줄이 그어진 것은 해당 선수에 대한 지명권을 포기했음을 의미한다.
연도1차 지명2차 지명
1983장호연, 정선두,박종훈, 이선웅,한대화,정구선, 송일섭없음
1984한오종, 장훈, 김성호,윤석환, 기세봉, 김수남, 홍희섭, 사인상,이광배원영덕환,김광림, 김명구,김진욱임재준
1985김형석,김영신, 이승희,윤수봉,김문수,이종융,천성호,이종원,박상석, 김일중,권광운, 탁재원,계동식, 도이석박기수
1986박노준, 박형열,임채섭, 이복근,조석신,김희식,김현찬,정광식,차재택,박상익김강익, 박칠성,임동구
1987조재환, 김경남,김태진박희종,진상봉,박병준
1988이석재, 김원식, 정삼룡박상국, 김용희, 길홍규,김태형,정형진
1989이진, 김동현, 김보선구동우,이명수, 김진규, 곽연수,하득인,안종호
1990임형석,김경원서준룡, 조정수,김상진, 한형탁, 김만조
1991황일권김익재, 정효형, 노춘섭, 권영일, 구교록,이병우, 박천유
1992손경수이상현,권명철,안경현,박철홍, 장원진,허영철,한국일
1993추성건박상근, 김종성,김덕칠,김종신, 염상엽
1994류택현홍우태, 김광현,한태균, 윤기수
1995송재용문희성,진필중, 서석영, 박성균, 이보형, 최윤승,장보성
연도1차 지명고졸우선지명2차 지명
1996최기문김선우,박명환, 한명윤강영수,정원석, 박찬협,임봉수,이정주,박상언,강봉규, 김규식, 표성대, 이기승, 홍재호,김용혁, 장건희, 윤준호
1997이경필최경훈, 김성환, 김덕용진갑용,김영수,강규철, 김도형, 김환조, 김도균,김원섭, 윤태수, 강신창, 박수현,이용우,장인규
1998김동주이경수,유재웅, 윤상무송원국,이혜천, 김지훈, 김주용,이영일, 오세학, 유석호,박세훈, 조은진, 유병목,이재우, 구판진
1999홍성흔구자운정종수, 장성진, 이승준,이광오,정재훈, 노기환, 백대운,김성배,김호영, 백승훈, 김성균, 박종윤
연도1차 지명2차 지명
2000문상호구자민, 방승재,성민국, 장원영,정재훈, 홍마태, 정진용, 홍석균,맹진영
2001황규택김상현, 김태구,김용영,이대현,배광진,임창섭,이범석,손제민,최홍진,채태인,이수
2002이재영고영민,박종섭, 이경환,황덕균, 이민택,이승엽,박훈범,최종군,오주헌, 이상원,하정인, 김명효
2003노경은전병두,나주환, 김만윤,김영준,김승회,김영진,허도환,최영주,오재원
2004김재호이원희, 이경민,윤석민, 남찬섭, 구명환, 김수훈,오현근,용덕한, 김무학
2005김명제서동환,조현근,이호성,금민철, 윤형관,박정배, 이윤호
2006남윤희김용성,민병헌, 박성남, 송영찬, 유상우,최주환, 홍병오,양의지, 박진원
2007임태훈,이용찬이원재,이두환, 권영준,김강률,이정민, 이병용, 조영민,장동우,문준용
2008진야곱김재환,고창성,홍상삼,김용의, 윤요한,윤도경,박민석
2009성영훈허경민,박건우,조승수, 배상현,정수빈,유희관,김진형, 민정후
연도전면드래프트
2010장민익,이재학,정대현,김상훈,김준호,문상철, 강백산, 김건효,조윤성,김선민
2011최현진,이현호, 천상웅,안규영,정진호,황필선, 이정호,김동한,최현정,양현
2012윤명준,변진수,이규환,류지혁,박세혁,박민정,유민상,신동규,장우람
2013김인태,이우성, 정혁진, 장승현,함덕주, 천영웅, 송주영, 홍성은, 고동현, 계정웅
연도1차 지명2차 지명
2014한주성최병욱,전용훈,이성곤, 이승헌, 정기훈,김경호,심형석,최형록,문진제, 문지훈
2015남경호채지선,김민혁,사공엽,방건우,박종욱,박성민,고봉찬,정진철,정인석, 이윤후
2016이영하조수행,황경태,고봉재,홍성호,정덕현,서예일,신창희,양구렬,이찬기,오석
2017최동현박치국,김명신,지윤,문대원,이병휘,박유연,백민규,박찬범,전태준,박성환
2018곽빈박신지,정철원,김민규,전민재,배창현,이승민,박성모,신현수,정우석,권민석
2019김대한전창민,송승환,이교훈,이재민,김태근,정현욱,최현준,김문수,전형근,추종민
2020이주엽장규빈,제환유,최세창,조제영,박지훈,오명진, 김성민,양찬열,최종인,안권수

1차지명 지역 연고

[편집]

2014년 지명부터 부활한 1차지명의 연고 학교이다. 이 학교들은 서울 연고권을 가진 3개팀 (두산, LG, 넥센)이 공동관리하며, 1년 단위로 순번을 정해서 1차지명을 한다. 즉, 2014년 기준으로 LG-키움-두산 순서로 지명하고 그 다음년도는 키움-두산-LG 순으로 지명하는 것이다.

역대 2차 드래프트 지명

[편집]

2차 드래프트한국 야구 위원회에서 2년마다 11월 말에 개최되며, 타 팀에서 FA 신청선수를 제외한 35명의 보호선수에서 제외된 선수를 지명할 수 있다.

연도1라운드2라운드3라운드
2012오장훈(롯데 자이언츠, 내야수)김강(한화 이글스, 내야수)오성민(SK 와이번스, 투수)
2014허준혁(SK 와이번스, 투수)최영진(LG 트윈스, 내야수)양종민(롯데 자이언츠, 내야수)
2016박진우(NC 다이노스, 투수)임진우(삼성 라이온즈, 투수)정재훈(롯데 자이언츠, 투수)
2018최대성(KT 위즈, 투수)김도현(SK 와이번스, 외야수)지명포기
2020지명 포기지명 포기지명 포기
2024김기연(LG 트윈스, 포수)지명 포기지명 포기

한국 프로 야구상 수상자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두산 베어스의 한국 프로 야구상 수상자입니다.

두산 베어스는한국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를 일곱 명 배출했다.

역대 선발진

[편집]

OB 베어스

[편집]

1군

[편집]
연도1선발2선발3선발4선발5선발
1982박철순선우대영박상열계형철강철원
1983박상열계형철장호연선우대영강철원
1984계형철최일언박상열김진욱강철원
1985계형철김진욱장호연박상열박철순
1986최일언장호연계형철윤석환박철순
1987장호연최일언계형철윤석환박상열
1988김진욱최일언장호연계형철한오종
1989장호연김진욱구동우최일언계형철
1990구동우장호연계형철박철순김진욱
1991김동현김상진박철순구동우김진욱
1992장호연김상진김진욱권명철구동우
1993장호연김상진박철순권명철강병규
1994김상진홍우태권명철박철순강병규
1995김상진권명철강병규박철순장호연
1996진필중박명환강병규김상진박철순
1997김상진박명환진필중이경필이광우
1998박명환이경필김상진강병규권명철

2군

[편집]
연도1선발2선발3선발4선발5선발
1990권영구조정수하창우이상훈김상진
1991이상훈권영일권영구김만조하창우
1992권영일홍길남김만조김익재하창우
1993조영상김만조이상현하창우황용승
1994강길용장호연나영철이용호박상근
1995김유봉나영철최용호여준홍홍길남
1996김유봉홍길남여준홍박상근홍우태
1997김유봉홍길남홍우태최윤승최용호
1998한태균최용호이경원한명윤김유봉

두산 베어스

[편집]

1군

[편집]
연도1선발2선발3선발4선발5선발
1999이경필최용호강병규이광우박명환
2000이광우조계현파머최용호한태균
2001조계현최용호정진용구자운
2002박명환레스구자운이경필
2003이리키키퍼손혁박명환이경필
2004레스박명환이경필키퍼전병두
2005랜들박명환이혜천김명제스미스
2006리오스랜들이혜천박명환금민철
2007리오스랜들김명제김상현이경필
2008랜들김명제이혜천김선우이승학
2009김상현니코스키김선우홍상삼세데뇨
2010히메네스김선우임태훈왈론드홍상삼
2011니퍼트김선우이용찬김승회페르난도
2012니퍼트노경은이용찬김승회김선우
2013유희관노경은니퍼트김선우올슨
2014니퍼트유희관마야볼스테드노경은
2015유희관장원준니퍼트허준혁스와잭
2016니퍼트장원준보우덴유희관허준혁
2017장원준니퍼트함덕주유희관보우덴
2018린드블럼후랭코프이용찬유희관장원준
2019린드블럼이영하유희관후랭코프이용찬
2020알칸타라플렉센최원준이영하유희관
2021미란다최원준로켓곽빈유희관
2022곽빈최원준스탁브랜든이영하
2023알칸타라곽빈브랜든최승용최원준
2024곽빈브랜든최원준최준호알칸타라

2군

[편집]
연도1선발2선발3선발4선발5선발
1999이경수한태균강길용한명윤유병목
2000박찬협정진용이용훈유병목장원영
2001이상훈박찬협김태구이재우이용호
2002한태균장인규박보현김유봉최용호
2003한태균김태영최용호이재우곽채진
2004이경민김태구김성배구자민김무학
2005김무학조현근박정배서동환금민철
2006조현근이원희정재훈 (1981년)김무학허태양
2007이원희이원재원용묵김강률김태영
2008김강률정재훈 (1981년)노경은김태영이재영
2009박민석조승수원용묵김성배남궁훈
2010조규수노경은김성배조승수장민익
2011최현진박정배서동환이현호장민익
2012안규영고창성이정호강동연진야곱
2013안규영서동환강동연이정호정대현
2014강동연유창준정대현이정호서두원
2015이용호강동연한주성남경호김수완
2016고봉재안규영채원후한주성윤기백
2017조승수한주성송주영방건우전용훈
2018허준혁유재유한주성정덕현김민규
2019허준혁전루건김민규장원준정철원
2020지윤김민규이승진박소준장원준
2021현도훈이교훈유재유조제영최승용
2022김동주박웅최지강장빈전루건
2023김민규이원재최종인박신지장원준
2024김민규김유성박신지김무빈김동주

역대 마무리

[편집]

1군

[편집]
198219831984198519861987
황태환황태환윤석환최일언박노준김진욱
198819891990199119921993
윤석환김진규김동현김진규박철순김경원
199419951996199719981999
김경원김경원김경원김경원진필중진필중
200020012002200320042005
진필중진필중진필중구자운구자운정재훈 (1980년)
200620072008200920102011
정재훈 (1980년)정재훈 (1980년)정재훈 (1980년)이용찬이용찬임태훈
201220132014201520162017
프록터정재훈 (1980년)이용찬이현승이현승이용찬
201820192020202120222023
함덕주함덕주함덕주김강률홍건희홍건희
202420252026202720282029
김택연

2군

[편집]
199019911992199319941995
김만조조정수김진규김익재마원성마원성
199619971998199920002001
마원성김현종강길용이재만이용호박보현
200220032004200520062007
김태구김태구이원희이경민이대현노경은
200820092010201120122013
서동환오현택김승회박민석변시원박민정
201420152016201720182019
최병욱임태훈강동연이용호홍상삼최대성
202020212022202320242025
최세창최세창이형범김정우김정우

응원단

[편집]

아나운서 :유창근

응원단장 :한재권

치어리더 :김다정,박소진,허은미,서현숙,이나경,천온유,마서연,임수지,정희정

영구결번

[편집]

두산 베어스의영구 결번은 54번(김영신)과[48][49] 21번(박철순)이다.박철순의 번호는 2002년 4월 5일 시즌 개막전 경기 전 영구 결번식을 통해서 영구 결번되었다.[50]

통산 기록

[편집]
연도팀명순위경기승률득점실점타율안타홈런도루평균 자책포스트시즌수상 선수
1982OB전기 1위

후기 2위

80560240.7003993180.283778571063.20*한국시리즈 :삼성 전 4-1-1 승박철순(최)
1983전기 6위

후기 5위

100441550.4444184320.25986350603.52박종훈(신)
1984전기 2위

후기 2위

100581410.5863822980.256816531112.53윤석환(신)
1985전기 2위

후기 5위

110512570.4724734160.260954671073.14
1986전기 5위

후기 1위

108564480.5383693410.24988038782.61*플레이오프 :삼성 전 2-3 패
1987전기 2위

후기 4위

108551520.5144154050.26192730733.26*플레이오프 :해태 전 2-3 패
1988전기 3위

후기 5위

108542520.5094184470.25892344873.73
19895위120543630.4634474810.247970421353.70
19907위120355800.3134046160.23190162834.72
19918위126512730.4135015930.2501054591364.21
19925위126564660.4605475820.25910961261104.22
19933위126665550.5444734050.258106659862.89*준플레이오프 :LG 전 1-2 패
19947위126531720.4254775070.246101375813.46
19951위126745470.6076295000.26611541061213.42*한국시리즈 :롯데 전 4-3 승김상호(최)
19968위126476730.3974465200.242100882783.69
19975위126575640.4725115510.2541070841433.84
19984위126613620.4965205060.25610801021233.60*준플레이오프 :LG 전 0-2 패타이론 우즈(최)
1999두산드림리그 1위132765510.5987216570.28413051411364.58*플레이오프 :한화 전 4-0 패홍성흔(신)
2000드림리그 2위133760570.5716946160.28913251501154.22*플레이오프 :LG 전 4-2 승

*한국시리즈 :현대 전 3-4패<

20011위133655630.5087327330.27612661301324.96준플레이오프 :한화 전 2-0 승
플레이오프 :현대 전 3-1 승
한국시리즈 :삼성 전 4-2 승
20025위133662650.5045875620.26111731301063.93
20037위133572740.4355636190.276125190584.24
20043위133701620.5306065600.268120089713.88준플레이오프 :KIA 전 2-0 승
플레이오프 :삼성 전 1-3 패
20052위126723510.5855964650.2701147631033.42플레이오프 :한화 전 3-0 승
한국시리즈 :삼성 전 0-4 패
20065위126633600.5124554670.2581068551323.36
20072위126702540.5655784800.2631103781613.44플레이오프 :한화 전 3-0 승
한국시리즈 :SK 전 2-4 패
다니엘 리오스(최)

임태훈(신)

20082위126700560.5566475420.2761198681893.89플레이오프 :삼성 전 4-2 승
한국시리즈 :SK 전 1-4 패
20093위133712600.5347226620.28012861201294.60준플레이오프 :롯데 전 3-1 승
플레이오프 :SK 전 2-3 패
이용찬(신)
20103위133733570.5497316690.28112761491284.62준플레이오프 :롯데 전 3-2 승
플레이오프 :삼성 전 2-3 패
양의지(신)
20115위133612700.4666146190.2711221921304.26
20123위133683620.5235245190.2601139591163.58준플레이오프 :롯데 전 1-3 패
20132위128713540.5686996250.2891271951724.57준플레이오프 :넥센 전 3-2 승
플레이오프 :LG 전 3-1 승
한국시리즈 :삼성 전 3-4 패
20146위128591680.4656877330.29312991081115.25
20151위144790650.5498077760.29014361401115.02준플레이오프 :넥센 전 3-1 승
플레이오프 :NC 전 3-2 승
한국시리즈 :삼성 전 4-1 승
20161위144931500.6509356820.2981504183854.45한국시리즈 :NC 전 4-0 승더스틴 니퍼트(최)
20172위144843570.5968496780.2941499178694.38플레이오프 :NC 전 3-1 승
한국시리즈 :KIA 전 1-4 패
20182위144930510.6469447560.3091601191964.98한국시리즈 :SK 전 2-4 패김재환(최)
20191위144881550.6157365500.2781364841403.51한국시리즈 :키움 전 4-0 승조쉬 린드블럼(최)
20202위144794610.5648166950.2931477125884.31준플레이오프 :LG 전 2-0 승
플레이오프 :kt 전 3-1 승
한국시리즈 :NC 전 2-4 패
20212위144718650.5227386560.2681314110814.26와일드카드 결정전 :키움 전 1-1 승
준플레이오프 :LG 전 2-1 승
플레이오프 :삼성 전 2-0 승
한국시리즈 :kt 전 0-4 패
20229위144602820.423630711
20235위144742680.521와일드카드 결정전 :NC 전 0-1 패
20244위144742680.521와일드카드 결정전 :kt 전 0-2패
20259위144616770.442
OB/두산 베어스43시즌5635287211626470.52024448229660.27047524384944143.99한국시리즈 우승 6회


  • 시즌 기록 중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빨간 글씨는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고 기록

타이틀

[편집]

정규 시즌

[편집]
타이틀이름연도구단상세
출장(타자)허경민
김재환
페르난데스
페르난데스
2016
2017
2019
2020
두산 베어스144
타석페르난데스2020두산 베어스668
타수페르난데스2020두산 베어스586
득점김재환2017두산 베어스110
안타페르난데스2020두산 베어스199
2루타박건우2017
2020
두산 베어스40
3루타이종욱2007두산 베어스12
홈런김재환2018두산 베어스44
그라운드홈런정수근2000두산 베어스2
루타김재환2018두산 베어스346
장타김재환2018두산 베어스81
타점김재환2018두산 베어스133
순수타점김현수2015두산 베어스93
도루조수행2024두산 베어스64
볼넷김현수2015두산 베어스101
사구양의지2015두산 베어스24
고의4구김형석
김현수
1991
2015
OB 베어스
두산 베어스
12
희생번트김광수1991OB 베어스29
희생플라이김동주1998OB 베어스16
타율박건우2017두산 베어스0.366
출루율심재학2001두산 베어스0.473
장타율김재환2018두산 베어스0.657
OPS심재학2001두산 베어스1.072
wRC+김현수2008두산 베어스191.3
타자 WAR김현수2009두산 베어스7.37
공격 WAR김현수2008두산 베어스8.48
수비 WAR김민호1998OB 베어스1.69
삼진 확률박종훈1985OB 베어스4.1
볼넷 확률심재학2001두산 베어스18.3
BB/K윤동균1984OB 베어스2.22
BABIP오재원2018두산 베어스0.390
순장타율김재환2018두산 베어스0.323
순출루율강영수1992OB 베어스0.136
호타준족 지수박건우2017두산 베어스20.00
인플레이 타구페르난데스2020두산 베어스534
출장(투수)차명주2001두산 베어스84
선발등판리오스2006
2007
두산 베어스33
구원등판차명주2001두산 베어스84
마무리등판진필중1999두산 베어스68
완투장호연1992OB 베어스17
완봉김상진1995OB 베어스8
다승박철순1982OB 베어스24
선발승리오스2007두산 베어스22
구원승진필중1999두산 베어스16
승률알칸타라2020두산 베어스0.909
세이브진필중2000두산 베어스42
홀드이재우2005두산 베어스28
이닝리오스2007두산 베어스234.2
선발이닝리오스2007두산 베어스234.2
구원이닝윤석환1984OB 베어스128
상대한 타자 수리오스2007두산 베어스947
탈삼진미란다2021두산 베어스225
평균자책점김경원1993OB 베어스1.11
선발 ERA박철순1982OB 베어스1.65
WHIP박철순1982OB 베어스0.97
K/9미란다2021두산 베어스11.66
BB/9린드블럼2019두산 베어스1.34
K/BB린드블럼2019두산 베어스6.52
피홈런/9최일언1988OB 베어스0.00
피BABIP최일언1986OB 베어스0.213
잔루율김경원1993OB 베어스90.0
피안타율김경원1993OB 베어스0.180
피출루율박철순
린드블럼
1982
2019
OB 베어스
두산 베어스
0.259
투수 WAR박철순1982OB 베어스9.41
선발 WAR리오스2007두산 베어스8.19
구원 WAR진필중1999두산 베어스5.35
파워-기교 지수미란다2021두산 베어스1.66
논인플레이 타석%미란다2021두산 베어스42.2
사이영 포인트박철순1982OB 베어스101.1
출장(야수)허경민2016두산 베어스142
선발(야수)허경민2016두산 베어스140

포스트시즌

[편집]
타이틀이름연도구단상세
출장(타자)김재호
김현수
오재일
이종욱
정수빈
최준석
2013두산 베어스15
타석이종욱2013두산 베어스68
타수이종욱2013두산 베어스59
득점정수근2001두산 베어스14
안타허경민2015두산 베어스23
2루타페르난데스2021두산 베어스6
3루타이명수
정수근
1993
2000
OB 베어스
두산 베어스
2
홈런우즈
최준석
오재일
2001
2013
2017
두산 베어스6
루타오재일2017두산 베어스34
타점오재일
페르난데스
2017
2021
두산 베어스15
도루김민호
정수근
1995
2000
OB 베어스
두산 베어스
6
볼넷우즈
김현수
2000
2015
두산 베어스11
사구홍성흔
오재원
임재철
김재호
허경민
류지혁
정수빈
최주환
허경민
2001
2010
2010
2015
2015
2017
2020
2020
2020
두산 베어스3
고의4구김동주2009두산 베어스3
희생번트정수빈2013두산 베어스5
희생플라이우즈
고영민
홍성흔
양의지
양의지
오재원
2001
2008
2008
2013
2015
2015
두산 베어스2
상대한 투구 수이종욱2013두산 베어스264
출장(투수)윤명준2013두산 베어스11
선발등판조계현
구자운
유희관
2000
2001
2013
두산 베어스5
다승박명환
이혜천
정재훈
니퍼트
장원준
이영하
2000
2001
2008
2015
2015
2021
두산 베어스3
세이브진필중
이현승
2001
2015
두산 베어스4
홀드고창성
김창훈
이승진
2010
2012
2020
두산 베어스3
이닝니퍼트2015두산 베어스32.1
상대한 타자 수니퍼트
유희관
2013두산 베어스122
상대한 타수니퍼트2015두산 베어스108
탈삼진플렉센2020두산 베어스32
투구 수니퍼트2013두산 베어스471

올스타전

[편집]
타이틀이름연도구단상세
출장(타자)신경식
윤동균
김우열
윤동균
김우열
한대화
박종훈
신경식
김광수
윤동균
김우열
조범현
박종훈
1982
1982
1982
1984
1984
1984
1984
1985
1985
1985
1985
1985
1985
OB 베어스3
타석윤동균1982OB 베어스14
타수신경식1985OB 베어스13
득점윤동균
심정수
우즈
민병헌
1982
2000
2001
2016
OB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3
안타신경식1985OB 베어스7
2루타신경식1985OB 베어스3
홈런심정수2000두산 베어스3
루타심정수2000두산 베어스15
타점심정수2000두산 베어스4
도루구천서
신경식
양세종
김상호
우즈
정수근
이종욱
오재원
류지혁
1982
1982
1982
1990
2001
2002
2007
2018
2019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1
볼넷윤동균1982OB 베어스4
사구김상호
김동주
1990
2007
OB 베어스
두산 베어스
1
희생번트구천서1982OB 베어스1
희생플라이신경식
한대화
김우열
김경문
김상호
안경현
양의지
1983
1984
1985
1987
1990
1997
2016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두산 베어스
1
출장(투수)박철순1982OB 베어스3
선발등판박철순
선우대영
계형철
계형철
윤석환
김진욱
장호연
김상진
김상진
김상진
박명환
유희관
니퍼트
니퍼트
린드블럼
1982
1982
1984
1985
1988
1989
1992
1995
1996
1997
2004
2015
2016
2017
2018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1
다승선우대영
황태환
계형철
계형철
박철순
이경필
이혜천
정재훈
이용찬
홍상삼
오현택
유희관
니퍼트
1982
1983
1984
1985
1991
1999
2005
2007
2010
2012
2013
2015
2017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OB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1
세이브계형철
정재훈
1988
2005
OB 베어스
두산 베어스
1
홀드박명환
랜들
이용찬
프록터
2002
2006
2012
2012
두산 베어스1
이닝박철순1982OB 베어스8.2
상대한 타자 수박철순1982OB 베어스36
상대한 타수박철순1982OB 베어스34
탈삼진박철순1982OB 베어스5
투구 수박철순1982OB 베어스113

시범 경기

[편집]
타이틀이름연도구단상세
출장(타자)정수빈2016두산 베어스16
타석정수빈2016두산 베어스59
타수정수빈2016두산 베어스51
득점민병헌
에반스
2015
2016
두산 베어스11
안타최주환2016두산 베어스17
2루타김현수
김대한
2015
2023
두산 베어스6
3루타정수빈2015두산 베어스3
홈런오재일2016두산 베어스4
루타오재일2016두산 베어스25
타점오재일2016두산 베어스12
도루정수빈2016두산 베어스5
볼넷박건우
김인태
2017
2024
두산 베어스8
사구민병헌
박세혁
허경민
2015
2016
2022
두산 베어스4
고의4구홍성흔
박건우
최재훈
2015
2017
2017
두산 베어스1
희생번트김재호
박세혁
조수행
박유연
장승현
2015
2017
2021
2023
2023
두산 베어스1
희생플라이김재환2022두산 베어스3
상대한 투구 수정수빈2016두산 베어스194
출장(투수)이병헌2023두산 베어스8
선발등판장원준
니퍼트
유희관
2015
2016
2016
두산 베어스4
다승장원준
유희관
알칸타라
2015
2016
2024
두산 베어스2
세이브이현승
정철원
2016
2024
두산 베어스3
홀드김명신
박치국
최대성
이병헌
최종인
2017
2017
2019
2023
2024
두산 베어스3
이닝유희관2016두산 베어스17
상대한 타자 수니퍼트2016두산 베어스82
상대한 타수니퍼트2016두산 베어스75
탈삼진보우덴2016두산 베어스17
투구 수니퍼트2016두산 베어스30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박세운 (2016년 9월 13일).“20승 달성한 니퍼트, 박철순과 이상훈 기록 넘었다”. 노컷뉴스. 2020년 8월 10일에 확인함. 
  2. 안준철 (2016년 9월 27일).“이제는 기록…니퍼트, 리오스 넘어 MVP 향한다”. MK스포츠. 2020년 8월 10일에 확인함. 
  3. 윤득헌 (1983년 10월 15일).“OB,日(일)코치 초청 타격연슴”. 동아일보. 2020년 10월 28일에 확인함. 
  4. 김종건 전문기자 (2013년 1월 12일).“[김종건의 Let’s Go Baseball] LG 구단주 “미국으로 전훈 가지 마!””. 스포츠동아. 2020년 10월 28일에 확인함. 
  5. 배영은 (2016년 2월 2일).“아웃사이드 파크 - 역대 스프링캠프 풍경 속으로”. 일요신문. 2020년 10월 28일에 확인함. 
  6. 상게서, 149쪽
  7. 상게서, 155쪽
  8. 상게서, 157쪽
  9. 상게서, 187쪽
  10. 상게서, 199쪽
  11. 상게서, 183쪽
  12. “OB이광환감독 전격교체”. 중앙일보. 1990년 6월 19일. 2020년 8월 9일에 확인함. 
  13. 권오중 (1990년 10월 14일).“올 시즌 하위 3개팀 태평양·롯데·OB 코칭 스태프 물갈이로 "재정비". 중앙일보. 2020년 8월 9일에 확인함. 
  14. 상게서, 184쪽
  15. 상게서, 185쪽
  16. 정의길 (1991년 4월 4일).“91프로야구 카운트다운 (중) 하위 4팀 싸움에 쌍방울 최대변수”. 한겨레신문. 2020년 8월 9일에 확인함. 
  17. 상게서, 212쪽
  18. 상게서, 213쪽
  19. 상게서, 214쪽
  20. 상게서, 215쪽
  21. 상게서, 216쪽
  22. 상게서, 217쪽
  23. 상게서, 218쪽
  24. 상게서, 223쪽
  25. 상게서, 233쪽
  26. 상게서, 225쪽
  27. 상게서, 230쪽
  28. 상게서, 245쪽
  29. 상게서, 246쪽
  30. 상게서, 257쪽
  31. 상게서, 258쪽
  32. 상게서, 260쪽
  33. 상게서, 261쪽
  34. 상게서, 262쪽
  35. 상게서, 263쪽
  36. 상게서, 264쪽
  37. 정연석 (2001년 12월 2일).“삼성 김기태 `SK 간다`”. 일간스포츠. 2020년 8월 10일에 확인함. 
  38. “두산, 선동열씨 감독영입 추진”.YTN. 2003년 9월 30일. 2010년 11월 21일에 확인함. 
  39. “2003년 프로야구의 ‘케빈 베이컨 놀이’”.스포츠서울. 2007년 10월 22일. 2011년 10월 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0. 정환수 (2004년 10월 10일).“[프로야구]두산, 기아에 파죽의 2연승”.동아일보. 2011년 11월 21일에 확인함. 
  41. 상게서, 250쪽
  42. “김동주 어깨부상…정성훈으로 대체”.YTN. 2006년 3월 3일. 2011년 11월 21일에 확인함. 
  43. 안준철 (2016년 9월 27일).“이제는 기록…니퍼트, 리오스 넘어 MVP 향한다”. MK스포츠. 2020년 8월 10일에 확인함. 
  44. 상게서, 277쪽
  45. 상게서, 278쪽
  46. 구경백 (2004년 7월 28일).“<구경백의 프로야구 산책>할인·이벤트로 관중 불러라”.문화일보. 2009년 5월 26일에 확인함. 
  47. 이정호 (2009년 2월 27일).“두산, 2009시즌 여성팬 위한 '퀸스데이' 이벤트 실시”.마이데일리. 2009년 5월 29일에 확인함. 
  48. 홍윤표 (2006년 12월 4일).“홍윤표의 휘뚜루 마뚜루 - 등번호가 뭐길래 ①선동렬이 18번을 달게 된 사연”.OSEN. 2009년 5월 31일에 확인함. 
  49. 투신자살을 안타깝게 여겨 추모 차원에서 영구결번을 결정.
  50. 정수익 (2002년 4월 5일).“[프로야구 개막전 표정] 김종훈 첫 병살타… 박정환 실책 불명예”.국민일보. 2009년 5월 31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 김은식 (2010). 《두산 베어스 때문에 산다》. 브레인스토어.ISBN 978-89-94194-13-4.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꺾쇠표= (도움말)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두산 베어스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구단
경기장
훈련장
영구 결번
시즌 (44)
우승 (6)
웹사이트:doosanbears.com
현재 참가 구단
과거 참가 구단
시즌
올스타 게임
관련 단체
관련 항목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서울특별시의 프로스포츠팀
야구
KBO 리그
축구
K리그1
K리그2
농구
KBL
배구
V-리그 남자부
V-리그 여자부
계열사
지주회사
  • (주)두산 전자
  • (주)두산 유통
  • (주)두산 디지털이노베이션
계열사
매각·분리·통합·합병·해산·청산
부속기관
인물
사옥
관련 항목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두산_베어스&oldid=40921177"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