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데본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실루리아기데본기석탄기

419.2 – 358.9 백만년 전

평균O2 농도약 20 Vol %[1]
(현재의 100 %)
평균 대기CO2 농도약 2500ppm[2]
(산업 시대 이전의 9배)
평균 표면 온도약 20 °C[3]
(현재보다 6 °C 높음)
백만년전
석탄기미시시피기투르네절이후
데본기후기파멘절359.2–372.2
프랜절372.2–382.7
중기지베절382.7–387.7
아이펠절387.7–393.3
전기엠스절393.3–407.6
프라하절407.6–410.8
로흐코프절410.8–419.2
실루리아기프리돌리세이전
IUGS의 데본기 시대 구분.

데본기(Devonian Period)는고생대 6개 기 중 네번째 기이며, 4억 1920만년에서 3억 5920만년까지 시기이다. 실루리아기 이후, 석탄기 이전 시기이다. 그 이름은 이 시기 암석을 처음으로 연구한잉글랜드데번주에서 유래하였다.

고기후

[편집]

데본기삼림과 산호화석이 북위와 남위 70도까지 분포해 있으며, 전반적으로 매우 온난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데본기 후기에 이르자 삼림과 산호화석이 북위와 남위 35도까지로 분포가 축소된다. 이것 때문에 점차 한랭해지기 시작했다고 추측한다. 데본기 평균산소 농도는 현재와 같고,이산화 탄소 농도는 2500ppm으로 현재 400ppm보다 6.25배가량 높고, 표면 온도는 20도로 현재 15도보다 5도가량 높다.

고지리

[편집]

데본기에는남반구곤드와나 초대륙과 북반구의시베리아대륙, 그리고적도 근처에 있는유라메리카대륙이 만나기 시작하여서페름기에 형성된초대륙판게아가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동 시대에서는칼레도니아 조산운동이 발생한다.

고생물

[편집]

데본기 동안어류에 다리가 생겨서 달리기 시작했고 육상에 올라와양서류로 진화했으며,과 같은 원시곤충,육각아문,거미가 육지에 나타나기 시작했다.겉씨식물은 건조한 육지로 뻗어나가며 대삼림을 형성했다.바다에서는 어류가 진화하여상어,총기어류 (실러캔스 종류),경골어류가 출현하였다. 또한암모나이트가 나타났으며 이 시기까지도삼엽충,완족동물, 대산호초가 번성했다. 데본기 후기의 멸종사건은 해양 생물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각주

[편집]
  1. 그림:Sauerstoffgehalt-1000mj.svg
  2. 그림:Phanerozoic Carbon Dioxide.png
  3. 그림:All palaeotemps.png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데본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신생대
(현재–66.0 Mya)
제4기(현재–2.58 Mya)
신진기(2.58–23.03 Mya)
고진기(23.03–66.0 Mya)
중생대
(66.0–252.17 Mya)
백악기(66.0–145.0 Mya)
쥐라기(145.0–201.3 Mya)
트라이아스기(201.3–252.17 Mya)
고생대
(252.17–541.0 Mya)
페름기(252.17–298.9 Mya)
석탄기(298.9–358.9 Mya)
데본기(358.9–419.2 Mya)
실루리아기(419.2–443.8 Mya)
오르도비스기(443.8–485.4 Mya)
캄브리아기(485.4–541.0 Mya)
원생누대(541.0 Mya–2.5 Gya)
시생누대(2.5–4 Gya)
명왕누대(4–4.567 Gya)
 
kya = 1000년 전, Mya = 100만년 전, Gya = 10억년 전.
Source:(2015/01).국제층서위원회. 2015년 7월 13일에 확인함.Divisions of Geologic Time—Major Chronostratigraphic and Geochronologic Units USGS 2013년 3월 10일에 확인함.
국가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데본기&oldid=39039399"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