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Korean Air 대한항공의보잉 777-300ER 창립일 1969년 3월 1일 허브 공항 제2 허브 공항 거점 도시 동맹체 상용고객 우대제도 스카이패스 VIP 라운지 KAL 라운지 보유 항공기 160대[ 1] 취항지 수 43개국 121개 도시[ 1] 슬로건 Anywhere is Possible 본사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260핵심 인물 자본금 1,847,058,095,000원 (2022.12) 매출액 14,203,624,640,301원 (2022) 영업 이익 3,037,668,632,826원 (2022) 순이익 1,859,582,033,232원 (2022) 자산 총액 29,324,703,184,202원 (2022.12) 모기업 한진그룹 자회사 웹사이트 www.koreanair.com
대한항공 (大韓航空,영어 :Korean Airlines CO., LTD. , KAL)은대한민국 국적의항공사 이며,항공 동맹체 인스카이팀 의 창립 항공사로인천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과김포국제공항 을허브 공항 으로 두고 있다.
대한항공은대한민국 의운송 전문기업집단 인한진그룹 계열이며,1969년 민영화와 함께 계열로 편입됐다. 코스피 상장 기업(한국 :003490 )이며,2023년 현재 회사 규모는 시가총액 8조 4,507억 정도다.
대한민국 의 최대 규모항공사 이자 국내 항공사들 중 유일하게일등석 을 운영하는 항공사다.2020년 기준 44개국 127개 도시에 항공망을 연결하고 있으며, 또한 세계 3대 항공 동맹체 가운데 하나인스카이팀 의 창립 멤버로델타 항공 ,에어 프랑스 ,아에로멕시코 등과 함께 동맹의 창립을 주도했다.스카이팀 소속 항공사 가운데 대한항공의 영향력은 큰 편이며, 특히 동아시아 지역에서 그 위상이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2008년 국내외에서저비용 항공사 의 수요가 늘어나면서진에어 를 설립하였으며 현재아시아나항공 과 인수합병을 진행 중이다.
1929년 ,신용욱 이 조선비행학교를 설립함으로써 태동하였다. 이후 조선비행학교는1936년 10월 에 조선항공사업사로 명칭을 바꾸면서 정기 운항을 시작하였다. 해방 이후 조선항공사업사는 미 군정의 허가를 받아1946년 3월 1일 대한국민항공 (영어 :Korea National Airlines )(1948년 10월 까지는 대한국제항공사)로 이름을 바꾸고 영업을 재개하였다. 그러나 수요 급감과 환율 상승으로 인한 운영상의 어려움,신용욱 의 투신자살로 도산 위기에 처했으나1962년 대한민국 정부 가 출자하여대한국민항공 을 인수,대한항공공사 (大韓航空公社)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부채와 누적 적자가 무려 27억 원에 달하는 등 만성적인 경영난에 시달리게 되어 민영화를 추진하게 됐고,1969년 3월 1일 ,인천 거점의 운송전문 기업인한진상사 에서대한항공공사 의 부채를 떠안는 조건으로 14억 5,300만 원에 인수하는 동시에 민영화되어 현재의 대한항공으로 발족했다.[ 3] 당시대한항공공사 는 제트기로는DC-9 기 1대, 프로펠러기로는 당시로서는 노후한DC-3 기 2대,DC-4 기 1대,F-27 기 2대, FC-27 2대로 총 8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4] . 민영화 초기, 노후 항공기 처분 계획과 전 노선 제트기 운영화를 목적으로 프로펠러기를 모두 처분하려 했으나 노후 항공기였던 DC-3 4기와 FC-27기만 퇴역하였으며, F-27기의 경우 오히려 3대 더 도입하여 국내선에 투입하였다.[ 5] 또한 국내선과 단거리용으로일본 에서YS-11 기를 도입하여[ 5] 1976년 까지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에 운영하였다.
1969년 에 민영화된 대한항공은보잉 720 항공기를 도입하여[ 5] 단거리 국제선 노선에 투입, 제트기 시대를 열었다.보잉 707 항공기는1970년 까지 대한항공의 유일한 제트기로서 역할을 해냈으며 같은 해 최초로 국제선 노선을 취항하였다. 또한 이 기간 동안에 대한항공은 3대의보잉 707 화물기를 도입해 수익 창출을 다각화하였다.1971년 에는보잉 707 을 도입함으로써[ 6] ,1972년 까지보잉 727 항공기와 단 1대의보잉 707 항공기로 노선 전역을 커버하였다.1971년 3월 26일 에는 새로운 항공협정을 통해호놀룰루 와로스앤젤레스 의 운항권을 획득하였고 이 노선은 현재까지도 대한항공의 주력 노선으로 운항하고 있으며, 편명대는 KE0** 번대로 운항한다. 이 노선의 효과적 운용을 위해 당시 사장이었던조중훈 은보잉 747 도입을 결정하여1972년 10월 18일 에보잉 747-2B5 (B5는 대한항공에서 도입하는 보잉사의 항공기의 고객코드이다.)의 도입을 확정 지었다. 그리고1973년 5월 2일 에보잉 747-2B5B (HL7410)융비호 항공기를 도입했다.[ 7]
퇴역한 대한항공의보잉 747SP 구도색 미주 노선이 안정화되면서 대한항공은유럽 노선 개척에 힘을 썼다. 이를 위해엑조세 미사일 도입건과 함께 체결된에어버스 여객기의 패키지 주문에 따라A300 항공기를유럽 이외 지역에서 아시아 국가 중 최초로 발주했으며[ 8] 적극적인 영업 활동을 하면서 화물 노선에 취항 후 여객 노선에 취항하였다. 미주 노선과 마찬가지로 당시국제 정서상 소련 영공을 통과하지 못해 거꾸로미국 알래스카주 의테드 스티븐스 앵커리지 국제공항 에서 중간 기착 및 급유를 마친 후 다시 운항하였으며,앵커리지 에서북극 을 통해영국 ,프랑스 등을 연결하였다. 앵커리지로 가는 항공편마저도북한 ,소련 영공을 우회하기 위해일본 도호쿠 지방 (야마가타현 ,미야기현 ) 방향으로 우회하여 운항하였다.조중훈 전 회장은에어버스 여객기의 유럽 외 지역의 판로를 개척했다는 공로로1990년 프랑스 정부 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 중 2등급인 그랑도피시에를 받는다.[ 9]
1980년 초에 새 항공기 CI를 위한 공모를 하였으나 적절한 작품을 찾지 못한 뒤보잉 과 공동으로 작업한 하늘색 바탕의 은색띠 그리고 볼드체의 영문KOREAN AIR 와대한민국 의 전통 태극무늬와 추진적인 프로펠러 이미지를 합친 새 CI를 구상하였다. 새로운 CI는 한글과 한자로 된 부분이 현저하게 줄었는데, 이는 대한항공의 인지도 상승을 위함이었다. 이 새로운 CI는1984년 3월 1일 에 적용되었고 신규 CI는 같은 년도에 도입된 포커 28 항공기와보잉 747-300B [ 10] 부터 적용되어 점차 확대, 적용되었다.한편,1977년 3월 같은 그룹(한진그룹) 학원인인하대학교 가 야구부를 창단하자 이들 대학선수를 처음 배출하는1981년 실업팀을 창단할 예정이었으나[ 11] 같은 해 말 프로야구의 출범 때문에 좌절됐으며 이외에도1984년 프로축구단으로 전향시켰지만 대한축구협회의 주먹구구식 행정에 불만이 쌓였던박태준 회장이 국가대표팀 차출 중이었던최순호 와박경훈 의 소속팀 복귀를 대한축구협회가 승낙하였다가 이에 번복하자 이를 계기로 폭발하여1984년 시즌 개막을 이틀 앞둔3월 28일 슈퍼리그 참가 철회와 구단 해체를 결정한포항제철 축구단 의 해체설 당시 인수 물망에[ 12] 검토됐다.
1987년 2월 27일 , 기존의맥도넬더글러스 DC-10 항공기를 대체하기 위해맥도넬더글러스 MD-11 의 계약을 체결하였다.[ 13] 그러나맥도넬더글러스 MD-11 의 계약성능 미달 문제와 당시보잉 과맥도넬더글러스 의 합병으로 이 항공기의 유지비가 오를 것으로 전망되어2003년 에 전량 퇴역하였는데 퇴역하기 직전에 이 기종은 대부분 화물기로 개조되어 운항하였다. 또한맥도넬더글러스 MD-11 은 여러 가지 사건과 사고가 있었는데 그 중 대표적인 2가지는2002년 에시드니 국제공항 에서콴타스 항공 소속 지상조업자의 부주의로 일어난 사고와[ 14] 상하이 홍차오 국제공항 에서 실속으로 추락한 사고였다.[ 15]
1997년 부터보잉 777 과에어버스 A330 을 도입하기 시작해 기존맥도넬더글러스 MD-11 의 공백으로 생긴 200석에서 300석 규모의 장거리 기체를 보완하기 시작했다.[ 16] [ 17] 2000년 에스카이팀 에 창립 회원사로 가입하였으며[ 7] 보잉 777 이 도입되면서 구형보잉 747-400 여객기는 화물기로 개조되었으며[ 18]
2007년 에저비용 항공사 가 늘어 나면서 자체저비용 항공사 를 설립하기로 하였고 이름은진에어 로 확정되어[ 19] 현재 11개 도시에 운영 중이며,2010년 에블리자드 게임 회사와 협력 하면서보잉 747-400 기와보잉 737-900 기에스타크래프트 2 CI를 적용했다.[ 20] 에어버스 A220-300 ,에어버스 A380-800 ,보잉 787-9 ,보잉 747-8I ,보잉 777-300ER 을 도입하고 있다. 특히에어버스 A380-800 는 첫 운행 당시(HL7611)인천국제공항 발나리타 국제공항 노선에 투입되어 예약률이 92%로 도달했으며[ 21] 에어버스 A220-300 항공기 경우보잉 737 과 같은 비행기로프랑스 에어쇼에서 20대 옵션을 포함한 10대를 도입하기로 결정됐다.[ 22]
2011년 , 뉴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AVOD를 장착한보잉 737-900ER 을 새로 2대 도입하였으며 추가 도입한보잉 737-900ER 4대와보잉 737-800 10대에 AVOD를 장착하여 도입하였다.[ 23]
대한항공이 프랑스 에어쇼에서 A220-300을 주문하기로 하였다. 2011년 에에어버스 A220-300 을 10대 주문하였고 같은 해페루 리마 로 가는 부정기 항공편을 운항하여브라질 이외의 남미 국가를 운항하는 최초의 항공사가 되었다. 또한2012년 에 동아시아 최초로케냐 의나이로비 논스톱 직항편을 신설하였고,[ 24] 11월부터는 15년만에사우디아라비아 의리야드 ~제다 에도 정기 여객편을 투입하였다.[ 25] 하지만 석유 가격의 하락으로리야드 ~제다 노선은 무기한 단항하게 되었고 에볼라 바이러스의 여파로나이로비 노선은 휴항하였다가2015년 7월에 완전히 단항되었다.
2013년 4월 10일 국영항공사 인체코항공 의 지본 44%를 인수하여체코항공 의 2대 주주가 되었다,8월 1일 에는 투자사업 부문을주식회사 한진칼 로 분할하였으며,12월 19일 대한항공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현재 800%에 달하는 부채율을 400%대까지 줄이기 위해S-oil 지분 3,000만 주를 매각하고 연비효율이 좋지 않은보잉 747-400 ,보잉 777-200ER 항공기 15대를 매각하기로 하였다.[ 26] 2013년 12월 10일 체코항공 의 1대주주로 승격되었다.
2017년 2월 24일 에는 첫번째보잉 787-9 를 인도받았으며6월 24일 ,델타 항공 과조인트 벤처 협정을 타결하였다.[ 27] 6월 28일 에는 기내에서 음주, 폭행이나 폭언 등으로 항공 안전을 방해하는 승객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또는 영구히 탑승을 거부하는 제도인노플라이 제도 , 일명 'KE 노플라이' 제도를 국내 항공사 최초로 도입했다. 탑승 거부 대상은 신체 접촉을 수반한 폭력 행위, 성추행 등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야기하는 행위, 지속적인 업무 방해 등 형사처벌 대상 행위의 전력이 있는 승객이다.[ 28] 12월 25일 에는 아시아 국가로서는 첫번째로에어버스 A220-300 을 인도받았다.
2018년 1월 18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개장에 따라 기존 제1터미널에서 제2터미널로 이전하였으며1월 20일 ,에어버스 A220-300 운항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2월 5일 세계적인 항공화물 IT 서비스 업체 IBS와 차세대 항공화물시스템 ‘iCargo’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29] 2018년 2월 15일 부터 미국행 탑승객을 대상으로 출국 인터뷰 실시 등 탑승보안절차를 강화하였다.[ 30]
2020년 ,2월 14일 , 다양한 승객들의 수요 충족을 위하여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영상 콘텐츠를 대폭 보강함과 동시에 편리한 이용을 위해 업그레이드 하였다. 60여편이 제공되는 영화를 연내 400여편으로 늘이고, 할리우드 고전 영화 및 어린이 영화, 중국 영화, 일본 영화, 한국 고전 영화를 추가하였고, 3월부터 인도 영화를 추가한다. 또한, 단편물 콘텐츠인 드라마, 다큐멘터리를 비롯한 9개 장르 80여편의 프로그램을 9월부터 약 260편까지 추가할 예정이다.[ 31] 같은 해8월 25일 , 대한항공은 자금 확보의 계획으로 한앤컴퍼니와 기내식사업부, 면세사업부에 대한 매각을 9,906억원 규모대로 체결하였다.[ 32] 11월 29일 , 추가 자금확보를 위해 자회사인 왕산레저개발 역시 매각하기로 하였으며 약 1,300억원에 매각될 예정이다.[ 33]
2020년 11월 17일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는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를 공식 확정하였으며아시아나항공 의 채권단인한국산업은행 이 대한항공 모회사인한진칼 에 5,000억원을 투입하고, 3,000억원 규모의 교환사채를 인수해한진칼 이 대한항공의 2조 5,000억원 유상증자에 참여하고 대한항공은 총 1조 8,000억원을 들여 아시아나항공의 신주(1조 5,000억원)와 영구채(3,000억원)를 인수해 지분 63.9%을 취득하는 방안으로 그 이후 장기적으로아시아나항공 과 통합을 발표했다.[ 34] [ 35]
같은 해12월 10일 , 대한항공은 세계적인 항공 서비스 컨설팅 기관인스카이트랙스 로부터 5성급 항공사로 선정되었는데 좌석 편안함, 다채로운 AVOD 서비스, 다양한 기내식 및 와인 구성도 등 대한항공만의 차별화된 서비스가 평가의 주요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36]
지난2019년 ,코로나19 팬데믹 에 따라 항공 여객수요가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대한항공은 항공화물수요 증가의 흐름에 따라 여객기의 좌석을 탈거, 화물 수송기로 운행하는 등 다양한 항공 화물 수송전략을 펼친 결과 4,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였다.[ 37] 2022년 새로운 유니폼을 공개한다고 선언하였으며, 신기종인에어버스 A321neo 기종의 좌석도 새롭게 탈바꿈 하였다.
인터라인 협정은 복수의 항공사가 각각 운항하는 노선을 하나의 티켓에 연계 판매하는 제휴 형태의 협정으로2023년 1월 기준으로 대한항공과 인터라인 협정을 체결한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 대한항공도쿄(나리타) -인천 기내식 기내식 으로는한식 과양식 이 주를 이룬다.비빔밥 이 일반석 기내식의 대표적인 음식이며 이외에도 새로 도입한 낙지덮밥, 낙지소면과 기존메뉴인 저칼로리 국수, 매운 닭스튜, 한식해물찜 등이 있다[ 50] 특별기내식으로는 해물식, 과일식, 저염식, 당뇨식, 채식주의자식, 이슬람식, 힌두교식 등 20가지가 넘는 다양한 특별기내식 에다,어린이 기내식 도 있으며 모두인터넷 으로 예약이 가능하다. 한때는허니문 여행 및생일 을 기념하기 위해케이크 하고샴페인 서비스도 제공하였지만, 수익성이 떨어지는 바람에 2019년 7월 1일 부로 본 서비스는 폐지되었다.[ 51] , 프레스티지석 이상의 좌석에서는 스낵으로라면 을 주문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잦은난기류 로 인하여 폐지되었다.
퍼스트 클래스 특선 메뉴로 제주도산 쇠고기와 닭고기 메뉴인 '제동 등심구이', '제동갈비', '제동 닭요리', '제동 삼계백숙'이 제공되었다. 현재는 한식 메뉴로 비빔밥, 도토리 묵밥, 메밀 비빔국수, 쌈밥, 고등어 조림 등이 제공된다. 메뉴는 전채, 주요리, 반찬, 후식 코스별로 제공된다. 와인으로는 프랑스 보르도, 부르고뉴, 알자스 지역의 특급 와인을 중심으로 하되, 노선에 따라 미국 캘리포니아, 이탈리아, 독일산 와인도 병행하여 제공한다.
프레스티지 클래스 일반 메뉴로 비빔밥, 고등어조림, 쌈밥, 도토리 묵밥, 메밀 비빔국수 등이 제공된다. 일등석하고 마찬가지로 와인으로는 프랑스 보르도, 론, 알자스 지역의 프리미엄 와인을 기본으로 서비스하되, 노선에 따라 캘리포니아, 이탈리아, 독일,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칠레 와인도 병행하여 제공한다.
이코노미 클래스 일반 메뉴로 비빔밥, 쌈밥, 도토리 묵밥, 비빔국수, 곤드레밥 등 한식을 주로 서비스하되, 여행 목적지를 감안해 양식, 중식, 일식 등도 병행하여 제공한다. 장거리 비행에서는 주먹밥, 컵라면, 바나나, 머핀 등의 스낵을 제공한다. 프랑스, 칠레,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생산된 와인과 세계 각지의 맥주도 주류 서비스로 제공된다.
특별 기내식 건강(각종 질병 및 특정 식품에 대한 알레르기 등), 종교, 연령 등의 이유로 정규 기내식을 못먹는 승객을 위해 제공되며, 항공기 출발 24시간 전까지 서비스센터로 전화 요청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한 사람에 한하여 탑승후 제공된다.
특별 기내식에는 유아식 및 아동식(Baby Meal), 야채식(동양, 인도, 서양 채식), 식사조절식(저지방, 저자극, 당뇨식), 종교식(이슬람, 힌두교, 유대교식), 기타 특별식(해산물, 과일, 알러지 제한식)등이 있다.
스카이 프로그램 개인용 모니터로 제공되는 주문형 프로그램. 리모컨 또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해 원하는 영화와 영상물, 음악을 이용할 수 있다.
기내 무선 AVOD 서비스 A220-300 항공기 도입을 시작으로 개인 휴대 기기로 기내 와이파이에 접속하여 대한항공의 다양한 AVOD를 탑승하는 승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개인 휴대 기기로 기내 와이파이에 접속하여 무료 기내 엔터테인먼트를 이용할 수 있다. 탑승 후 "KAL Wi-Fi'" 에 접속하면 이용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 잡지 "비욘드(Beyond)"하고기내지 인 "모닝캄(Morning Calm)"을 매월 발행하며 좌석 앞자리에 각 1부씩 비치하고 있었으나, 비욘드는 2020년 5월, 모닝캄은 6월 부로 발행이 일시 중단되었지만 현재 "모닝캄(Morning Calm)"은 다시 발행하고 있다.
클래스 좌석 간 간격 좌석 너비 등받이 젖힘 각도 LCD 모니터 크기 일등석 코스모 스위트 2.0 211 cm 61 cm (길이 203 cm) 180° 28인치 코스모 스위트 211 cm 67 cm (길이 201 cm) 180° 23인치 코스모 슬리퍼 211 cm 53 cm (길이 198 cm) 180° 17인치 프레스티지석 프레스티지 스위트 190 cm 53 cm 180° 17인치 프레스티지 슬리퍼 188 cm~203 cm 51~53 cm 180° 15.4인치 A321 프레스티지 슬리퍼 160 cm 48 cm 180° 17인치 프레스티지 플러스 152 cm 51 cm 170° 15.4인치 B737 프레스티지 102~132 cm 48~53 cm 123~132° 10.6인치 (일부 미탑재) 일반석 뉴 이코노미 81~86 cm 46 cm 118° 10.6인치~11.1인치 A321 뉴 이코노미 79~81 cm 45 cm 121° 13.3인치 이코노미 76~86 cm 44~48 cm 113~118° 9인치 (일부 미탑재)
대한항공의 일등석은 네 종류가 있으며, "코스모 스위트 2.0", "코스모 스위트", "코스모 슬리퍼 시트(코쿤형 좌석)"으로 구분된다. "코스모 스위트 2.0"시트는 "슬리퍼 시트"는 미늘창(Louver)으로 된 슬라이딩 도어를 적용하여 안에서는 밖을 볼 수 있지만 밖에서는 내부가 안보이고 좌석을 감싸고 있는 파티션의 높이를 높여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개인 룸 형식의 좌석이다,각 좌석의 제작 비용은 2억 4천만원에 달한다고 알려졌다.[ 52] "코스모 스위트"시트는 좌석 명품화의 일환으로 칸막이 설치로 프라이버시가 보장과 자유로운 독립된 개인 공간을 제공된다는 점이 장점이다. 또한 각각 좌석이 넓은 폭으로 설계되어 있어 편안하게 여행을 할 수 있다.
에어버스 A380-800 의 프레스티지석일반적으로 비즈니스석이라고 불리는 2등석은 대한항공에서는 프레스티지 클래스라고 칭해지며, 1980년대 미주노선 비즈니스 사용자를 위하여 생겨났다.네 종류의 프레스티지 석이 있으며, "프레스티지 스위트 시트", "프레스티지 슬리퍼 시트", "프레스티지 플러스 시트", "프레스티지석"으로 분류된다. "프레스티지석" 은 123도 젖혀지고 앞뒤좌석간격이 1.5미터로 넓고 편안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레스티지 플러스 시트는 2006년 새로 도입된 좌석으로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칸막이가 설치되었고 좌석이 170도까지 젖혀지며, 비행기 좌석 고급화의 일환으로 설치되었다. B777-200ER기종에서 서비스 중이다. "프레스티지 슬리퍼 시트"는 2009년부터 설치가 시작되었다. 좌석이 180도로 젖혀지고 앞뒤 간격이 기존 프레스티지석보다 36cm 더 넓다.[ 52] "프레스티지 스위트 시트"는 2014년부터 설치가 시작되었으며 기존 프레스티지석보다 LCD 모니터가 더 크고 Apex Suite사의 제품을 차용하여 창측에 앉아도 통로로 직접 접근이 가능하게 설계되었다. 2022년 신기종 A321neo에 새로운 "프레스티지석 슬리퍼"좌석이 장착되었다.
에어버스 A380-800 의 일반석대한항공 일반석의 경우 IFE(기내 엔터테인먼트)의 대표격인 개인용 디스플레이가2000년대 에 와서야 장착되어, 타 항공사에 비해 한 발 늦게 시작하였다. 하지만 AVOD 서비스로 선도격인 IFE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무마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일부 단거리노선(일본, 중국, 동남아 일부노선)에서는 이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특히에어버스 A330 기종의 경우 내부 인테리어는 바꿨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용 디스플레이는 장착하지 않았었으나,2010년 을 기점으로 개조되기 시작하였다.에어버스 A220-300 ,보잉 737 MAX 8 기종은 무선 엔터테인먼트 beyond M 을 제공한다. "뉴 이코노미"는보잉 737-900ER ,보잉 777-200ER ,보잉 777-300 ,보잉 777-300ER ,에어버스 A330-200 와에어버스 A330-300 ,에어버스 A380-800 전좌석에 장착완료되었으며 좌석 뒷면을 슬림화해 앞뒤 공간을 확보했고 등받이를 뒤로 기울일 경우 방석 부분이 앞으로 이동하도록 설계해 앞 사람의 움직임으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도록 했다.[ 52] 에어버스 A220-300 에 새로운 이코노미 플러스를 장착하였지만2019년 폐지하였다.
2013년 2월 모든 대한항공의 항공기에 새로운 CI가 적용된 시트커버로 교체하는 작업을 완료하였다. 단 단거리용 B737-800 과 B737-900, A220-300, B737 MAX 8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기종은 개인용 디스플레이 (AVOD)가 장착되어 있다.현재 국내선 그리고 일부 B737-800 과 B737-900이 투입되는 항공편을 제외하고는 모든 항공편이 AVOD 사용이 가능하다.2009년 부터 도입된 "코스모 스위트", "프레스티지 슬리퍼", "뉴 이코노미" 설치 현황과 투입 노선은좌석 등급참고 2017년 10월 부터에어버스 A220-300 기종에 "이코노미 플러스"를 설치하였으나 수익성 부족으로2019년 6월 10일 부터 이코노미 플러스를 폐지하고 이코노미석으로 모두 통일화하였다.[ 53] [ 54]
대한항공 화물 로고 현재 대한항공은보잉 과에어버스 기체를 모두 이용 중으로 협동체기는에어버스 A220 과보잉 737 Next Generation 을 운용하고 있으며,2015년 에는에어버스 A321neo 항공기를 주문했다. 초대 회장인조중훈 회장은 아시아권 최초로A300 을 도입하여에어버스 의 비유럽권 판로를 개척한 공로로 프랑스 정부에서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A380 ,B787 등의 신형 항공기들이 도입되면서보잉 747-400 은 2020년까지 순차적으로 퇴역하여보잉 747-8I 와보잉 777-300ER 항공기로 대체되었다. 또한 약 13조원을 투입하여 60여대의 신형 항공기를 주문하였는데2015년 6월 파리 에어쇼에서보잉 737 MAX 8 30대 (확정구매 30대, 옵션구매 20대)와에어버스 의A321neo 30대(확정구매 30대, 옵션구매 20대)의 100대의 항공기 도입 계약을 체결하였고2020년 부터2025년 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2018년 제주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항공사 연례 총회에서 조원태 회장은 노후된 일부에어버스 A330 ,보잉 747-400 ,보잉 777 기를 대체하기 위한 대체 기종 후보로보잉 777X 와보잉 787 드림라이너 을 유력하게 고려 중이라고 밝혔으며,에어버스 A350 XWB 도 후보 기종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55] 그리고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2019년 6월 에 열린 파리 에어 쇼에서보잉 787 드림라이너 의 추가 주문을 체결했다.[ 56]
대한항공의 퇴역 기종 기종 대수 도입 년도 퇴역 년도 대체 기종 비고 에어버스 A300B4-200 7 1975년 2003년 에어버스 A300-600R 1 현재정석비행장 에 보존, 전시 에어버스 A300B4-200F 2 1986년 2000년 에어버스 A300-600RF 에어버스 A300-600R 27 1987년 2014년 에어버스 A330 3대는 현재 예비용으로 저장 2 2006년 퇴역 후, 화물기로 개조,대한항공 카고 로 이전 1 1991년 1994년 대체 기종 없음 제주공항에 착륙 중 활주로 이탈로 전소 에어버스 A300-600RF 2 2007년 2015년 보잉 777F 에어버스 A330-200 3 1999년 2023년 보잉 787 드림라이너 6 2024년 티웨이항공 에 임차[ 100] [ 101] 에어버스 A330-300 3 1998년 2025년 보잉 787 드림라이너 1 2022년 대체 기종 없음 세부 착륙과정 중 활주로 이탈 에어버스 A380-800 3 2011년 2024년 보잉 777-9 보잉 707-320B 14 1968년 1989년 보잉 747-200B 1 1978년 대체 기종 없음 소련 무르만스크 상공서 격추 후 불시착 1 1987년 대체 기종 없음 미얀마 상공에서 폭파로 파괴 보잉 707-320C 1 1967년 1970년 보잉 707-320B 월드 에어웨이즈 임차 운항1 1976년 대체 기종 없음 메흐라바드 국제공항에서 이륙 후 추락 보잉 707-320F 6 1973년 1992년 보잉 747-200F 보잉 720 2 1969년 1976년 보잉 747SP 보잉 727-100 5 1978년 1985년 보잉 727-200 구일본항공 소속 항공기 보잉 727-200 10 1983년 1996년 보잉 737-800 구전일본공수 소속 항공기 1 1991년 대체 기종 없음 대구공항에 동체 착륙으로 손상 현재인하공업전문대학 에 보존1 1994년 대체 기종 없음 MIAT 몽골 항공 에 기증보잉 737-700/BBJ1 1 2006년 2018년 대체 기종 없음 구삼성전자 소속 보잉 737-800 2 2001년 2021년 보잉 737 MAX 8 22 2000년 2022년 자회사인진에어 로 이전 2 2006년 2021년 기번 변경후티웨이항공 에 매각 보잉 737-900 4 2001년 2023년 보잉 737 MAX 8 3 자회사인진에어 로 이전 보잉 747SP 2 1981년 1998년 보잉 777-200ER 보잉 에 매각보잉 747-200 5 1978년 2003년 보잉 747-300 2 1980년 1991년 퇴역 후, 화물기로 개조,대한항공 카고 로 이전 1 1973년 2000년 현재정석비행장 에 보존, 전시 1 1979년 1980년 대체 기종 없음 김포국제공항에서 착륙 실패로 추락, 전소 1 1979년 1983년 대체 기종 없음 사할린 상공서 소련 전투기에 의해 격추, 파괴 보잉 747-200C 1 1985년 2000년 보잉 747-300SF 1 1974년 1979년 임차 기종 월드 에어웨이스 임차 운항보잉 747-200F 7 1980년 2004년 보잉 747-400F 1 1980년 1999년 대체 기종 없음 런던 스탠스테드 공항에서 이륙 후 추락 보잉 747-200SF 2 1991년 2002년 보잉 747-400F 기존의보잉 747-200 여객기를 개조 보잉 747-300B 1 1985년 2005년 보잉 747-400 퇴역 후,오리엔트 타이 항공 에 매각. 1 1984년 1997년 대체 기종 없음 괌에서 착륙 중 추락, 파괴 보잉 747-300M 1 1988년 2000년 보잉 747-400M 퇴역 후, 화물기로 개조,대한항공 카고 로 이전 보잉 747-300SF 1 2001년 2006년 보잉 747-400BCF 기존의보잉 747-300M 여객기를 개조 보잉 747-400 17 1989년 2021년 보잉 747-8I 보잉 777-300ER 8 2009년 대체 기종 없음 퇴역 후, 화물기로 개조,대한항공 카고 로 이전 1 1996년 1998년 대체 기종 없음 착륙 중 기상악화로 활주로 이탈, 파괴 1 2001년 2010년 대체 기종 없음 과거대한민국 공군1호기 로 공군에 임차[ 102] [ 103] 보잉 747-400BCF 8 2006년 2014년 보잉 747-8F 기존의보잉 747-400 여객기를 개조 보잉 747-400ERF 4 2003년 2017년 보잉 747-8F 보잉 777F 보잉 747-400F 10 1996년 2018년 보잉 747-8F 보잉 777F 보잉 747-400M 1 1990년 2010년 보잉 777-300ER 보잉 747-8I 4 2017년 2025년 보잉 777-9 [ 104] 1 2021년 대체 기종 없음 현재대한민국 공군1호기 로 공군에 임차[ 105] [ 106] 보잉 777-200ER 9 1997년 2025년 보잉 787-9 4 2005년 2016년 대체 기종 없음 자회사인진에어 로 이전 보잉 777-300ER 1 2009년 2021년 대체 기종 없음 보잉 787-8 10 도입 취소 보잉 787-9 [ 107] [ 108] 더글러스 DC-3 1 1945년 1963년 더글러스 DC-4 1 인하대학교 에 보존1 1958년 대체 기종 없음 평택 상공에서 공중납치로 인한 납북 더글러스 DC-4 1 1945년 1963년 임차 기종 일본항공 임차 운항더글러스 DC-8-60 6 1972년 1976년 보잉 707-320B 유나이티드 항공 임차 운항더글러스 DC-9-32 2 1967년 1972년 보잉 727 록히드 L-1049 슈퍼 콘스틸레이션 4 1966년 1974년 임차 운항 정석 비행장 에 보존맥도넬더글러스 DC-10-30 5 1975년 1996년 맥도넬더글러스 MD-11 1 1977년 1989년 대체 기종 없음 리비아 트리폴리 국제공항에 착륙 중 추락 맥도넬더글러스 DC-10-30CF 1 1978년 1983년 맥도넬더글러스 MD-11 앵커리지 국제공항에 이륙과정 중 지상충돌 맥도넬더글러스 MD-11 5 1991년 1998년 에어버스 A330 퇴역 후, 화물기로 개조,대한항공 카고 로 이전 맥도넬더글러스 MD-11F 4 1995년 2005년 보잉 777F 기존의MD-11 여객기를 개조 1 1996년 1999년 대체 기종 없음 상하이에서 이륙 후 추락 맥도넬더글러스 MD-82 9 1989년 2001년 보잉 737 Next Generation 맥도넬더글러스 MD-83 6 1989년 2002년 보잉 737 Next Generation 1 1996년 1999년 대체 기종 없음 포항공항에 착륙 중 이탈, 파괴 벨 206 1 1968년 1992년 대체 기종 없음 [ 109] 봄바디어 글로벌 익스프레스 2 2011년 2017년 대체 기종 없음 구삼성전자 소속 세스나 560 Citation II 4 1995년 2021년 대체 기종 없음 유로콥터 AS-332 1 1992년 2004년 시코르스키 S-76C+ [ 110] 유로콥터 AS-365 1 1986년 2004년 [ 111] 파이퍼 PA-28 8 1989년 1992년 세스나 560 Citation II 세스나 525 Citation CJ1+ [ 112] 파이퍼 PA-34 1 1989년 1990년 [ 113] 파이퍼 PA-42 3 1990년 1995년 [ 114] 포커 F-27-200 5 1965년 1977년 포커 F-28-4000 포커 F-27-500 3 1978년 1980년 포커 F-28-4000 포커 F-27-600 1 1982년 1986년 임차 기종 포커 F-28-4000 3 1982년 1996년 보잉 737 Next Generation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에 매각1 1989년 대체 기종 없음 김포국제공항서 이륙 중 추락 포커 F-100 12 1992년 2004년 보잉 737 Next Generation 이란 항공 에 매각걸프스트림 G-IV 1 1994년 2012년 보잉 737-700/BBJ1 조중훈 전 대한항공 회장 전용기[ 115] 아구스타웨스트랜드 AW-139 2 2016년 2022년 대체 기종 없음 유로콥터 EC-135 5 2011년 2018년 아구스타웨스트랜드 AW-139 [ 116] 유로콥터 EC-155B1 2 2003년 2018년 아구스타웨스트랜드 AW-139 페어차일드 FC-27 7 불명 YS-11A-200 C-212 아비오카 1 1980년 2000년 대체 기종 없음 조종 훈련용으로 사용 후정석 비행장 에 보존, 저장 YS-11A-200 7 1969년 1976년 보잉 727 1 1969년 대체 기종 없음 강릉 상공에서 공중납치로 인한 납북
1998년 Mercury Award: Bibimbab (IFSA 수여 기내식 상 Mercury Award - 비빔밥)[ 117] 2000년 ‘Business Traveller’ No.1 Frequent Flyer Program, Economy Class (최고 마일리지 프로그램,최고 일반석 1위)[ 117] 2003년 ‘Business Traveller’ Best Cellar in the Sky (2nd consecutive year)[ 118] ATW Cargo Airline of the Year (ATW :Air Transport World 선정 최고 항공 화물 항공사)[ 118] 2004년 Business Traveller 2004 Cellars in the Sky: Best Business and First Class Wine (최고 비즈니스클래스 및 퍼스트클래스 와인 부분 1위)[ 118] 2005년 World’s top commercial airline cargo operation (IATA ranking, 1st year) 세계 항공화물 수송 1위 (IATA 집계순위)[ 118] Boeing: ‘Outstanding Dispatch Reliability’ Award (보잉사 수여 운항 신뢰도 우수상)[ 118] Airbus: ‘Operational Excellence’ Award (에어버스사 수여 ‘우수 운항상)[ 118] IOSA Certification (IATA의 항공 안전 검사) 인증 획득[ 118] 2006년 ‘PAX International’: Airline of the Year Food Services for 2006 (‘2006 아시아 우수 기내식서비스 항공사’)[ 119] Time Readers’ Travel Choice Awards 2006: No. 1 for Best First/Business Class and Best Frequent Flyer Program[ 119] ‘Overhaul and Maintenance’ MRO Asia Awards: Asia-Pacific Airline of the Year (아태지역 최고 항공사 선정)[ 119] World’s top commercial airline cargo operation (IATA ranking, 2nd year)세계 항공화물 수송 1위 (IATA 집계순위, 2년 연속)[ 119] UK’s Priority Pass: Korean Air Lounge at Incheon Airport No.1 in Asia Pacific (영국 Priority Pass사 선정 아태지역 최고 라운지)[ 119] Mercury Award: Bibimguksoo (Spicy Korean Noodles)(IFSA 수여 기내식 상 Mercury Award - 비빔국수)[ 119] Airbus: A330 Operational Excellence Award (Airbus사 수여 A330 최우수 운항상)[ 119] ATW Phoenix Award (항공월간지 ATW 수여 Phoenix상 - 21세기 들어 가장 성공적인 변신을 이룩한 항공사에 수여하는 상)[ 119] 2007년 U.S Business Traveler, Asia Pacific‘s Best Business class awards (美 비즈니스 트래블러, 아태지역 최고 비즈니스 클래스상)[ 119] U.K Business Traveler, Took the first ranking in Business class white wine (英 비즈니스 트래블러, 비즈니스 클래스 화이트 와인 부문 1위)[ 119] Mercury Awards: Gold Medal for On-Board Service Air (머큐리상: 기내 서비스 부문 금상)[ 119] U.K. OAG ‘Airline of the Year’: Best Economy Class Award (英 OAG ‘올해의 항공사상’: 최우수 이코노미 클래스 상)[ 119] U.S BoeingCompany: ‘Best Business Partner’ Award (美 보잉社: ‘최우수 사업파트너’상)[ 119] Skytrax World Airline Awards: Best Economy Class (Skytrax 社 최우수 이코노미클래스(Best Economy Class) 운영 항공사)[ 119] World Airline Entertainment Association’s (WAEA) 2007 Avion Awards‘Best Achievement in In Flight Entertainment’ Top 3[ 119] 2007 Readers’ Choice Travel Survey: ‘Best Airline in Asia’(여행월간지 Business Traveler 아시아 최고 항공사 상)[ 119] Best Transpacific Business Class’(아시아행/태평양노선 최고 비즈니스클래스 상)[ 119] 2008년 美 ‘인사이드 플라이어’誌 주관 ‘프레디 어워드’ 2개 부문 수상(베스트 회원 커뮤니케이션’ 부문, 베스트 고객 서비스’ 부문)[ 119] Business Traveller '(비지니스 클래스 부분) 태평양 횡단노선 운용 항공사 중 최고 항공사' '최고의 아시아 항공사' 등[ 119] 2009년 World Traveller 선정 '중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외국 항공사'[ 119] PAX Readership Awards '2009 글로벌 어워드 대상'[ 119] TTG Travel Award '올해의 북아시아 항공사'[ 119] 2011년 일본 능률협회 선정 '글로벌 고객만족도(GCSI)' 항공 여객 운송서비스 부문 1위 한국 HRD 협회 선정 '인적자원개발 경영종합대상(Best HRD Award)' 수상 (4년 연속)[ 119] 중국 '월드 트래블러' 誌 주관 '2011 월드 트래블 어워드' 최고 기내식 항공사 선정 중국 여행전문지 ‘내셔널 지오그래픽 트래블러 시상식에서 동북아 최고 항공사 선정[ 120] 대한항공, 한국광고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브랜드' 선정[ 121] 대한항공, 에어버스 선정에어버스 A300-600 최우수 운항상 수상[ 122] 대한항공, 동팡자오바오(Oriental Morning Post) 주관 '월드 트래블 어워드 2011’에서 ‘세계 최고 항공사상 수상[ 123] 대한항공, 여행전문지‘글로벌 트래블러(Global Traveler)’가 주관하는 ‘글로벌 트래블러 테스티드 어워드(GT Tested Awards)' 서 동북아 최고 항공사 수상[ 124] 국토해양부 선정 올해의 안전 우수 항공사[ 125] 2012년 한국광고협회 주관 광고대상 총3개부분 6개수상[ 126] DFNI 글로벌 어워즈 ‘세계 최고 신규 면세품 영업장’수상 2013년 에어버스 A380 항공기 최우수 운항상2014년 2014 국방품질경영상 대통령 표창 에어버스 A380 항공기 최우수 운항상(2연속)2014 글로벌고객만족도(GCSI) 항공여객운송서비스 1위(10연속) 냉전 시대를 거쳐오면서, 대한항공은 이와 관련된 수 차례의 사고를 경험하였다. 특히1970년대 말과1980년대 초에는 사고적인소련 영공의 침범과 괌에서의 2차례의 대참사를 입은 바 있다.소련 영공 침범으로 모든 탑승객이 목숨을 잃는 참사였던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과소련 영공 침범으로 인해 호수에 불시착한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괌 에서 조종사의 실수로 발생한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등의 사건들로 인해 대한항공의 위상과 신뢰도가 땅으로 떨어지기도 했었다.
대한항공은 정부의 지원으로 설립되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진출한 대기업으로, 한국 재벌 체계의 전형적인 예 중 하나다.1946년 에대한국민항공사 로 설립되고1969년 민영화된 때부터, 사실상 대한항공은1988년 ,아시아나항공 이 설립되기까지 국내 유일의 민간 항공사였다.1969년 의 대한항공의 민영화 과정은 군사정변으로 권력을 장악한 군 출신 대통령 박정희에 의해 지원되었고, 항공사의 전매권은 20년 동안 보호되었다. 재벌 분야를 확장한 후, 대한항공의 부회사는 해양과 육로 운송 업무, 호텔, 무엇보다도 부동산을 포함하며, 이전 분야는 증권 중개 사업 중 중공업, 여객 수송, 건설업을 포함했다.
↑가 나 다 기업소개 | 대한항공 ↑ “대한항공, 아시아나 신주 63.88% 취득…“자회사로 편입 완료”” . 2024년 12월 12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45번째 생일 맞은 대한항공, 부실 골칫덩이가 민간 외교관으로 - 매일경제↑ “2007년 증시를 주도할 유망종목은?” . 2006년 12월 24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가 나 다 “YS-11 중형기 3대도입 부산-후쿠오카(福岡)선 강화 KAL” . 1969년 4월 3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보잉사 제작 3천번째 항공기 인수” . 2007년 8월 2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가 나 <http://www.adic.co.kr/gate/video/show.hjsp?id=I89520 대한항공 광고 2001> ↑ Korean Air Lines Co., Ltd. History ↑ 한진 조중훈 회장, 프랑스 최고 훈장 받아 - 연합뉴스↑ (등록번호: HL7468,HL7469,HL7470) ↑ “大韓航空(대한항공) 프로야구팀 창단 現代(현대)대신 仁川(인천)을 본거지로” . 조선일보. 1981년 11월 11일. 2022년 3월 9일에 확인함 . ↑ “[김덕기의 프로축구 30년] 450분만에 끝난 출전 보류 단막극” . 스포탈코리아. 2013년 2월 27일. 2022년 3월 10일에 확인함 . ↑ “대한항공, MD-11機 8대 도입키로” . 1991년 1월 2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화물기 하역사고” . 2002년 1월 9일. 2011년 11월 18일에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20일에 확인함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화물기 또 추락” . 1999년 12월 24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보잉 777機 8대 도입 계약” . 1992년 12월 15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KAL, A330-300 1대 도입” . 1997년 3월 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노후 여객기, 화물기로 제2인생” . 2011년 10월 20일. 2014년 5월 12일에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저가항공사 명칭 ‘진에어’로 확정” . 2009년 9월 24일. 2014년 5월 13일에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Korea is getting a StarCraft II plane” . 2010년 6월 25일. 2010년 6월 28일에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A380 띄운 대한항공, 주가도 펄펄 날까” . 2011년 6월 17일. 2014년 5월 12일에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6일에 확인함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가 나 “대한항공, CS300 항공기 10대 구매” . 2011년 7월 2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A380 띄운 대한항공 이번엔 ‘B737-900ER’로 고급화 박차” . 2011년 7월 5일. 2011년 11월 18일에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6일에 확인함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동북아 최초 케냐 나이로비 직항 운항” . 2012년 6월 22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사우디 직항 15년만에 재개” . 2012년 9월 2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S-OIL지분매각 등 35조 마련” . 2013년 12월 29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델타항공 亞太노선 한몸 된다” . 《중앙일보》. 2017년 7월 4일. ↑ “대한항공, 기내 난동 승객 안 태운다…’노플라이’ 시행” . 2017년 6월 29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차세대 화물시스템 iCargo 도입” . 2018년 2월 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미국행 승객 보안 강화...인터뷰 전문 인력 배치” . 2018년 2월 13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영화·한류콘텐츠 등 기내 서비스 시스템 업그레이드” . 2020년 2월 14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기내식·면세사업부 9900억에 매각한다” . 2020년 8월 25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왕산마리나 1300억에 매각” . 2020년 11월 29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국토부 “대한항공 아시아나 인수 불가피…고용유지 원칙 추진”” . 2020년 11월 1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아시아나 인수 공식 확정” . 2020년 11월 1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5성 항공사 선정” . 2020년 12월 10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코로나에도 대한항공 날았다…5년만에 분기 영업익 4천억원 돌파(종합)” . 2021년 11월 12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공동운항 항공사”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ITA AIRWAYS / KOREAN AIR BEGINS CODESHARE PARTNERSHIP FROM LATE-NOV 2023” . 2023년 11월 20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Korean Air expands LATAM codeshare to Brasil in Nov 2018” . 2018년 11월 29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Korean Air to codeshare with LAN Peru” . 2014년 10월 21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인천~브루나이 노선 공동운항 실시” . 2019년 9월 2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Virgin Atlantic to launch codeshare with Korean Air” (보도 자료). 2023년 3월 24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KOREAN AIR / SRILANKAN AIRLINES BEGINS RECIPROCAL CODESHARE SERVICE FROM MARCH 2024” . 2023년 3월 12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Interline partners”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Air Astana Interline Agreements”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JetBlue and Korean Air Announce New Interline Agreement to Connect Customers Between Asia and North America”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델타항공 조인트 벤처 최종승인” . 2017년 11월 1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델타항공 태평양 노선 조인트벤처 '이륙'한다” . 2018년 3월 29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쌈밥·낙지덮밥?···이런 기내식도 있었네” . 2011년 10월 9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단독] 대한항공, 업무량 경감 위해 ‘기내 서비스’ 일부 폐지” . 2019년 6월 1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가 나 다 《파이낸셜뉴스》http://news.cyworld.com/view/20090602n01824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대한항공, 6월10일부터 ‘이코노미 플러스석’ 폐지···예매 고객 ‘차액 환불’” . 2019년 5월 23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내달 10일부터 '이코노미 플러스석' 폐지” . 2019년 5월 22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Korean Air very likely to order more Boeing 787 widebody jets: president” . 2018년 10월 19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가 나 다 “조원태 회장 직접 챙긴 '꿈의 항공기' 미국서 포착…하반기 6대 온다” . 2023년 6월 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항공기 안내”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항공기 등록현황”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가 나 “Korean Air Lines Fleet Details and History”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A220-300 좌석배치도” . ↑ “Korean Air to Acquire up to 30 Bombardier CSeries Aircraft” . 2011년 6월 11일. 2013년 12월 16일에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23일에 확인함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A321-neo 좌석배치도” . ↑가 나 “대한항공 차세대 항공기 100대 도입…사상 최대 13조원 규모” . 2015년 10월 1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친환경 항공기’ A321네오 도입…하늘길 확대” . 2022년 10월 31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A321neo 항공기 20대 추가 주문… “최신 여객기 도입으로 기단 현대화 박차”” (보도 자료). 2023년 10월 30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A330-300 좌석배치도 (1)” . ↑ “대한항공 A330-300 좌석배치도 (2)” . ↑ “대한항공 A330-300 좌석배치도 (3)” . ↑ “대한항공 A350-900 좌석배치도” . ↑가 나 “대한항공, 에어버스社와 총 33대 항공기 구매 계약 체결” (보도 자료). 2024년 3월 21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에어버스 A350 1·2호기 도입…기단 최신화 전략” . 2025년 1월 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A380-800 좌석배치도” . ↑가 나 “대한항공, A380 등 대형항공기 10년 내 퇴출…"중대형기 비중 확대" ” . 2021년 8월 20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B737-800 좌석배치도 (2)” . 2021년 2월 7일에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1일에 확인함 . ↑ “대한항공 B737-900 좌석배치도” . ↑ “대한항공 B737-900ER 좌석배치도” . ↑가 나 “Boeing Finalizes 25-Airplane Order with Korean Air” (보도 자료).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B737-8 좌석배치도 (146석)” . ↑ “대한항공, 탄소 저감 친환경 항공기 '보잉737-8' 도입…내달부터 본격 운항” . 2022년 2월 14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B737-8 좌석배치도 (158석)” . ↑ “대한항공 B747-8 좌석배치도” . ↑ “대한항공 B777-200ER 좌석배치도” . ↑ “대한항공 B777-300 좌석배치도” . ↑ “대한항공 B777-300ER 좌석배치도 (1)” . ↑ “대한항공 B777-300ER 좌석배치도 (2)” . ↑가 나 “대한항공, 보잉社와 최대 50대 항공기 구매 양해 각서(MOU) 체결” (보도 자료). 2024년 7월 22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B787-9 좌석배치도 (269)” . ↑ “Korean Air Joins Boeing 787 Family with up to 20-Airplane Order” (보도 자료).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B787-9 좌석배치도 (278)” . ↑ “대한항공 B787-10 좌석배치도” . ↑ ““고객들에게 격이 다른 서비스 선보인다” 대한항공, 보잉 787-10 운항 시작” (보도 자료). 2024년 7월 22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가 나 “Korean Air expands business jet charter unit” . 2016년 10월 1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돈 되는 VIP 마케팅 강화… '꿈의 항공기' 추가 도입” . 2022년 6월 17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Korean Air adds maiden Gulfstream G650ER” . 2016년 8월 3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에어버스 회전익기 ‘H160-B’ 도입…VVIP 항공 서비스 강화” . 2025년 2월 10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50년 보유 항공기 변천사(1) 1960~1980년대”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50년 보유 항공기 변천사(2) 1990년대 ~ 현재”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연도별 도입 현황”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연도별 말소 현황”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단독]대한항공의 승부수, 티웨이에 A332 5대 넘긴다…조종사 100명도” . 2023년 10월 13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Korean Air leases A330-200 due to delivery delays” . 2025년 3월 21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Korean Government Fleet Details and History”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 대통령 전용기' 현 기종 임차 1년 연장…2021년 교체” . 2019년 9월 29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Korean Air sells five jets to US aerospace firm Sierra Nevada” . 2024년 5월 10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단독]대한항공 HL7643, 차기 대통령 전용기 낙점…루프트한자서 개조” . 2021년 3월 7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 에어포스원' 새 대통령 전용기 내달 투입…11년 만에 교체” . 2021년 10월 25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Korean Air Joins Boeing 787 Family with up to 20-Airplane Order”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Korean Air converts 787-8s to -9s, firms two 747-8Fs”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HL9101 ↑ HL9201 ↑ HL9230 ↑ HL1052 ~ 1059, HL1073 ↑ HL2020 ↑ HL5204, HL5213, HL5217 ↑ “REGISTRATION DETAILS FOR HL7222”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 실리주의' 삼성 이재용 부회장, 전용기 3대·헬기 6대 매각 추진” . 2015년 9월 11일. 2015년 11월 17일에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21일에 확인함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가 나 대한항공 홈페이지 1998-2000 수상 내역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대한항공 홈페이지 2001-2005 수상 내역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대한항공 홈페이지 2006-2010 수상 내역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대한항공, 동북아 최고 항공사 선정” . 2003년 6월 21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광고학회 지정 '올해의 브랜드' ” . 2011년 10월 14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A300-600 최우수 운항상” . 2011년 10월 2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세계 최고 항공사상 수상” . 2011년 11월 29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동북아 No.1 항공사'로 우뚝” . 2011년 12월 2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올해의 안전 우수 항공사 선정” . 2011년 12월 28일. 2015년 4월 29일에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3일에 확인함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 “대한항공 광고 2012년 광고대상 6개 수상” . 2012년 11월 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출처=
(도움말 )
지주회사 항공 육운 관광·호텔·부동산 한진관광 칼호텔네트워크 (KAL호텔 그랜드 하얏트 인천) 항공종합서비스 정석기업 호미오세라피 삼올 정보서비스 한진정보통신 토파스여행정보 싸이버스카이 한국글로발로지스틱스 유니컨버스 하이큐스 비영리 스포츠 이전 계열사 방계기업 특수관계인 관련사건 항공 동맹
창립 회원 일반 회원 제휴 회원 과거 정회원 과거 제휴회원 자격 정지 회원 화물 동맹
건설 금융 경기소비재 산업재 생활소비재 에너지/화학 정보기술 중공업 철강/소재 커뮤니케이션서비스 헬스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