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6년 3월 2일(4월 7일),북주 무제 시기장안(長安)에서 당국공(唐國公)이병(李昞)과 부인 독고씨(獨孤氏)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독고씨의 동생, 즉 이연의 이모가 바로수나라 문제(文帝)양견(楊堅)의 아내인문헌황후(文獻皇后) 독고가라(獨孤伽羅)이다. 그러므로 이연은 양제(煬帝)양광(楊廣)의 이종 사촌형인 셈이다.
617년, 이연은 태원(太原)에서 유수(留守)로서 임명된다. 이때는양광의 사치와 토목공사가 절정에 달하던 때이므로 많은 양민이 처참히 죽어가고 있었다. 결국 중국 각지에서 반란이 터지고, 이연 역시 반란에 가담했다. 11월 16일(12월 19일), 이연은 수도인장안으로 들어가 황제인 양광을 제위에서 물러나게 하고, 황태손인양유(楊侑)를 황제의 자리에 오르게 했다. 11월 17일(12월 20일), 자신은 수나라 대승상(大丞相)이 되었으며, 당국공에서당왕(唐王)으로 진봉된다.
618년 3월 11일(4월 11일), 이때 양광은 자신의 별장이 있는강도군(江都郡)의 별궁인 강도궁(江都宮)에서 자신이 믿었던 부하인우문화급에게 암살당한다. 5월 14일(6월 12일), 이연은 이 소식을 듣고 황제인 공제(恭帝) 양유(楊侑)에게 형식상 선양을 요구하였다. 5월 20일(6월 18일), 정식으로 선양을 받아당나라를 건국하고,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이연이 당나라 첫 번째 황제가 되었으며, 연호는 무덕(武德)으로 개원하였다. 새 황조를 건립하였으나, 수 양제 재위 때부터 각지에서 봉기한 반역 세력이 아직까지 진압되지 않았다. 6월, 황제 이연은 두 번째 아들이자 진왕(秦王)이세민(李世民)에게 반란 세력을 제거하라는 명을 내렸다. 이세민은 반란 진압 내내 한 번도 지지 않고, 반란군을 격파하였다.
621년 10월, 이연은 영토 내의 반란 진압에 대한 공으로 이세민에게 천책상장(天策上將)이란 직책를 내려주었다.
하지만 이연은 차츰 이세민을 의심하기 시작했으며, 후궁인윤덕비가 이세민을 참소하자, 이연은 이세민을 소환하여 욕설을 퍼부었다.
한쪽에서는 이연이 주색잡기를 좋아하여, 밤낮으로 황음무도한 짓을 하고 당나라 개국공신인유문정은 이연의 질시를 받아 처형당했다고 한다. 다른 한쪽에서는 이것은 훗날에 이세민이 자신이 집권한 것을 정당화시키기 위하여 거짓으로 쓴 것이라고 한다.
626년 6월 4일(7월 2일),이세민은 자신의 인기가 황태자이건성을 능가하자, 계획을 짜고 황궁의 현무문에서 그와 제왕(齊王)이원길을 죽여버린다. 이것이 '현무문의 변'이다. (다만 이건성과 이원길이 서로 모의하여 이세민을 제거하려 했기에 먼저 손을 썼다는 이야기도 있다.) 당 고조 이연은 이 사건 직후, 황태자에 이세민을 봉하였다. 8월 8일(9월 3일), 황제의 자리에서 물러나, 상징적 존재인태상황(太上皇)이 되었다.[11]
635년 5월 6일(6월 25일)에, 별궁인 태안궁(太安宮) 수공전전(垂拱前殿)에서 향년 70세(만 6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구당서》(舊唐書) 권1 본기1 - 고조(高祖) - 정관(貞觀) 8년 3월 갑술(甲戌) 기사
↑박한제 (2015년 5월 11일).《대당제국과 그 유산 호한통합과 다민족국가의 형성》.세창출판사. 211-212쪽.ISBN9788984115231.서위의 '호성재행' 시기에 당실 이(李)씨는 대야(大野)씨라는 호성(胡姓)으로사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실 양씨(楊氏)도 보육여(普六茹)로 사성되었다. 대부분 중국 학자들은 그들이 한족 혹은 몰락 한족이라고 하지만, 그 자체가 본성일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그렇지 않더라도 그들이 한족일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
↑《당 고조 唐高祖》.한국콘텐츠진흥원.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스스로는 한인(漢人)의 후예라고 주장했지만 그의 가문에는 화북 지방 호족(胡族)의 피가 섞여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연 李淵》. 중국인물사전.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선비족 계통이었던 그는 서위와 북주 때 당국공(唐國公)이 되어 활약한 이호의 손자다.
↑《고조 高祖,566~635》.두산세계대백과사전. 2021년 9월 25일에 확인함.서위(西魏) ·북주(北周) 시대에 활약한 이호(李虎)의 손자이다. 선비족(鮮卑族) 계통의 무장으로, 아버지 병(昞)이 일찍 죽자 7세 때 당국공(唐國公)의 작위를 이었다.
↑《당 고조》.한국콘텐츠진흥원.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북주(北周)시대에 활약한 이호(李虎)의 손자로, 선비족 계통의 무장이다.
↑임종욱 편집 (2010년 1월).《이연 李淵》. 중국역대인명사전. 이회문화사.ISBN9788981074456.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서위(西魏)와 북주(北周) 때 당국공(唐國公)이 되어 활약한 이호(李虎)의 손자다. 선비족 계통의 무장으로, 아버지 이병(李昞)이 일찍 죽자 7살 때 당국공 작위를 이었다.
↑“"당나라 황제 혈통은 유목민족… 도읍 장안성엔 오랑캐 문화 뒤섞여 있어"”. 《조선일보》. 2019년 8월 29일. 2021년 10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청말 학자 진인각이 논한 것처럼 3세기 후한 말 이후 동북방 이민족들이 중국을 정복하는 북조가 나타나면서 그 선비족 지배층이 수나라,당(隋唐)나라까지 이어진다. 당나라는 후세에서는 한족 국가로 알려졌지만 이민족인 선비족 일파인 탁발족이 세운 국가이고, 수·당나라 지배층들은 혈통으로 따져볼 때 대부분이 호족(胡族)출신이다.
↑청말 학자 진인각에 의하면 선비족이 건국한 북주에서 선양된 수나라와 당나라는 선비족 지배층 체제가 그대로 이어져 나갔다. 하지만 이후 중화사상에 의해 양나라 출신으로 기록되었지만 선비족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