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능형동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영어 위키백과Dicyemida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요한 번역 안내를 보려면 [펼치기]를 클릭하십시오.
  • 신뢰성 있고확인할 수 있는 출처가 제시되도록 번역하여 주십시오.
  • 번역을 완료한 후에는 {{번역된 문서}} 틀을 토론창에 표기하여 저작자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 문맥상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서를 같이 번역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번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내용이 포함된 다른 문서를 보고 싶으시다면분류:번역 확장 필요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능형동물
생물 분류ℹ️
역:진핵생물
계:동물계
아계:진정후생동물아계
문:능형동물문 (Dicyemida)
A. Krohn, 1839
강:능형강 (Rhombozoa)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능형동물(Rhombozoa, Dicyemida)은좌우대칭의 형태를 지닌동물직유동물과 함께중생동물로 분류되기도 한다.

특징

[편집]

능형동물의 이배충은 3mm 정도에 이르는 큰 것으로서,오징어·낙지·문어 등의 신낭(腎囊) 속에 기생하는 벌레 모양의 동물이다. 이배충의 축세포 안에는 무성생식의 출아에 의하여 많은 세포가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무성 배우자(배)가 되어 분열, 성장하므로, 결국 어미의 몸 속에는 갖가지 발육 단계의 유충들이 있게 된다. 이 지렁이 모양의 연충형 유충들은 어미 벌레의 몸 벽을 뚫고 나와 숙주의 신낭 속에 들어가서 무성충(無性蟲)으로 발달한다. 그러다가 어느 시기에 이르면 무성충은 체피 세포에 영양을 축적하여 비대해지며, 생리적 변화에 의해 마름모꼴의 무성충이 된다. 이 벌레의 축세포 속에는 다시 세포의 덩어리가 나타나며, 그 표면으로부터 세포는 하나씩 떨어진다. 떨어진 세포는 다시 분열을 계속하여 물방울 모양의 유충이 되며, 이것은 다시 성숙하므로 벌레의 몸 속에 무성충이 생기거나 그 후에 마름모꼴의 무성충으로 자란다. 이배충이라는 말은 연충형(지렁이 모양)과 적충형(물방울 모양)의 두 종류 유충이 나타난 데서 유래한 것이다.

하위 분류

[편집]

각주

[편집]
이 문서에는다음커뮤니케이션(현카카오)에서GFDL 또는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측생동물아계
중생동물아계
진정후생동물아계
방사대칭동물
좌우대칭동물
선구동물
탈피동물
환신경동물
유극동물
네마토이다
범절지동물
촉수담륜동물상문
나선동물
납작동물상문
유악동물
담륜동물
Polyzoa(?)
후구동물
암불라크라리아
기초 분류군/논란
생물 분류 식별자
전거 통제: 국가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능형동물&oldid=39105530"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