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논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방글라데시의 모내기
중화인민공화국윈난성위안양 현에 위치한 계단식 논

(paddy field,paddy는 ""를 뜻하는말레이어padi에서 유래[1])은 물에 잠긴 채로 있는농경지로,와 타로토란 등수생식물의 재배에 사용된다. 밭벼의 경우처럼, 벼는 원래 건조한 땅에서도 재배할 수 있었지만, 20세기부터 논에서 재배하는 것이 벼 농사에서 우위를 차지하였다.

논은 주로 벼를 재배하는동아시아,남아시아,동남아시아 국가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일본,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인도네시아,필리핀,미얀마,캄보디아,인도,방글라데시,파키스탄,네팔,스리랑카 포함)에서 많이 볼 수 있지만, 이 지역 외에도 벼를 재배하는 지역인이탈리아피에몬테주,프랑스카마르그,아이티아르티보니트 계곡에서도 볼 수 있다.

논은 자연 지역에 인접한하천이나을 통해 만들어지지만, 흔히 가파른 산허리에서는 많은 노동력과 자원을 필요로 하며, 들판을관개하는 데에는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한다. 범람한 물의 공급은 농작물의 성장에 가장 중요하며, 물 뿐만 아니라 많은 종의잡초를 제거하는 것도 벼의 성장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물소습지대에서 적응된 유일한역용동물로, 논에서 널리 사용된다.

벼 농사는 대량의메탄 가스 발생으로 인해 환경에 악영향을 주기도 하는데, 연간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약 5,000만~1억 미터톤의 메탄 가스는 논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되며[2],인구 과잉으로 인한온실 가스의 발생 수준은지구 온난화라는 위협을 가져다 줄 정도의 상당 수준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논은 물때기(중간 배수)를 통해 농작물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메탄 발생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3]

소각

[편집]

농번기가 시작되면 벌레와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서 논두렁을 불로 태우는데 흙속에 있는 벌레는 살아남기 때문에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심각한 화상을 입으면 목숨이 위태롭다.




농기계 사고

[편집]

농기계를 사용 중에 추락 사고 등을 당해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경우가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paddy”. 메리엄 웹스터. 2007년 7월 15일에 확인함. 
  2. “Methane gas generation from paddy fields Methane Sources - Rice Paddies”. 2007년 7월 15일에 확인함. 
  3. “SHIFTS IN RICE FARMING PRACTICES IN CHINA REDUCE GREENHOUSE GAS METHANE”. 2003년 1월 1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2년 12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국가
기타
이 글은 농업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논&oldid=39154293"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