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노르웨이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르웨이어
norsk
발음[nɔʂk] (동부)
[nɔʁsk] (서부)
원어 지역노르웨이
지역북유럽
원어 화자
460만여 명
로마자
공식 상태
공용어로 쓰는 나라
노르웨이의 기노르웨이
규제 기관Norwegian Language Council과 Norwegian Academy
언어 코드
ISO 639-1no — 노르웨이어
nb보크몰
nn뉘노르스크
ISO 639-2nor — 노르웨이어
nob보크몰
nno뉘노르스크
ISO 639-3다수:
nor – 노르웨이어
nob – 보크몰
nno – 뉘노르스크

노르웨이어북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주로노르웨이에서 사용된다.덴마크어,스웨덴어와 매우 가까워 세 언어의 화자들은 상당 부분 서로의 말을 이해할 수 있다. 노르웨이어는 역사적, 정치적인 이유로보크몰(Bokmål, 책의 언어)과뉘노르스크(Nynorsk, 새로운 노르웨이어)라는 두 가지의 공식적인 서면 표준이 있다.

역사

[편집]

노르웨이어는 다른 스칸디나비아 언어와 마찬가지로 8세기경의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했다. 당시바이킹들이 사용하던 이 언어는 현재의아이슬란드어페로어와 더 가까웠다.

1030년 기독교가 전파되고 라틴 문자가 도입되면서 고유한 문어(文語)가 발달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1397년덴마크가 주도하는칼마르 동맹이 결성되면서 노르웨이는 400년 이상 덴마크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 기간 동안 덴마크어는 행정, 교육, 종교의 공식 언어로 자리 잡았고, 기존의 노르웨이어 문어는 점차 쇠퇴하였다.

1814년 노르웨이가 덴마크로부터 독립하여스웨덴-노르웨이 동군연합의 일원이 되자, 민족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노르웨이 고유의 언어를 되살리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 과정에서 두 가지 흐름이 나타났다.

  • 보크몰: 언어학자크누드 크누센이 주도한 흐름으로, 기존에 사용되던 덴마크어 철자법을 노르웨이 상류층의 발음에 맞게 점진적으로 개혁하자는 입장이었다. 이는 오늘날 보크몰의 기초가 되었다.
  • 뉘노르스크: 언어학자 이바르 오센이 주도한 흐름으로, 덴마크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서부 농촌 지역의 방언들을 연구하여 새로운 노르웨이어 표준을 만들자는 입장이었다. 이는 뉘노르스크로 발전하였다.

두 표준은 1885년 의회에서 동등한 지위를 인정받았으며, 현재까지 공존하고 있다. 오늘날 노르웨이 인구의 약 85~90%가 보크몰을 주로 사용하지만, 두 표준어 모두 공공기관, 학교, 방송에서 사용된다.

서면 및 구어 구조

[편집]

문자

[편집]

노르웨이어는로마자 26자에 Æ, Ø, Å 세 글자를 더한 29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Æ, Ø, Å
  • Æ æ: 애(/æ/) 소리가 난다.
  • Ø ø: 외(/ø/) 소리가 난다.
  • Å å: 오(/oː/ 또는 /ɔ/) 소리가 난다. 이 글자는 1917년에 기존의 Aa를 대체하여 도입되었다.

음운론

[편집]

노르웨이어는성조 언어라는 점에서 다른 게르만어와 구별된다. 대부분의 단어에는 두 가지 성조 중 하나(단순성조 또는 복합성조)가 부여되며, 이 성조의 차이로 단어의 의미가 구별되기도 한다.[1] 예를 들어,bønder(농부들)와bønner(콩 또는 기도)는 성조로 구분된다.

또한, 노르웨이어의 음운 체계는 다양한 모음과 여러 연구개음(/ç/, /ʃ/)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문법

[편집]

노르웨이어 문법은 다른 게르만어와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지만, 비교적 단순화된 형태를 보인다.

  • 어순: 기본적으로SVO 어순(주어-동사-목적어)을 따른다. 의문문이나 특정 부사구가 문두에 올 경우 동사와 주어가 도치(V2 어순)된다.
  • 명사: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문법적 성을 가진다. 보크몰에서는 여성을 남성에 통합하여 두 가지 성으로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기도 한다. 명사는 수(단수/복수)와 한정성(한정형/비한정형)에 따라 굴절한다. 한정형은 명사 뒤에 접미사를 붙여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 예: et hus (어떤 집, 비한정) → huset (그 집, 한정)
  • 동사: 시제에 따라 변화하지만, 인칭이나 수에 따른 변화는 없다.
    • 예: jeg leser (나는 읽는다), du leser (너는 읽는다), vi leser (우리는 읽는다)

사용 인구

[편집]

노르웨이어는 노르웨이의 공용어로, 약 530만 명의 인구가 모국어로 사용한다. 이 외에도 스웨덴, 덴마크, 미국 등의 노르웨이인 공동체에서 일부 사용된다.

노르웨이의 모든 지자체는 보크몰과 뉘노르스크 중 하나를 공식 서면 표준으로 채택하거나, 혹은 중립을 지킬 수 있다. 학생들은 초등학교부터 두 가지 표준을 모두 배우지만, 주된 교육 언어는 하나를 선택한다.

노르웨이어의 영향을 받은 언어

[편집]

바이킹 시대에 고대 노르드어는 북대서양의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 노른어:오크니 제도셰틀랜드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북게르만어군 언어로, 18~19세기에 사멸했다. 고대 서부 노르드어의 직계 후손으로 여겨진다.
  • 스코트어영어 방언: 노른어의 영향으로 셰틀랜드나 오크니 지역의 스코트어 방언에는 노르웨이어에서 유래한 어휘가 다수 남아있다.[2]
  • 아이슬란드어페로어: 노르웨이어와 같은 뿌리(고대 서부 노르드어)를 공유하며, 노르웨이 정착민들에 의해 해당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참고 문헌

[편집]
  1. Kristoffersen, Gjert.The Phonology of Norwegian.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 Barnes, Michael P.The Norn Language of Orkney and Shetland. Shetland Amenity Trust, 1998.

인용 오류:<references> 태그 안에 정의된 "ethnologue"이라는 이름을 가진<ref> 태그에 내용이 없습니다.
인용 오류:<references> 안에 정의된<ref> 태그에 이름 특성이 없습니다.


전거 통제: 국가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노르웨이어&oldid=40756164"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