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남양주시

좌표:북위 37° 38′동경 127° 13′ / 북위 37.633° 동경 127.217° /37.633; 127.217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양주군에서 넘어옴)
비슷한 이름의남양군,양주시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과거양주군(남부)지역에 속했던 지역인 남양주시에 관한 것입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양주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남양주시
南楊州市
마현 다산마을
마현 다산마을
시기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경기도
행정 구역6읍 3면 7행정동 11법정동
청사 소재지제1청사: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 1037 (금곡동)
제2청사: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 522 (다산동)
단체장주광덕(국민의힘)
국회의원:최민희(더불어민주당)
:김병주(더불어민주당)
:김용민(더불어민주당)
지리
면적458.05 km2
인문
인구732,482명(2024년)
상징
시목소나무
시화개나리
시조크낙새
지역 부호
웹사이트www.nyj.go.kr
남양주시청 1청사(구 미금시청)

남양주시(南楊州市)는대한민국경기도의 동북부에 위치하고 있는이다. 시의 서쪽은불암산(508m)을 경계로서울특별시,왕숙천을 경계로구리시와 접하고, 남쪽은한강을 경계로광주시·하남시와 접하며, 북쪽으로포천시·의정부시, 동쪽으로가평군·양평군과 접한다.

본래양주군의 남부 지역이었는데1980년 4월에남양주군으로 분리되었고,1995년미금시와 남양주군이 통합되어도농복합시가 되었다. 시청 소재지는금곡동다산동이고, 행정구역은 6읍·3면·7행정동이다.

역사

[편집]
 양주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행정 구역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남양주시의 행정 구역입니다.

남양주시의 행정 구역은 6·3·7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고,화도읍에는동부출장소,남부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시의 면적은 경기도의 4.5%에 해당하는 458.1 km2이며,[17] 인구는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70만1830 명, 27만6656 가구이다.[18] 남양주시에는 단독 시 승격 기준인 인구 5만 명을 초과하는 읍이화도읍,진접읍,와부읍,오남읍의 4개가 있다. 또, 남양주시에는 전국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읍인퇴계원읍이 있는데, 퇴계원읍은 읍 전체가 아파트 등 주거가 밀집한 지역으로 남양주시 관할 중다산1동 다음으로 인구밀도가 높다.

남양주시는 인구가 50만 명이 넘기 때문에 지방자치법 175조에 따라특정시로서행정구를 설치할 수 있으나, 구를 설치하는 대신 2016년부터 두 개의 읍면동을 묶은 행정복지센터를 개청하여 전 지역에서책임읍동제를 실시하고 있다.

남양주시 행정지도
읍·면·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세대
와부읍瓦阜邑49.8664,33824,035
진접읍榛接邑65.9693,89336,683
화도읍和道邑73.12114,73346,641
진건읍眞乾邑31.2324,95211,097
오남읍梧南邑25.2553,64820,961
퇴계원읍退溪院邑3.2730,36212,208
별내면別內面22.1520,1158,382
수동면水洞面71.089,0784,736
조안면鳥安面50.694,2752,045
호평동好坪洞9.1550,70918,812
평내동坪內洞7.2534,58512,497
금곡동金谷洞6.9319,5088,940
양정동養正洞12.354,6622,565
다산1동茶山1洞5.5474,49726,752
다산2동茶山2洞5.6131,90312,086
별내동別內洞18.6370,57228,216
남양주시南楊州市458.1701,830276,656

*인구는 2019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은 2015년 12월 31일 기준

인구

[편집]
  • 남양주시의 연도별 인구 추이[19]
연도총인구비고
1980년191,479명남양주군
1985년234,805명
1990년200,312명남양주군(125,617),미금시(74,695)
감소 원인:구리시 승격·분리 (1986년 1월 1일)
1995년229,060명남양주시
2000년340,932명
2005년426,087명
2010년529,898명
2015년629,061명
2019년681,077명

지리

[편집]

남양주시는 산으로 둘러싸인 여러분지들로 이루어진 지형이어서 일핵(一核) 구조가 아니라,미금(호평, 평내, 금곡, 양정, 다산)·진건을 중심으로 동(화도·수동), 서(별내·퇴계원), 남(와부·조안), 북(진접·오남)의 5개 권역으로 분산된 다핵도시(多核都市)이다.[20]

경기도를 남북으로 나눴을 때 한강 이북에 위치해 있어경기북부로 분류되지만 일반적인경기북부랑은 조금 다르며, 경기 '동부'라고 보는 편이 훨씬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일단 남양주시에 위치해 있는 군부대는 전방으로 분류되지 않으며, 진접읍, 오남읍,수동면을 제외한 인구의 75%는 서울 최북단인도봉구보다 위도상 남쪽에 있고 시의 최남단인 조안면도 서울 한강이남인강동구와 위도가 같다. 구 미금시 지역(도농, 지금 지역)도중랑구,강북구와 비슷한 위도이다. 즉 행정상으로는 경기북부이지만 실제론 서울 강북지역과 비슷하다. 시내 버스 교통도 한강 이남인 잠실역, 강남역행 노선이 상당히 발달되어 있는 편이다. 이는 반대편 서부권인고양시와도 유사하며 위도상고양시도 비슷한 위치에 있다.

기후

[편집]

대륙성 기후의 영향으로 겨울철에는 한랭건조하고 여름철은 고온다습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 천기일수를 보면 맑은 날이 평균 119일, 흐린 날이 평균 129일, 비 오는 날 평균 97일, 눈 오는 날이 평균 20일이다.
  • 연평균 기온은 12.1°C이며, 12월이 -4.2°C로 가장 춥고 7월이 25.0°C로 가장 더움
  • 연 강수량은 778.3mm이며 이중 여름철인 7월의 강수량이 216.3mm로서 강수 집중률을 보이며 평균습도는 64%임

산업

[편집]

산업별 종사자 현황

[편집]

2014년 남양주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135,583명으로 경기도 총 종사자 수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55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27,932 명으로 20.6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107,596명으로 79.4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 %)보다 낮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 %)보다 높다.3차 산업 부분에서는 도소매업(19.5%) 숙박 및 음식점업(12.0%) 교육서비스업(10.0%)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5%)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1]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편집]

남양주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521.666명이고 주간인구는 441.872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85로 낮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35.868명, 유출인구는 100.719명이고,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496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출인구가 17.439명 더 많은데,이는 수도권에서 서울특별시와 가깝거나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22] 그러므로 남양주시 역시 다른 수도권 위성도시와 마찬가지로 서울에 의존한 베드타운이라 일컬어진다.

교통

[편집]
남양주시의 버스전용차로
남양주시에서 운행하고 있는 시내버스로, BS090 차량을 개조시킨트롤리버스이다.

철도

[편집]

버스

[편집]
 남양주시의 시내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남양주시의 마을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도로

[편집]

관광

[편집]

축제

[편집]
  • 다산문화제

다산 정약용선생의 학문적 사상을 기리고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문화제로, 헌화, 헌다례, 다산서예대전, 다산문예대회, 다산학술논문대전, 공연·체험·전시 프로그램 등을

  • 광릉숲축제

1년에 단 한차례 축제 기간에만 개방되는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선정된 광릉숲에서 개최되며, 숲속공연과 숲속체험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운영하고 있다.

문화재

[편집]

마현 다산마을은 조선시대 실학자정약용의 생가와 묘소가 있는 곳이다. 능내역 뒤쪽의 북한강변에 자리잡은 작은 마을로서 다산 유적지로 지정되어 있다. 유물관에는 다산의 영정 및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 등 다산의 실학사상이 담긴 저서와 집필기록, 산수화 등을 비롯해 거중기와 녹로 등 그가 만들었던 역사적인 물건들까지 재현해 놓았을 뿐 아니라, 다산초당, 천일각 등 그가 유배살이 하던 곳을 섬세한 모형으로 만들어 전시해 두었다. 또한 다산 문화관에서는 강당에서 다산 영상물 및 교육자료를 상영하며, 다산학 무료강좌와 최첨단 자료를 이용하여 다산에 관한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홍유릉조선의 제 26대 왕이자대한제국의 초대 황제고종 황제와 그의 비명성황후의 능인홍릉대한제국의 제 2대 황제순종과 그의 비순명효황후,순정효황후의 능인유릉을 합쳐서 부르는 명칭이다.금곡동에 위치해 있다.

광릉조선의 제 7대 왕세조와 그의 비정희왕후(貞熹王后) 윤씨(尹氏)의 왕릉진접읍에 위치해있다.광해군묘조선의 제 15대 왕광해군과 문성군 부인 유씨의 무덤이다.진건읍에 위치해있다.

흥원조선의 제 26대 왕 그리고대한제국의 초대 황제고종 황제의 아버지인흥선대원군의 묘로화도읍에 위치해있다.

사릉조선의 제 6대 왕단종의 비인 정순왕후의 무덤으로진건읍에 위치해있다.

천연기념물

[편집]
  • 광릉크낙새 서식지

천연기념물 제11호로, 면적은 2.305km2로 남양주시의 진접읍, 의정부시의 일부, 포천시의 소흘읍·내촌면 일대에 걸쳐 위치하며, 동서 길이 3,997m, 남북 길이 8,024m, 면적으로는 2.305km2에 이른다. 광릉이 1468년에 개장되어 530여 년간 주변 숲이 보존되어 원시림에 가까울 정도여서 상록수와 활엽수의 거목들이 많아 크낙새 서식 환경에 알맞은 곳이었다.

  • 양지리 향나무

천연기념물 제232호로, 면적은 7.695km2이며 수령은 약 500년이다. 조선 초기에 거창 신씨(居昌 愼氏)가 선조의 묘를 쓰고서 기념식수한 것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나무 높이는 13m에 이르며 이 나무는 땅 위 2m 높이쯤 되는 곳에서 줄기가 다섯 갈래로 갈라지면서 사방으로 수관(樹冠)을 뻗치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는 아랫부분의 둘레가 1.8m에 이르고 돋아난 가지는 아래로 처져 있다. 가슴높이 둘레는 3.25m에 이르고, 가지는 동쪽으로 5.7m, 서쪽으로 5.7m, 남쪽으로 7.5m, 북쪽으로 8.5m로 퍼져 있다.

관광지

[편집]

산림청 국립수목원조선의 제 7대 왕세조와 그의 비정희왕후 윤씨의 왕릉인광릉에 위치한 수목원으로 주변 산림도 보호하라고 엄격히 이른 세조의 말에 따라 이 주변 일대의 자연이 그대로 보존 되어있다. 이후 한국 전쟁도 견디어 내면서 현재까지 500년 넘게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천연기념물크낙새의 서식지로도 유명하다. 국립수목원은포천시에도 걸쳐있다.

남양주 유기농테마파크조안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2011년 9월 26일 개관한 유기농 테마파크로2011년 남양주시가세계유기농대회를 연 기념으로 설립한 테마파크이다.

남양주한강공원은 남양주시의한강변과 인접한 곳인수석동,도농동,삼패동,와부읍,조안면 등지에 위치한한강공원으로 특히 삼패지구에 있는 시민공원의 경우 벼룩시장 행사[23] 나 여러 축제 행사와 함께 아영장과 분수대를 제공해주고 있다.

다산길은 남양주시에 조성된 장거리 걷기 코스이다. 남양주시 전역에 걸쳐서 13개 코스에 총길이 169.3km로 이루어져 있다. 2010년에 8개 코스가 먼저 개통되었고, 2011년에 나머지 5개 코스까지 완전 개통되었다.

팔당댐은 경기도 하남시천현동(배알미동)과 남양주시조안면을 잇는 높이 29m, 제방길이 510m, 총저수량 2억 4400만t인 한강 본류의 다목적댐이다.

외부에는 야외공연장과 석조전시장 등이, 내부에는 전시실, 교육실 등이 갖추어져 있으며, 역사·문화실에서는 우리시에서 발굴조사하여 출토된 구석기유물부터 조선, 근대의 다양한 민속유물 등이, 금석문실에서는 신도비문과 자연을 담은 여러 문양 등 탁본 유물이 전시된다.

교육

[편집]
 경기도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와부고등학교
  
  
  
  
  
  • 특수학교
  

도서관

[편집]

군사

[편집]

역대 시장

[편집]
 남양주시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남양주시장 선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출신 인물

[편집]
 분류:남양주시 출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매 도시

[편집]
지역 & 국가도시
대한민국의 기대한민국강원특별자치도영월군
경기도양주시
경상남도사천시
전라남도강진군
전북특별자치도군산시
정읍시
몽골의 기몽골울란바토르
미국의 기미국캘리포니아주브레아
베트남의 기베트남응에안성(乂安省)(荣市)
트어티엔후에성(承天順化省)후에(顺化市)
스웨덴의 기스웨덴베스트라예탈란드주헤뤼다시
영국의 기영국켄트주다트퍼드
이탈리아의 기이탈리아캄파니아주살레르노
중화인민공화국의 기중화인민공화국장쑤성(江苏省)창저우시(常州市)
캄보디아의 기캄보디아캄퐁참주

교류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남양주군설치와군관할구역등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79년 12월 28일 법률 제3169호)
  2.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제정 1980년 10월 21일 대통령령 제10050호)
  3.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제정 1983년 1월 10일 대통령령 제11027호) 제1조제21항, 제22항
  4.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85년 12월 28일 법률 제3798호)
  5. 대통령령 제11874호
  6.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88년 12월 31일 법률 제4050호)
  7.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제정 1994년 8월 3일 법률 4774호)
  8. 남양주시 조례 제140호 (1995년 5월 6일 공포)
  9. 남양주시 조례 제454호(2001년 9월 12일 공포)
  10. 남양주시 조례 제618호(2006년 1월 5일 공포)
  11. 남양주시 조례 제637호(2006년 5월 18일 공포)
  12. 김도윤 (2016년 1월 2일).“남양주시 '책임 읍면동제' 시행…행정복지센터 3곳 개청”. 연합뉴스. 2017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3. 이병훈 (2017년 1월 24일).“남양주시, 행정복지센터 8개 권역 전면 시행 눈앞…조례안 통과”. 뉴시스. 2017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4. 남양주시 읍·면·동 및 리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남양주시 조례 제1487호 (2017년 10월 30일)
  15. 남양주시 리·통 및 반 설치 조례, 남양주시 조례 제1488호 (2017년 10월 30일)
  16. 남양주시 (2017년 11월 17일).“다산동 구역도”. 2017년 11월 1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7. 남양주 소개 > 남양주의 현황 > 자연환경 남양주시 홈페이지, 2020년 3월 19일 확인.
  18.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20년 3월 19일 확인.
  19.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20. 남양주시, 화도·수동 와부·조안 호평·평내 올해 책임읍면동제로 전환 아시아뉴스통신, 2015년 4월 15일
  21. 경기도 사업체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2.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3. 한강 시민공원서 '남양주점프벼룩시장' 대성황! ::: 국제뉴스
  24.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로 121,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 관람시간: 09:00-18: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
  25. [starryriver.net/ 홈페이지]
  26. [www.sandulsori.co.kr/ 홈페이지]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남양주시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경기도 의정부시경기도 포천시경기도 가평군
서울특별시 노원구
서울특별시 중랑구
경기도 구리시
경기도 양평군
  경기도 남양주시    
서울특별시 강동구경기도 하남시경기도 광주시
도청소재지: 수원시, 의정부시
  • 시청소재지: 금곡동, 다산2동
대한민국의 인구 50만 이상대도시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광역시
기초자치단체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북특별자치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굵은 글씨 : 100만 이상특례시
* : 일반구가 없는 대도시
1.행정시로 별도의 특례 조항이 없음
전거 통제: 지리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남양주시&oldid=4069121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