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와 국가 공용어 명칭[2] | 주권 상태와 승인 정보[3] |
|---|
|
|
|
가나 – 가나 공화국- 영어: Ghana – Republic of Ghana
가나 - 리퍼블릭 오브 가나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가봉 – 가봉 공화국- 프랑스어: Gabon – République Gabonaise
가봉 - 레퓌빌리크 가보네즈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가이아나 – 가이아나 협동 공화국- 영어: Guyana – Co-operative Republic of Guyana
가이아나 - 코오퍼러티브 리퍼블릭 오브 가이아나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감비아 – 감비아 공화국- 영어: Gambia – Republic of The Gambia
감비아 - 리퍼블릭 오브 더 감비아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과테말라 – 과테말라 공화국- 스페인어: Guatemala – República de Guatemala
과테말라 - 레푸블리카 데 과테말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그레나다그러네이다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그레나다는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그루지야 조지아 |
|
그리스 – 그리스 공화국- 그리스어: Ελλάδα – Ελληνική Δημοκρατία
- 엘라다 - 엘리니케 디모크라티아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받았다.[5] 그리스는아토스산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아토스산은 종교 자치 구역인아토스산 수도원 공화국을 형성하고 있는데, 수도원 공동체와 그리스 외무부 장관이 임명한 내정 지도자의 연대로 행정이 이루어지며, 종교상의 사법권은총대주교구에 있다. |
|
기니 – 기니 공화국- 프랑스어: Guinée – République de Guinée
기네 - 레퓌블리크 드 기네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기니비사우 – 기니비사우 공화국- 포르투갈어: Guiné-Bissau – República da Guiné-Bissau
기네비사우 - 헤푸블리카 다 기네비사우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나미비아 – 나미비아 공화국- 영어: Namibia – Republic of Namibi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나우루 – 나우루 공화국- 나우루어: Ripublik Naoero
- 영어: Republic of Nauru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나이지리아 – 나이지리아 연방 공화국- 영어: Nigeria – Federal Republic of Nigeri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나이지리아는주와 하나의 연방 지역으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
|
남수단 – 남수단 공화국- 영어: South Sudan – Republic of Sudan
| 2011년7월 9일 독립하여,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남아공 –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어: South Africa – Republic of South Africa
- 아프리칸스어: Suid-Afrika – Republiek van Suid-Afrika
- 코사어: Mzantsi Afrika – IRiphabliki yaseMzantsi Afrika
- 줄루어: Ningizimu Afrika – IRiphabliki yaseNingizimu Afrika
- 은데벨레어: Sewula Afrika – IRiphabliki yeSewula Afrika
- 남소토어: Afrika-Borwa – Rephaboliki ya Afrika-Borwa
- 소토어: Afrika Borwa – Rephaboliki ya Afrika Borwa
- 츠와나어: Aforika Borwa – Rephaboliki ya Aforika Borwa
- 스와티어: Ningizimu Afrika – IRiphabhulikhi yeNingizimu Afrika
- 벤다어: Afurika Tshipembe – Riphabuḽiki ya Afurika Tshipembe
- 총가어: Afrika Dzonga – Riphabliki ra Afrika Dzong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남오세티야 기타 국가 |
|
남조선 대한민국 |
|
남한 대한민국 |
|
네덜란드 – 네덜란드 왕국- 네덜란드어: Nederland – Koninkrijk der Nederlanden
- 파피아멘토어: Hulanda (or Ulanda) - Reino di Hulanda
- 영어: Netherlands - Kingdom of the Netherlands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네덜란드 왕국은 다섯 국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국가는 강력한 자치권을 행사한다. 네덜란드는 법률상으로 왕국의 구성 국가 중 하나의 명칭이다. 네덜란드 왕국 자체는유럽 연합 가입 국가이나,[5] 아루바를 포함한 자치령들은 유럽 연합에 속하지 않는다. |
|
네팔 – 네팔 연방 민주 공화국- 네팔어: नेपाल – सङ्घीय लोकतान्त्रीक गणतन्त्र नेपाल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노르웨이 – 노르웨이 왕국- 노르웨이어: Norge – Kongeriket Norg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스발바르 제도는 노르웨이의 일부 영토이나,스발바르 조약에 따라서 특별권을 행사한다. 노르웨이는 해외 무인지경 영토인부베섬과얀마옌섬을 소유하고 있다. 노르웨이가 주장하는표트르 1세섬과퀸모드랜드의 영유권은 현재 동결하였다.[7] |
|
뉴질랜드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뉴질랜드는영국 연방 왕국으로,[4] 다음 두 자유 연합 국가의 책무를 맡고 있다. 쿡 제도. 쿡 제도는 외교 승인을 받았다.[8] 니우에. 뉴질랜드가 외교 정사 책임을 맡고 있으나, 2007년 중화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9]
다음의 속령 국가를 가지고 있다. 뉴질랜드는 남극 대륙 일부 지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로스 보호령 뉴질랜드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어떠한 국가도 인정하지 않는다.
|
|
니제르 – 니제르 공화국- 프랑스어: Niger – République du Niger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니카라과 – 니카라과 공화국- 스페인어: Nicaragua – República de Nicaragu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대만 타이완 |
|
대한민국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대한민국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서로를 승인하지 않았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차지하고 있는 영토 일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한다. |
|
덴마크 – 덴마크 왕국- 덴마크어: Danmark – Kongeriget Danmark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덴마크 왕국은 한 개의 자치 구역을 가지고 있다. |
|
도미니카 – 도미니카 연방- 영어: Dominica – Commonwealth of Dominic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도미니카 공화국- 스페인어: República Dominican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독일 – 독일 연방 공화국- 독일어: Deutschland – Bundesrepublik Deutschland
- 도이칠란트 - 분데스레푸블리크 도이칠란트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독일은주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
|
동티모르 – 동티모르 민주 공화국- 테툼어: Timor Lorosa'e – Repúblika Demokrátika Timor Lorosa'e
- 포르투갈어: Timor-Leste – República Democrática de Timor-Lest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라오스 –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 라오어: ນລາວ – ສາທາລະນະລັດປະຊາທິປະໄຕ ປະຊາຊົນລາວ
- 라오 – 사탈라나낫 빠사티빠타이 빠삭쏜 라오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라이베리아 – 라이베리아 공화국- 영어: Liberia – Republic of Liberi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라트비아 – 라트비아 공화국- 라트비아어: Latvija – Latvijas Republika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러시아 – 러시아 연방- 러시아어: Россия –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 로시야 – 로시스카야 페데라치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러시아는러시아 구성체 (주, 공화국, 자치주, 자치구, 지방, 연방시)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11] 연방 구성체의 일부는 민족 자치권을 행사하는 공화국이다.[12] |
|
레바논 – 레바논 공화국- 아랍어: لبنان – الجمهوريّة اللبنانيّة
- 루브낸 - 알줌후리야 알루브낸니야
- 프랑스어: République libanais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레소토 – 레소토 왕국- 영어: Lesotho – Kingdom of Lesotho
- 소토어: Lesotho – Mmuso wa Lesotho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루마니아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룩셈부르크 – 룩셈부르크 대공국- 룩셈부르크어: Lëtzebuerg – Groussherzogtum Lëtzebuerg
- 프랑스어: Luxembourg – Grand-Duché du Luxembourg
- 독일어: Luxemburg – Großherzogtum Luxemburg
- 룩셈부르크 - 그로스헤어초크툼 룩셈부르크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르완다 – 르완다 공화국- 키냐르완다어: Rwanda – Repubulika y'u Rwanda
- 프랑스어: Rwanda – République du Rwanda
- 영어: Rwanda – Republic of Rwand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리비아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리투아니아 – 리투아니아 공화국- 리투아니아어: Lietuva – Lietuvos Respublika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리히텐슈타인 – 리히텐슈타인 공국- 독일어: Liechtenstein – Fürstentum Liechtenstein
- 리히텐슈타인 - 퓌르스텐툼 리히텐슈타인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마다가스카르 – 마다가스카르 공화국- 마다가스카르어: Madagasikara – Repoblikan'i Madagasikara
- 프랑스어: Madagascar – République de Madagascar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마다가스카르는 프랑스의 영토인글로리오소 제도와주안 드 노바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3] |
|
마셜 제도 – 마셜 제도 공화국- 마셜어: Aorōkin M̧ajeļ – Aolepān Aorōkin M̧ajeļ
- 영어: Marshall Islands – Republic of the Marshall Islands
| 미국과의자유연합협정으로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마셜 제도는 미국의 영토인웨이크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3] |
|
말라위 – 말라위 공화국- 영어: Malawi – Republic of Malawi
- 치체와어: Malaŵi – Mfuko la Malaŵi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말레이시아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말레이시아는주와 연방 지역으로 나뉜연방 국가이다.[6] 말레이시아는스프래틀리 군도 일부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4] 망명 분리주의 정부는사라왁 공화국과북보르네오 공화국의 독립을 주장하고 있다. |
|
말리 – 말리 공화국- 프랑스어: Mali – République du Mali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멕시코 – 멕시코 합중국- 스페인어: México – Estados Unidos Mexicanos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멕시코는주와 연방 지역으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
|
모나코 – 모나코 공국- 프랑스어: Monaco – Principauté de Monaco
- 모나코어: Múnegu – Principatu de Múnegu
- 이탈리아어: Monaco - Principato di Monaco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모로코 – 모로코 왕국- 아랍어: المغرب – المملكة المغربية
- 알마그리브 - 알마믈라카 알마그리비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모로코는서사하라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대부분의 지역을 관할하고 있으며,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과 분쟁하고 있다. 모로코는스페인의 영토인세우타,알보란섬,페레질섬,차파리나스섬,멜리야,페논 데 알우세마스로 스페인과 분쟁하고 있다.[13] |
|
모리셔스 – 모리셔스 공화국- 영어: Mauritius – Republic of Mauritius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모리셔스는 자치 구역인로드리게스섬을 가지고 있다.[12] 모리셔스는영국령 인도양 지역과 프랑스의 영토인트로믈랭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3] |
|
모리타니 – 모리타니 이슬람 공화국- 아랍어: موريتانيا – الجمهورية الإسلامية الموريتانية
- 무리타니야 - 줌후리야 알이슬라미야 알무리타니야
- 프랑스어: Mauritanie – République Islamique de la Mauritani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모잠비크 – 모잠비크 공화국- 포르투갈어: Moçambique – República de Moçambiqu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몬테네그로- 츠르나고라 - 츠르나고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몰도바 – 몰도바 공화국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트란스니스트리아는 사실상 독립 국가이지만 법률상 몰도바의 영토이다. |
|
몰디브 – 몰디브 공화국- 디베히어: ގުޖޭއްރާ ޔާއްރިހޫމްޖު – ހިވެދި ގުޖޭއްރާ ޔާއްރިހޫމްޖ
- 디베히 라제이 - 디베히 라제이 제 줌후리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몰타 – 몰타 공화국- 몰타어: Malta – Repubblika ta' Malta
- 영어: Malta – Republic of Malta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몽골 - 몽골국- 몽골 울스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미국 - 아메리카 합중국- 영어: United States of Americ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미국은주, 연방구, 해외 영토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미국은 다음의 해외 영토와 연방 국가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이외에도 태평양과 카리브해에 위치한 미국령 군소 제도에 속한 무인도베이커섬,하울랜드섬,자비스섬,존스턴섬,킹맨섬,미드웨이섬,페트렐섬(콜롬비아,자메이카와 분쟁),세라닐라섬(콜롬비아와 분쟁),웨이크섬(마셜 제도와 분쟁),나바사섬(아이티와 분쟁)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13] 미국은쿠바의 영토인관타나모만에 위치한관타나모만 해군기지를 (영유권 주장 없이) 관할 영토로 가지고 있으며, 협정에 따라 쿠바에게 임차료를 지급하고 있다. |
|
미얀마 – 미얀마 연방 공화국- 버마어:မြန်မာပြည် —ပြည်ထောင်စု သမ္မတ မြန်မာနိုင်ငံတော်
- 먄마 – 피다웅주 탄만다 먄마 나잉강도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미크로네시아 – 미크로네시아 연방- 영어: Micronesia –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 미국과의자유연합협정으로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미크로네시아는 주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
|
|
|
바누아투 – 바누아투 공화국- 비슬라마: Vanuatu – Ripablik blong Vanuatu
- 영어: Vanuatu – Republic of Vanuatu
- 프랑스어: Vanuatu – République du Vanuatu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바레인 – 바레인 왕국- 아랍어: البحرين – مملكة البحرين
- 알바레인 - 맘라캇 알바레인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바베이도스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바베이도스는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바티칸 – 바티칸 시국- 라틴어: Civitas Vaticana – Status Civitatis Vaticanæ
- 이탈리아어: Città del Vaticano – Stato della Città del Vaticano
| 유엔 옵서버 국가로 승인 받았다.바티칸 시국은 유엔에서성좌라는 명칭으로 활동 중이다. |
|
바하마 – 바하마 연방- 영어: The Bahamas – Commonwealth of The Bahamas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바하마는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인민 공화국- 벵골어: বাংলাদেশ – গণপ্রজাতন্ত্রী বাংলাদেশ
- 방라데시 - 고노프로자톤트리 방라데시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버마 미얀마 |
|
베냉 – 베냉 공화국[16]- 프랑스어: Bénin – République du Bénin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베네수엘라 –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공화국- 스페인어: Venezuela – República Bolivariana de Venezuel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베네수엘라는 주, 연방령, 연방구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
|
베트남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베트남어: Việt Nam –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
- 비엣남 - 꽁호아싸호이쭈응이어비엣남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베트남은파라셀 제도와[17]스프래틀리 군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4] |
|
벨기에 – 벨기에 왕국- 네덜란드어: België – Koninkrijk België
- 프랑스어: Belgique – Royaume de Belgique
- 독일어: Belgien – Königreich Belgien
- 벨기엔 - 쾨니히라이히 벨기엔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벨기에는언어 공동체와 지역으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
|
벨라루스 – 벨라루스 공화국- 벨라루스어: Беларусь – Рэспубліка Беларусь
- 벨라루시 - 레스푸블리카 벨라루시
- 러시아어: Беларусь – Республика Беларусь
- 벨라루시 - 레스푸블리카 벨라루시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벨리즈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벨리즈는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스릅스카 공화국, 이전의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맺은데이턴 협정의 결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두 개의 최고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18] |
|
보츠와나 – 보츠와나 공화국- 츠와나어: Botswana – Lefatshe la Botswana
- 영어: Botswana – Republic of Botswan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볼리비아 – 볼리비아 다민족국- 스페인어: Bolivia – Estado Plurinacional de Bolivia
- 아이마라어: Wuliwya – Wuliwya Suyu
- 과라니어: Volivia – Tetã Volívia
- 케추아어: Bulibiya – Bulibiya Mama Llaqt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부룬디 – 부룬디 공화국- 키룬디어: Uburundi – Republika y'Uburundi
- 프랑스어: Burundi – République du Burundi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부르키나파소 – 부르키나파소[19]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부탄 – 부탄 왕국- 종카어: འབྲུག་རྒྱལ་ཁབ་ - འབྲུག་ཡུལ་
- 추얄캅 - 추위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북마케도니아 –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마케도니아어: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 – Република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 세베르나 마케도니아 - 레푸블리카 세베르나 마케도니야
- 알바니아어: Maqedonia e Veriut – Republika e Maqedonisë së Veriut: 마체도니아 에 베리우트 - 레푸블리카 에 마체도니서 서 베리우트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북조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북키프로스 기타 국가 |
|
불가리아 – 불가리아 공화국- 불가리아어: България – Република България
- 벌가리야 - 레푸블리카 벌가리야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브라질 – 브라질 연방 공화국- 포르투갈어: Brasil – República Federativa do Brasil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브라질은26개 주와 하나의 연방구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
|
브루나이 – 브루나이 다루살람국- 말레이어: Negara Brunei Darussalam
- 브루네이 - 느가라 브루네이 다루살람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브루나이는스프래틀리 군도 일부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4] |
|
|
|
사모아 – 사모아 독립국- 사모아어: Sāmoa – Mālo Tuto'atasi o Sāmoa
- 영어: Samoa – Independent State of Samo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아랍어: السعودية – 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سّعوديّة
- 아사우디야 – 알맘라카 알아라비야 아사우디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기타 국가 |
|
산마리노 – 산마리노 공화국- 이탈리아어: San Marino – Repubblica di San Marino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상투메 프린시페 – 상투메 프린시페 민주 공화국- 포르투갈어: São Tomé e Príncipe – República Democrática de São Tomé e Príncip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상투메 프린시페는 자치 구역인프린시페섬을 가지고 있다.[12] |
|
세네갈 – 세네갈 공화국- 프랑스어: Sénégal – République du Sénégal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세르비아 – 세르비아 공화국- 세르비아어: Србија, Srbija –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Republika Srbija
- 스르비야 – 레푸블리카 스르비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르비아는 두 자치주를 소유한 것으로 정하고 있으나,[12] 사실상 코소보 지역의 대부분은 정식 승인을 받지 않은 코소보 공화국이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
|
세이셸 – 세이셸 공화국- 영어: Seychelles – Republic of Seychelles
- 프랑스어: Seychelles – République des Seychelles
- 크레올어: Sesel – Repiblik Sesel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이셸은영국령 인도양 지역과 프랑스의글로리오소 제도와트로믈랭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3] |
|
세인트루시아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인트루시아는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영어: Saint Vincent and the Grenadines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은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세인트키츠 네비스 연방- 영어: Saint Kitts and Nevis – Federation of Saint Christopher and Nevis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인트키츠 네비스는영국 연방 왕국이자[4] 제도연합 국가이다.[6] |
|
소말리아 – 소말리아 연방 공화국- 소말리아어: Soomaaliya – Jamhuuriyadda Federaalka Soomaaliya
- 아랍어: الصومال – جمهورية الصومال
- 아수말 - 줌후리얏 아수말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소말리아는 현재과도 연방 정부로 해체되었다.소말릴란드는 사실상 내부에 있는 국가이나, 법률상 소말리아의 영토이다. |
|
소말릴란드 기타 국가 |
|
솔로몬 제도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솔로몬 제도는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수단 – 수단 공화국- 아랍어: السودان – جمهورية السودان
- 아수단 - 줌후리얏 아수단
- 영어:Sudan – Republic of the Sudan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수단은주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과거 남수단 주였던 자치 구역남수단을 가지고 있다.[12] |
|
수리남 – 수리남 공화국- 네덜란드어: Suriname – Republiek Surinam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스리랑카 – 스리랑카 민주 사회주의 공화국- 스리랑카 - 스리랑카 프라자탄트리카 사마자바디 자나라자야
- 타밀어: இலங்கை – இலங்கை ஜனநாயக சமத்துவ குடியரசு
- 일랑카이 – 일랑카이 차나나야카 초살리사 쿠디야라스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스와질란드 에스와티니 |
|
스웨덴 – 스웨덴 왕국- 스웨덴어: Sverige – Konungariket Sverige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스위스 – 스위스 연방- 독일어: Schweiz –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 슈바이츠 - 슈바이쳐리셰 아이트게노센샤프트
- 프랑스어: Suisse – Confédération Suisse
- 이탈리아어: Svizzera – Confederazione Svizzera
- 로만슈어: Svizra – Confederaziun Svizra
- 라틴어: Confoederatio Helvetic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스위스는주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
|
스페인 – 스페인 왕국- 스페인어: España – Reino de España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스페인은자치 지방과 도시로 나뉘어 있다. 스페인은모로코가 영유권을 주장하는세우타,알보란섬,페레질섬,차파리나스섬,멜리야,페논 데 알우세마스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또한,포르투갈이 영유권을 주장하는올리벤사,탈리가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스페인은지브롤터의 영유권으로영국과 분쟁하고 있다.[13] |
|
슬로바키아 – 슬로바키아 공화국- 슬로바키아어: Slovensko – Slovenská republika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슬로베니아 – 슬로베니아 공화국- 슬로베니아어: Slovenija – Republika Slovenija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시리아 – 시리아 아랍 공화국- 아랍어: سورية –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
- 수리야 - 알줌후리야 알아라비야 아수리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골란고원은이스라엘이 점령하고 있다. 시리아는하타이 주의 영유권을 놓고터키와 분쟁을 벌이고 있다.[13] |
|
시에라리온 – 시에라리온 공화국- 영어: Sierra Leone – Republic of Sierra Leon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싱가포르 – 싱가포르 공화국- 영어: Singapore – Republic of Singapore
- 말레이어: Singapura – Republik Singapura
- 중국어: 新加坡 – 新加坡共和国
- 싱자포 – 싱자포 궁허궈
- 타밀어: சிங்கப்பூர் – சிங்கப்பூர் குடியரசு
- 싱카푸르 – 싱카푸르 쿠디야라수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아랍에미리트 – 아랍 토후국 연방- 아랍어: دولة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 다울라트 알이마라트 알아라비야 알무타히다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랍에미리트 연방은에미리트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
|
아르메니아 – 아르메니아 공화국- 아르메니아어: Հայաստան – Հայաստանի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
- 하야스탄 - 하야스타니 한라페투티윤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르메니아는 유엔 가입 국가파키스탄의 승인을 받지 않았다. 이것은 파키스탄이나고르노카라바흐 갈등에서아제르바이잔을 지지하고, 아르메니아가인도에게카슈미르의 영유권을 승인하였기 때문이다. |
|
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 공화국[20]- 스페인어: Argentina – República Argentin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르헨티나는주와 하나의 연방 지역으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아르헨티나는 영국의 해외 영토인포클랜드 제도와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3] |
|
아이보리코스트 코트디부아르 |
|
아이슬란드 – 아이슬란드 공화국- 아이슬란드어: Ísland – Lýðveldið Ísland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아이티 – 아이티 공화국- 프랑스어: Haïti – République d'Haïti
- 아이티 크레올어: Ayiti – Repiblik dAyiti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이티는 미국이 점유한 무인도인나바사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3] |
|
아일랜드 - 아일랜드 공화국(에이레 공화국)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아제르바이잔 –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아제르바이잔어: Azərbaycan – Azərbaycan Respublikası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제르바이잔은 자치 공화국인나히체반과 자치 구역인 나고르노 카라바흐 (Dağlıq Qarabağ)를 가지고 있다.[12] 나고르노 카라바흐는 법으로 국가이지만 실제로는 아제르바이잔의 주로 확정되었다. |
|
아프가니스탄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파슈토어: د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جمهوریت
- 다 아프가니스탄 이슬라미 좀호리얏
- 다리어/페르시아어: افغانستان – جمهوری اسلامی افغانستان
- 아프가니스탄 – 좀후리예 이슬라미예 아프가니스탄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안도라 – 안도라 공국- 카탈루냐어: Andorra – Principat d’Andorr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알바니아 – 알바니아 공화국- 알바니아어: Shqipëria – Republika e Shqipëris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알제리 – 알제리 인민 민주 공화국- 아랍어: الجزائر – الجمهورية الجزائرية الديمقراطية الشعبية
- 알자자이르 - 알줌후리야 알자자이리야 아드디무크라티야 아스샤비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압하지야 기타 국가 |
|
앙골라 – 앙골라 공화국- 포르투갈어: Angola – República de Angol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추방된 분리주의 정부가카빈다주의 독립을 요구하고 있다.[21] |
|
앤티가 바부다 – 앤티가 바부다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앤티가 바부다는영국 연방 왕국으로,[4] 행정 구역 (속령)인바부다는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다.[12] |
|
에리트레아 – 에리트레아국- 에르트라 - 하게레 에르트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에스와티니 – 에스와티니 왕국- 영어: Eswatini – Kingdom of Eswatini
- 스와티어: eSwatini – Umbuso weSwatini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에스토니아 – 에스토니아 공화국- 에스토니아어: Eesti – Eesti Vabariik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에스파냐 스페인 |
|
에콰도르 – 에콰도르 공화국- 스페인어: Ecuador – República del Ecuador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에티오피아 – 에티오피아 연방 민주 공화국- 암하라어: ኢትዮጵያ – የኢትዮጵያ ፈደራላዊ ዲሞክራሲያዊ ሪፐብሊክ
- 이티오피야 - 이티오피야 페데랄라위 디모크라시야위 리페블리크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에티오피아는주와 특별시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
|
엘살바도르 – 엘살바도르 공화국- 스페인어: El Salvador – República de El Salvador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영국 –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22]- 영어: United Kingdom –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영국은네 지역으로 나뉜영국 연방 왕국이다.[4] 영국은 다음의 해외 영토를 가지고 있다. 영국 왕실은 다음 행정 구역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
|
예멘 – 예멘 공화국- 아랍어: اليمن – الجمهوريّة اليمنية
- 알야만 - 알줌후리야 알야마니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오만 – 오만 술탄국- 우만 – 술타나트 우만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영어: Australia – Commonwealth of Australi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오스트레일리아는영국 연방 왕국이자[4]주와 준주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오스트레일리아는 다음 영토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는남극 대륙 일부 지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어떠한 나라도 오스트레일리아의 남극지역 영유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공화국- 독일어: Österreich – Republik Österreich
- 외스터라이히 - 레푸블리크 외스터라이히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오스트리아는연방국 (Bundesländer)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
|
온두라스 – 온두라스 공화국- 스페인어: Honduras – República de Honduras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요르단 – 요르단 하심 왕국- 아랍어: الاردن – المملكة الأردنّيّة الهاشميّة
- 알-우르둔 - 알맘라카 알우르두니야 알하시미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우간다 – 우간다 공화국- 영어: Uganda – Republic of Uganda
- 스와힐리어: Uganda – Jamhuri ya Ugand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우루과이 – 우루과이 동방 공화국- 스페인어: Uruguay – República Oriental del Uruguay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우즈베크어: O'zbekiston - O'zbekiston Respublikasi/Ўзбекистон – Ўзбекистон Республикаси
- 오즈베키스톤 – 오즈베키스톤 레스푸블리카시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우즈베키스탄은 자치 공화국인 카라칼파크스탄을 가지고 있다.[12] |
|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12] |
|
이라크 – 이라크 공화국- 아랍어: العراق – جمهورية العراق
- 알이라크 - 줌후리야 알이라크
- 쿠르드어: عێراق – كۆماری عێراق
- 이라크 - 코마라 이라케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이라크의 헌법에는 국가를 구와 주, 수도 지역으로 나뉜연합 국가로 표시하고 있다.[6][23]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구는쿠르드 자치구이다. |
|
이란 – 이란 이슬람 공화국- 페르시아어: ایران –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 이란 – 좀후리예 에슬라미예 이란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주와 준주로 행정 구역이 나뉘어 있다. |
|
이스라엘 – 이스라엘국- 히브리어: ישראל – מדינת ישראל
- 이스라엘 - 메디나트 이스라엘
- 아랍어: اسرائيل – دولة اسرائيل
- 이스라엘 - 다울라트 이스라엘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24] 이스라엘은동예루살렘과골란고원,요르단강 서안 지구 일부를 점유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이 지역을 이스라엘의 영토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13] 이스라엘은 철수 계획에 따라서 더 이상가자 지구에 군사를 주둔시키지 않지만 국제법을 통한 무력 공습이 일어나고 있어서 논쟁이 되고 있다.[25][26][27][28][29][30] |
|
이집트 – 이집트 아랍 공화국- 아랍어: مصر – جمهوريّة مصرالعربيّة
- 미스르 - 줌후리얏 미스르 알아라비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이탈리아 – 이탈리아 공화국- 이탈리아어: Italia – Repubblica Italiana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이탈리아는 자치 구역인아오스타 밸리,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사르데냐,시칠리아,트렌티노알토 아디제/수드티롤을 가지고 있다.[12] |
|
인도 – 인도 공화국- 바라트 - 바라트 가나라자
- 영어: India – Republic of Indi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인도는주와 연방 지역으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인도는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아루나찰프라데시 주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13] 인도는잠무 카슈미르의영유권을 주장하며 일부 지역을 지배하고 있다.[31] |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 공화국- 인도네시아어: Indonesia – Republik Indonesia
- 인도네시아 - 레푸블릭 인도네시아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인도네시아는 특별히 구분되는 네 개의 주로아체,욕야카르타,파푸아,자카르타를 가지고 있다.[12] 망명 분리주의 정부는남몰루카 공화국과서파푸아 공화국, 아체 주의 독립을 주장하고 있다.[32] |
|
일본 – 일본국- 니혼/닙폰 - 니홍코쿠/닙퐁코쿠[33]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자메이카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자메이카는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잠비아 – 잠비아 공화국- 영어: Zambia – Republic of Zambi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적도 기니 – 적도 기니 공화국- 스페인어: Guinea Ecuatorial – República de Guinea Ecuatorial
- 프랑스어: Guinée Équatoriale – République de Guinée Équatorial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조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유엔 가입 국가인대한민국,일본의 승인을 받지 않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대한민국의 영토 일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
조지아- 사카르트벨로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조지아는 두 개로 나뉜 자치 국가를 가지고 있다.[12] 압하지야와남오세티야 (이전 자치 주체)는러시아,니카라과,베네수엘라,나우루,시리아 이외에 국가로서 일체 인정받지 않고 있다. |
|
중국 – 중화인민공화국[34]- 중궈 - 중화 런민 궁허궈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35] 일반적으로중국(China)으로 알려져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은 다섯 개의 자치 구역을 가지고 있다:광시 좡족 자치구내몽골 자치구,닝샤 후이족 자치구,신장 위구르 자치구,시짱 자치구[12] 여기에 더하여, 다음 특별 행정 구역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다음 구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어: République Centrafricaine
- 상고어: Ködörösêse tî Bêafrîk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중화민국 타이완 |
|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
|
지부티 – 지부티 공화국- 프랑스어: Djibouti – République de Djibouti
- 아랍어: جيبوتي – جمهورية جيبوتي
- 지부티 - 줌후리얏 지부티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짐바브웨 – 짐바브웨 공화국- 영어: Zimbabwe – Republic of Zimbabw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차드 – 차드 공화국- 프랑스어: Tchad – République du Tchad
- 아랍어: تشاد – جمهوريّة تشاد
- 차드 – 줌후리얏 차드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체코 - 체코 공화국[39]- 체코어: Česko – Česká republika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칠레 – 칠레 공화국- 스페인어: Chile – República de Chil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이스터섬은 칠레의 "특별 행정 구역"이다. |
|
|
|
카메룬 – 카메룬 공화국- 프랑스어: Cameroun – République du Cameroun
- 영어: Cameroon – Republic of Cameroon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카보베르데 – 카보베르데 공화국- 포르투갈어: Cabo Verde – República de Cabo Verd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공화국- 카자흐어: Қазақ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Qazaqstan Respwblïkası
-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Казахстан/Respublika Kazakhstan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카타르 – 카타르국- 카타르 – 다울라트 카타르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캄보디아 – 캄보디아 왕국- 크메르어: កម្ពុជា – ព្រះរាជាណាចក្រកម្ពុជា
- 캄푸체아 – 프레아 레아체아 나차크르 캄푸체아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캐나다[40]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캐나다는영국 연방 왕국이자[4]주와 준주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
|
케냐 – 케냐 공화국- 영어: Kenya – Republic of Kenya
- 스와힐리어: Kenya – Jamhuri ya Keny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코모로 – 코모로 연방- 코모로어: Komori – Udzima wa Komori
- 프랑스어: Comores – Union des Comores
- 아랍어: القمر – اتحاد القمر
- 알쿠무르 - 잇티하드 알쿠무르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코모로는 독립된 섬들로 이루어진연합 국가이다.[6][12] 코모로는 프랑스의 해외 영토인마요트와글로리오소 제도로 프랑스와 분쟁하고 있다.[13] |
|
코소보 기타 국가 |
|
코스타리카 – 코스타리카 공화국- 스페인어: Costa Rica – República de Costa Ric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코트디부아르 – 코트디부아르 공화국- 프랑스어: Côte d'Ivoire – République de Côte d'Ivoir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콜롬비아 – 콜롬비아 공화국- 스페인어: Colombia – República de Colombi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콜롬비아는 31개 주 (산안드레스 이 프로비덴시아 주 포함)와 한 개의 수도 구역 (보고타)으로 구성된 독립 공화국이다. |
|
콩고 - 콩고 공화국- 프랑스어: Congo – République du Congo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콩고 민주 공화국[41]- 프랑스어: Congo –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쿠바 – 쿠바 공화국- 스페인어: Cuba – República de Cub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쿠바의 영토인관타나모만에는미국이 쿠바와의 1903년 조약에 따라서 임차료를 지불하고 있는 관할 영토 (영유권 주장 없음)인관타나모만 해군기지가 있다. |
|
쿠웨이트 – 쿠웨이트국- 아랍어: الكويت – دولة الكويت
- 알쿠웨이트 - 다울라트 알쿠웨이트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공화국- 크로아티아어: Hrvatska – Republika Hrvatsk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스 공화국- 키르기스어: Кыргызстан – Кыргыз Республикасы
- 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스 레스푸블리카시
- 러시아어: Кыргызстан – Кыргыз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 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스스카야 레스푸블리카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키리바시 – 키리바시 공화국- 키리바시어: Kiribati – Ribaberikin Kiribati
- 영어: Kiribati – Republic of Kiribati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키프로스 – 키프로스 공화국- 그리스어: Κυπρος – Κυπριακή Δημοκρατία
- 키프로스 - 키프리아키 디모크라티아
- 튀르키예어: Kıbrıs – Kıbrıs Cumhuriyeti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42]북키프로스는 국가이지만 법률상으로 키프로스의 영토이다. |
|
|
|
타이 태국 |
|
타이완 기타 국가 |
|
타지키스탄 – 타지키스탄 공화국- 타지크어: Тоҷикистон – Ҷумҳурии Тоҷикистон
- 토지키스톤 – 줌후리 토지키스톤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타지키스탄은 자치주인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를 가지고 있다.[12] |
|
탄자니아 –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 스와힐리어: Tanzania – Jamhuri ya Muungano wa Tanzania
- 탄자니아 - 잠후리 야 뭉가노 와 탄자니아
- 영어: Tanzania – United Republic of Tanzani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탄자니아는 자치령잔지바르를 가지고 있는연합 국가이다.[12] |
|
태국 – 타이 왕국- 태국어: ประเทศไทย – 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
- 프라테트 타이 – 랏차 아나착 타이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튀르키예 – 터키 공화국- 튀르키예어: Türkiye – Türkiye Cumhuriyeti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터키는시리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하타이 주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13] |
|
토고 – 토고 공화국- 프랑스어: Togo – République Togolais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통가 – 통가 왕국- 통가어: Tonga – Pule'anga Fakatu'i 'o Tonga
- 영어: Tonga – Kingdom of Tonga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투르크메니스탄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투발루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투발루는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튀니지 – 튀니지 공화국- 아랍어: تونس – الجمهورية التونسية
- 투니스 – 알줌후리야 앗투니시야
- 프랑스어: République du Tunisie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트리니다드 토바고 공화국- 영어: Trinidad and Tobago – Republic of Trinidad and Tobago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자치 구역인토바고섬을 가지고 있다.[12] |
|
|
|
파나마 – 파나마 공화국- 스페인어: Panamá – República de Panamá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파라과이 – 파라과이 공화국- 스페인어: Paraguay – República del Paraguay
- 과라니어: Paraguái – Têta Paraguái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파키스탄 –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 우르두어: پاکستان – اسلامی جمہوریۂ پاکستان
- 파키스탄 – 이슬라미 좀후리예 파키스탄
- 영어: Pakistan – Islamic Republic of Pakistan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파키스탄은주와 준주로 나뉜연합 국가이다.[6] 파키스탄은카슈미르 지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31] |
|
파푸아뉴기니 – 파푸아뉴기니 독립국- 영어: Papua New Guinea – Independent State of Papua New Guinea
- 톡 피신: Papua Niugini – Independen Stet bilong Papua Niugini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파푸아뉴기니는영국 연방 왕국으로,[4] 자치 구역인부건빌 자치주를 가지고 있다.[12] |
|
팔라우 – 팔라우 공화국- 팔라우어: Belau – Beluu er a Belau
- 영어: Palau – Republic of Palau
| 미국과의자유 연합 협정으로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팔레스타인 – 팔레스타인국 | 유엔 옵서버 국가로 승인 받았다.이스라엘과 영토 분쟁을 빚고 있다. |
|
페루 – 페루 공화국- 스페인어: Perú – República del Perú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포르투갈 – 포르투갈 공화국- 포르투갈어: Portugal – República Portuguesa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포르투갈은 다음 두 자치 구역을 가지고 있다.[12] 포르투갈은스페인의올리벤사와탈리가 영유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
|
폴란드 – 폴란드 공화국- 폴란드어: Polska – Rzeczpospolita Polska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프랑스 – 프랑스 공화국- 프랑스어: France – République française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프랑스의 해외 레지옹/영토 (프랑스령 기아나,과들루프,마르티니크,레위니옹,마요트)는 프랑스 영토의 일부이며, 프랑스는 무인도인클리퍼턴섬도 소유하고 있다. 프랑스는 또한 다음 해외 영토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
|
피지 – 피지 공화국- 피지어: Viti – Matanitu Tu-Vaka-i-koya ko Viti
- 영어: Fiji – Republic of the Fiji Islands
- 피지 힌디어:[43] फ़िजी / فِجی – फ़िजी गणराज्य / فِجی رپبلک
- 피지 - 피지 리파블리크[44]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피지는 보호령 자치 구역인로투마섬을 가지고 있다.[12] |
|
핀란드 – 핀란드 공화국- 핀란드어: Suomi – Suomen tasavalta
- 스웨덴어: Finland – Republiken Finland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필리핀 – 필리핀 공화국- 필리핀어: Pilipinas – Republika ng Pilipinas
- 영어: Philippines –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필리핀은 자치 구역인무슬림 민다나오 자치구를 가지고 있다.[12] 필리핀은스프래틀리 군도,황암도,말레이시아가 영유하는사바주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4] |
|
|
|
한국 대한민국 |
|
헝가리 - 헝가리 공화국 | 유엔과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