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김류 (1571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유 (1571년)에서 넘어옴)
김류
金瑬
조선의 영의정
임금조선 인조
신상정보
출생일1571년
출생지조선
사망일1648년3월 5일
사망지조선한성부
국적조선
경력승평부원군
배우자진주 류씨

김류(金瑬,1571년~1648년3월 5일)는조선의 문신이다. 자는 관옥(冠玉), 호는 북저(北渚), 시호는 문충(文忠), 본관은순천이며,인조반정의 공신이다. 아버지김여물임진왜란충주 탄금대 전투전사했으므로 순절자의 아들로참봉이 되었다.서인의 영수이고,인조반정을 기여한 공로로 정사1등공신에 책록되고 관직은영의정에 이르렀으며 승평부원군(昇平府院君)에 봉작되었다.

생애

[편집]

태종때 좌명공신(佐命功臣)인김승주의 후손으로, 김승주의 아들 김유온의 6대손이 된다. 아버지김여물임진왜란신립의 부관으로 출정했다가충주탄금대에서 패전하고 자결하였다. 그는 부친이임진왜란 때 전사했으므로 순절자의 아들로 음사(蔭仕)로 참봉에 제수되었다. 이어 모친까지 사망하면서 22, 23세 때 부친과 모친상을 잇달아 치렀다.1596년, 문과에 급제하여 검열·강계 부사 등을 지냈다.1623년,이귀·이괄 등과 함께인조반정에 성공하여 정사공신으로 책록되었다. 병조참판을 거쳐 벼슬이대제학에까지 올랐다. 이듬해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왕을 모시고공주로 피란했으며,정묘호란 때에는강화로 왕을 모시었다.

신경진과의 관계가 매우 재미있는데 신경진과는 아버지의 대부터 친분을 쌓아온 사이이다. 신경진의 아버지신립은 김유의 아버지김여물을 부장으로 삼아탄금대 전투에서 동반 전사했으며인조 반정에서는 그 반대로 김유가 신경진을 휘하에 두고 인조 반정을 일으켰다.

환도 후영의정이 되고 승평부원군이 되었다. 그는 문장과 필법이 뛰어났으며 저서로 <북저집>이 있다. 문과에 급제할 때부터는승문원권지부정자로 벼슬을 시작하였다. 그리고대교,주서,봉교 등을 역임하고형조좌랑,호조좌랑을 거쳐충청도도사,전주판관 등을 많이 역임하였다.

이후시강원사서,홍문관부교리를 역임하고강계부사까지 역임하고사헌부지평,사헌부장령을 지냈으나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다가 북인들로부터 모함을 받고 쫓겨난다. 이후신립 장군의 아들인신경진과 ‘함께 만 번을 죽더라도 종사를 위해 계책을 도모하자’는 모의를 하게 된다.[1]

1623년,인조반정에 참가한 뒤에 병조참판, 예조참판, 대사간, 한성부우윤, 한성부좌윤 등을 역임하였다.

1623년 3월 12일 아들 김경징 및 신경유, 조흡, 이성연 등과 함께 창의문을 통해 대궐로 들어갔다. 반정 이후 모든 수습책과 제반 군무는 그의 손에서 결정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반정 직후 그는 병조판서 겸 판의금부사를 맡았다.[1] 반정 후 안정이 필요한 시기에 그는 병조판서 겸 예문관 제학이란 임무를 띠고 수습에 나섰다. 두 직책은 문과 무에 정통해야 수행할 수 있는 자리였다. 그는 오직 인재를 발굴하고 붕당을 타파하는 일에 주력했다.[1]

"대신은 체면을 중시해야 한다. 체면이 한번 무너지면 무슨 일을 할 수 있겠는가?"

혁명 이후에는 논공행상과 사회 질서를 둘러싸고 잡음이 있기 마련이다. 공신들에 의해 주도된 죄인들을 잡아 다루는 일은 자칫 저항과 민란을 부를 수도 있다. 그는 그것을 슬기롭게 헤쳐나갔다. 양관 대제학과 정사공신 1등에 승평부원군으로 봉해진 것도 인조반정이 단행된 그해였다.[1]

1624년,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예조판서, 병조판서를 겸임하면서 공주로 왕을 호종하기도 했으며 그 공으로대사헌,한성부판윤,도승지,우찬성을 지냈다.

이괄의 난 직후 인조와 공신들은 도망치기 직전 감옥에 갇혀 있던 반대파들을 처리하려 하였다. 당시 감옥에는 전 영의정기자헌 등 49명의 정치범들이 갇혀 있었다. 김류는 이들이이괄과 내통할 우려가 있다고인조에게 주살할 것을 청했다.[2]

같은 반정 공신이자 서인인이귀는 이에 반대하였다.

수감된 사람들 가운데는 높은 제신들이 많은데 이들이 꼭 이괄과 같이 반란을 할 이유는 없을 것이오. ...(이하 중략)... 한 사람이라도 죄없이 죽이는 것은 왕도 정치에서 삼가는 것인데 이제 신문하지도 않고 혐의없이 죽인다면 뒷날 후회가 될까 합니다. 게다가 기자헌은 폐모론이 일어났을 때 절의를 세우다가 귀양갔던 사람인데, 어찌 사리를 분별하여 밝히지 않고 하나같이 모두 죽이겠습니까?[2]

라고 반대하였으나 이는 묵살되었다. 49명의 반대당 인사들은 그의 건의에 따라 하룻밤 사이에 모두 사형당하고 말았다.[2]

1625년,이조판서,공조판서,형조판서를 지내고 1627년, 정묘호란 때는 왕을 호종하고 도체찰사장만 밑에서부체찰사로 활약하였으며예조판서,좌찬성,우의정,좌의정을 거쳐영의정에 올랐다. 인조는 1634년 3월 김유와이귀를 불러 주연을 베풀고 술이 절반쯤 되었을 때 세자와 대군을 돌아보고, “너희들은 이 두 사람을 마치 부형처럼 여겨야 한다”고 말했을 정도였다.[1]

1636년12월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인조는 하루에도 두 번씩 팔도도체찰사 겸 영의정 김류를 불러 자문을 구했다.[1] 위기의 순간마다 발했던 그의 꾀도 창졸간에 당한 청나라 대군과의 전쟁에선 화의론(和議論)이라는 변통책 밖에 뾰족한 수가 없어 인조는 치욕적인 항복을 하게 되었다.[1]

1637년1월한양으로 환도했으나, 아들김경징(金慶徵)이 강화도 수비를 실패했다는 이유로 사사당했고 김류 자신도 남한산성에서 청나라와 싸울 때 부총관 직을 맡은 기평군(杞平君)유백증(兪伯曾)의 상소로 파직과 삭탈관직이 되어 향리로 방축됐다.[1] 그러나 인조는 “이번에 성을 지킨 것은 김 아무개(김류를 지칭)의 힘이었다”고 비호했고, 거듭된 신하들의 주장으로 문외로 송출했다가 이듬해에 특명으로 예전의 직책으로 서용했다.[1]

1644년(인조 22년)심기원의 역모 사건을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그 공로를 인정받아 그 해4월 5일 다시영의정이 되고, 영국공신(寧國功臣) 1등에 서훈되었다. 김유는 스무 차례 넘게 사직을 청해12월 7일 사직하였다가, 이듬해(1645년)2월 3일부터1646년3월 4일까지 다시 영의정을 지냈다.[1]

그러나 강빈 사사에 반대하다 인조의 노여움을 받아 영의정에서 물러난다.

저서

[편집]
  • <북저집>(北渚集)

가족 관계

[편집]

관련 작품

[편집]

드라마

[편집]

평가

[편집]

문무겸전(文武兼全)의 대표적 인물로, 그의 문집인 북저집(北渚集)의 서문을 쓴 동명정두경과 백헌이경석이 내린 객관적 평이다.[1]

기타

[편집]

그는 당색으로는서인이었으나 그의 장인서경동인,남인이었다. 서경은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문과에 장원 급제한 뒤 예조판서에 올랐고 임진왜란 때는 국왕을 호송한 공을 세운 당대의 대표적 정치가였다.[1]

각주

[편집]
  1. http://weekly.hankooki.com/lpage/woman/200704/wk2007041115351437110.htm
  2.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 (석필, 1997) 144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이 문서에는다음커뮤니케이션(현카카오)에서GFDL 또는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태종조
세종조
문종조
단종조
세조조
예종조
성종조
연산군조
중종조
인종조
명종조
선조조
광해군조
인조조
효종조
현종조
숙종조
경종조
영조조
정조조
순조조
헌종조
철종조
고종조
태조조
정종조
태종조
세종조
문종조
단종조
세조조
예종조
성종조
연산군조
중종조
인종조
명종조
선조조
광해군조
인조조
효종조
현종조
숙종조
경종조
영조조
정조조
순조조
헌종조
철종조
고종조
태조조
정종조
태종조
세종조
문종조
단종조
세조조
예종조
성종조
연산군조
중종조
인종조
명종조
선조조
광해군조
인조조
효종조
현종조
숙종조
경종조
영조조
정조조
순조조
현종조
철종조
고종조
1등
2등
3등
문묘 동시 배향 6현
종묘배향 94현
종묘배향공신
전기
중기
후기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류_(1571년)&oldid=39099507"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