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김영주 (1955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영주
출생1955년 9월 13일(1955-09-13)(70세)
대한민국서울특별시성동구신당동
성별여성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적대한민국
본관김해
학력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경제학 석사
경력
종교불교
의원 선수4
의원 대수17·19·20·21
정당국민의힘
지역구
웹사이트블로그

선거구
당선 횟수4
임기2004년 5월 30일~2008년 5월 29일
임기2012년 5월 30일~2024년 5월 29일

임기2017년 8월 14일~2018년 9월 21일
대통령문재인

김영주(金榮珠,1955년9월 13일[1]~)는대한민국의 농구선수 출신정치인으로, 제21대후반기 국회부의장이다. 제17·19·20·21대 국회의원이며, 제6대고용노동부 장관(2017~2018)을 지냈다.

1955년서울에서 태어났다. 중학교부터 농구 선수로 활동했고,서울신탁은행 실업 농구단 선수로 활동하다가 은퇴 이후서울신탁은행에서 근무하면서 노조 간부를 거쳐 전국 금융산업노조에서 여성 최초로 상임 부위원장을 지냈다.

1999년 김대중 대통령의 발탁으로 정치권에 입문해 3선의 국회의원을 지내며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7년 8월문재인 정부고용노동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2018년 9월까지 재직하였다.

2022년 제21대 후반기 국회부의장으로 선출됐다.[A]

학력

[편집]

경력

[편집]

제17대 국회

[편집]
  • 2004년 5월 30일~2008년 5월 29일: 제17대 국회의원(비례대표,열린우리당대통합민주신당통합민주당, 초선)
    • 제17대 국회 운영위원회 위원
    • 제17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 제17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제17대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위원

제19대 국회

[편집]

제20대 국회

[편집]
  • 2016년 5월 30일~2020년 5월 29일: 제20대 국회의원(서울영등포구 갑,더불어민주당, 3선)
    • 2016.06~2018.05: 제20대 국회 전반기 정무위원회 위원
    • 2018.07~2020.05: 제20대 국회 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제21대 국회

[편집]
  • 2020년 5월 30일~2024년 5월 29일: 제21대 국회의원(서울영등포구 갑,더불어민주당무소속국민의힘, 4선)
    • 2020.06~2022.05: 제21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 2020.07~2024.05: 국회세계한인경제포럼 구성의원
    • 2020.11~2024.05: 한-중남미 의회외교포럼 회장
    • 2022.07~2024.05: 제21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
    • 2022.07~2023.06: 제21대 국회 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 2023.06~2024.05: 제21대 국회 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포상

[편집]
  • 남녀고용평등증진 공로 국민포장 수훈(1996년)

수상

[편집]
  • 제17대 국회 4년연속(04~07년) 국정감사 우수국회의원(270여 NGO 선정)
  • 제17대 국회 의원발의 법안 가결율 3위(문화일보 선정)
  • 제17대 국회 최우수 국회의원(한국여성유권자 연맹 선정)
  • 2012년 국정감사 NGO모니터단 국정감사 우수의원
  • 2013년 국정감사 NGO모니터단 국정감사 우수의원
  • 2013년 법률소비자연맹 국회의원 헌정대상
  • 2013년 서강경제대상 사회경제인부문
  • 2014년 법률소비자연맹 국회의원 헌정대상
  • 2015년 일치를 위한 정치포럼 제5회 국회를 빛낸 바른언어상 상임위 모범상
  • 2015년 법률소비자연맹 국회의원 헌정대상
  • 2015년 지방자치TV 대한기자협회 대한민국 의정대상
  • 2016년 법률소비자연맹 제19대 국회 종합헌정대상

가족

[편집]
  • 배우자: 민긍기(閔肯基)[4](閔肯基)
  • 자녀: 민여울[5](閔여울)[6]

역대 선거 결과

[편집]
실시년도선거대수직책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2000년총선16대국회의원비례대표새천년민주당6,780,625표
35.90%
비례대표 39번낙선승계 불능
2004년총선17대국회의원비례대표열린우리당8,145,824표
38.26%
비례대표 13번초선
2008년총선18대국회의원서울영등포구 갑통합민주당34,163표
42.53%
2위낙선
2012년총선19대국회의원서울영등포구 갑민주통합당52,232표
52.87%
1위재선
2016년총선20대국회의원서울영등포구 갑더불어민주당49,935표
45.28%
1위3선
2020년총선21대국회의원서울영등포구 갑더불어민주당72,445표
56.26%
1위4선
2024년총선22대국회의원서울영등포구 갑국민의힘55,913표
41.67%
2위낙선

소속 정당

[편집]
소속 정당소속 기간비고
새정치국민회의1999~2000정계 입문
새천년민주당2000~2003합당
무소속2003탈당
열린우리당2003~2007창당
대통합민주신당2007~2008합당
통합민주당2008합당
민주당2008~2011당명 변경
민주통합당2011~2013합당
민주당2013~2014당명 변경
새정치민주연합2014~2015합당
더불어민주당2015~2024당명 변경
무소속2024탈당
국민의힘2024~현재입당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내용

  1. 대한민국 헌정사 두 번째 여성국회부의장이다. 첫 번째 여성 부의장은 제21대 국회 전반기 부의장을 지낸김상희이다.[2][3]

출처

  1. 1955년음력 7월 27일
  2. 임종명; 정진형; 김승민; 여동준 (2022년 7월 4일).“21대 후반기 국회의장에 김진표, 부의장에 정진석·김영주(종합)”.네이버 뉴스(보존). 《뉴시스》 (서울). 2022년 7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4일에 확인함. 
  3. 박형빈 (2022년 7월 4일).“헌정사 두번째 여성 국회부의장 된 4선 김영주”.네이버 뉴스(보존). 《연합뉴스》 (서울). 2022년 7월 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5일에 확인함. 
  4. 창원대학교 국문과 교수.남희헌 (2018년 6월 21일).“[Who Is ?]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2024년 3월 4일에 확인함. 
  5. “image hosted at ImgBB”. 2024년 3월 4일에 확인함. 
  6. “image hosted at ImgBB”. 2024년 3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전임
김상희
제21대 국회후반기 국회부의장(제1당)
2022년 7월 4일~2024년 5월 2일
후임
이학영
전임
이기권
이성기(직무대행)
제6대고용노동부 장관
2017년 8월 14일~2018년 9월 21일
후임
이재갑
전임
신계륜
통합민주당 사무총장 권한대행
2008년 3월 25일~2008년 4월 10일
후임
박홍수
전임
박홍수
제3대통합민주당 사무총장
2008년 6월 11일~2008년 7월 8일
후임
이미경(민주당 사무총장)
1번장향숙
7번홍미영
13번김영주
19번윤원호
25번서혜석 승계
2번홍창선
8번조성태
14번조성래
20번박홍수 사퇴
26번신명 승계
3번김명자
9번박영선
15번강혜숙
21번유승희
27번김영대 승계
4번김혁규 사퇴
10번정의용
16번정덕구 사퇴
22번정동영 선거 전 사퇴
5번이경숙
11번김현미
17번이은영
23번장복심
6번박찬석
12번박명광
18번민병두
24번김재홍
노동부 장관
제1대
제6대
제11대
제16대
제21대
제2대
제7대
제12대
제17대
제22대
제3대
제8대
제13대
제18대
제23대
제4대
제9대
제14대
제19대
제24대
제5대
제10대
제15대
제20대
고용노동부 장관
제1대
제6대
제11대
제2대
제7대
제3대
제8대
제4대
제9대
제5대
제10대
국제
국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영주_(1955년)&oldid=40521134"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