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김봉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봉연
金奉淵

Kim Bong-yeon
기본 정보
국적대한민국
생년월일1952년 1월 13일(1952-01-13)(73세)
출신지전북특별자치도전주시
신장177 cm
체중83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우투우타
수비 위치내야수
프로 입단 연도1982년
드래프트 순위프로 원년 멤버
첫 출장KBO /1982년3월 28일
구덕롯데
획득 타이틀
경력

선수 경력

지도자 경력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아시아선수권1975 서울
월드 게임1981 샌타클래라
메달 기록

김봉연(金奉淵,1952년1월 13일 ~ )은 전KBO 리그해태 타이거즈의 선수다. 현역 시절 포지션은 1루수다.

해태 타이거즈의 원년 오른손 거포이자, 프로 원년 홈런왕이다. 이른바 KKK포(김준환-김봉연-김성한/김성한-김봉연-김종모)를 이루었던 부동의 4번 타자였다.

경력

[편집]

군산상업고등학교연세대학교 체육교육학과를 졸업했다. 군산상고 시절에는 “역전의 명수”라는 소리를 들던 군산상고의 명실공히 4번 타자였다. 당시 군산상고에는 프로야구 도루왕 5회로 최다 도루왕인 대도김일권과 KKK포를 함께 꾸리던 강타자김준환청보 핀토스 1번 타자였던김우근같은 선수와 함께 군산상고를 최강으로 군림시켰다. 또한 전성기를 실업 야구(1979년~1981년) 팀인 한국화장품에서 데뷔해 아마 최고의 강타자김우열을 제치고 대통령배 실업야구 3년 연속 홈런왕과 아마야구의 단 6개밖에 없는 3연타석 홈런 중 절반을 자신의 이름으로 채운다.

1982년한국프로야구 출범을 앞두고 연고지 팀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였다. 당시 한국 나이로 31세, 이미 전성기를 약간 넘긴 시점이었으나 프로 원년 홈런왕을 차지한다.

골프를 연상시키는어퍼 스윙의 대명사로 엄청난 힘을 자랑하던 프로야구 원년 홈런왕이었으며,김우열,이만수와 라이벌 관계였다.1983년 동승자가 사망할 정도로 큰 교통사고를 당하고도 300바늘 넘게 꿰맨 상처가 남자, 콧수염을 길러 그것을 가린 후 한 달 만에 한국시리즈에 나와 해태의 첫 우승을 이끌고 최우수 선수에 올랐다.[1]

통산 타율 0.278에 포스트 시즌 타율이 무려 0.341이었다. 통산 4차례 해태의 우승에 기여하였으며, 두 번의 홈런 1위를 기록한 당대의 대표적인 오른손 강타자로 활약하였다.[1] 또한 1982년 데뷔부터 1988년에 은퇴할 때까지 선수생활 전 시즌인 7년 연속으로 베스트 올스타에 뽑힌 1980년대의 대표적 스타이기도 하다 (그중 3차례나 최다득표를 획득하기도 했다- 1983, 1985, 1986).

프로야구계에서는 대표적인 학구파 선수였는데,1990년에는 〈심한 운동이 자연치사 세포능과 T-세포 아형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논문으로원광대학교 대학원 사회체육학과에서체육학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89년부터 1994년까지 고향 팀해태 타이거즈에서 타격코치를 역임했으나, 1994년 시즌 후 재계약 협상 도중 해태가 결별을 선언해[2] 한동안 현장을 떠나 있었다.1997년에 해태의 타격코치로 돌아와서[3] 1기 2기 모두 지도자로써도 4번 우승을 했었다.

2000년해태 타이거즈의 2군 감독을 맡았던 것을 마지막으로 현장을 떠나 교육계에 몸담았다.2001년부터극동대학교 사회체육학과 교수로 임용되어 정년 퇴임할 때까지 교수로 재직했다.

학력

[편집]

이외 경력

[편집]

통산 기록

[편집]
















2

3



















O
P
S












4
1982해태307430426955891412252722816.331.406.6361.04217186013
1983318032928653801012259224228.280.372.552.92415830014
1984329740034142851801748325056.249.352.452.804154164231
198533913633164580911747754326.253.348.449.79814263010
198634108453407631221832167353830.300.363.514.87620994135
198735983803393392112639122723.271.331.369.699125134521
1988368220918720484052210138.257.304.358.6626740810
KBO 통산 : 7년630243821453115968481103342418241187.278.355.478.83310265921161214
  • 시즌 기록 중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등번호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김은식 (2007년 2월 9일).“혼신의 스윙으로 쌓은 금자탑, 김봉연”. 오마이뉴스. 2008년 4월 21일에 확인함. 
  2. 김홍식 (1994년 11월 23일).“<프로야구>스타는 소모품인가-김봉연.박철순.김성한”. 중앙일보. 2022년 9월 24일에 확인함. 
  3. 이태일 (1996년 11월 15일).“프로야구 8개구단 코칭스태프 개편 한창”. 중앙일보. 2022년 9월 24일에 확인함. 
  4. 조종안 (2014년 3월 18일)."쌀 아끼려 점심은 국수"... 배고픔이 만든 군산상고 신화”. 오마이뉴스. 2022년 9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감독김병우
코치강병철
외야수김일권 · 이해창 · 유두열 · 장효조
KBO 홈런상 수상자
최다 홈런 개수 56개 (2003년,이승엽) |최소 홈런 홈런왕 21개 (1986년,김봉연) |최다 홈런왕박병호 (6회,2012년~2015년,2019년,2022년)
KBO 타점상 수상자
KBO 득점상 수상자
시즌 최다 득점김도영 (2024년, 143득점) |최다 수상이종범,이승엽 (5회) | 득점상은1999년부터 공식 타이틀로 지정되었다
최고 장타율테임즈 (2015년, 0.790) |최다 수상자장종훈 (4회)
지명타자 부문은 1984년부터 시상하였다. |최다 수상김기태,양준혁,홍성흔 (4회) |최장 연속홍성흔 (4년, 2008~2011) |
외국인 선수댄 로마이어 (1999),타이론 우즈 (2000) |최다 배출 팀삼성 라이온즈 (8회)
  • : 1985년에는삼성 라이온즈의 전·후기 통합우승으로 한국시리즈가 개최되지 않았다
  • ‡‡: 최연소 MVP최정(2008년, 당시 만 21세) |‡‡‡: 최고령 MVP이승엽(2012년, 당시 만 36세)
감독 39김응용
투수 16이상윤 | 29김용남 | 19강만식 | 34황기선 | 15주동식 |방수원 | 김현재
외야수 10김준환 | 1김일권 | 7김종모 | 44송일섭
최다 도루김일권,한국시리즈 MVP김봉연
감독 39김응용
코치김인식
포수 25김무종 | 22장채근
최다 다승, 최다 탈삼진, 최우수 평균자책점, 정규시즌 MVP선동열,최다 홈런, 최다 타점김봉연,최다 도루서정환,올스타전 MVP김무종,한국시리즈 MVP김정수
감독 39김응용
코치김인식
포수 25김무종 | 22장채근
최우수 평균자책점선동열,올스타전 MVP김종모,한국시리즈 MVP김준환
감독 39김응용
코치김인식
최다 탈삼진, 최우수 평균자책점선동열,최다 안타, 최다홈런, 최다 타점김성한,최다 득점, 최다 도루이순철,올스타전 MVP한대화,한국시리즈 MVP문희수
감독 39김응용
포수 22장채근 | 25정회열
외야수 10정성룡 | 12김훈 | 14이순철 | 27이호성 | 61이건열 |이용석
최다 승리조계현 |최우수 평균자책점, 최우수 구원상, 최다 세이브선동열 |최다 득점, 한국시리즈 MVP이종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봉연&oldid=40352131"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