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김동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동삼
작가 정보
출생1878년 6월 23일(1878-06-23)
조선 경상도 안동군
사망1937년 4월 13일(1937-04-13)(58세)
일제 강점기 경성부 서대문형무소
국적대한제국
경력정의부 참모장
본관의성(義城)
웹사이트독립유공자 공훈록

김동삼(金東三, 1878년 6월 23일(1878-06-23) ~ 1937년 4월 13일(1937-04-13))은대한제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의성.아명(兒名)김긍식(金肯植)이며 아호는 일송(一松)이다.

생애

[편집]

경상도안동에서 김계락(金繼洛)의 장남으로 출생했다.경상도의성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고 안동의병의 최고지도자였던 서산 김흥락(西山 金興洛)을 스승으로 모시고 공부했다. 근대 교육과 민족주의 운동에 관심을 가지고1907년 유인식, 김후병 등과 함께협동학교를 설립하여 계몽 운동을 벌였다. 협동학교는 보수적인 성격이 강한 안동 지역에서 개혁 유림 세력이 힘을 합쳐 세운 3년제 중등학교였다. 이 무렵 계몽 운동에 뛰어든 인사들 중신민회를 중심으로 많은 사람들이한일 병합 조약 체결을 내다보고 해외 독립 운동 기지 설립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는데, 그도양기탁 등과 함께 해외에서 독립군을 양성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1910년 마침내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자, 이 계획을 구체화하여1911년서간도로 망명했다.이시영,이동녕,이상룡,윤기섭 등과 함께 간도 지방에경학사신흥강습소를 설립하는 데 참가했다. 경학사는 자치 조직, 신흥강습소는 훗날신흥무관학교로 발전하는 교육 기관이었다.

무장 투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간도 지역에서 군정부를 설립하여 독립군 양성에 힘썼고1919년서로군정서(독판 이상룡)로 조직을 개편하고 참모장을 맡았다.3·1 운동의 단초 중 하나를 제공한지린에서무오 독립 선언39인 대표로 참가하기도 했다.

1919년경, 김동삼은상하이로 가서 자리를 잡았다.[1]1922년에 만주 지역 독립군 단체가 통합한대한통의부에 가담했고,1923년에는국민대표회의에 서로군정서 대표 및 의장으로 참가하였으며1925년정의부 참모장에 취임했다.

1931년하얼빈에서이원일과 함께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10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다가1937년서대문형무소에서 옥사했다. 시신은한용운이 수습하여 장례를 치렀다.[2]

사후

[편집]
  • 대한민국 정부는 고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하여1962년 건국공로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 독립기념관에 옥중 유언인 다음 문구를 적은 어록비가 세워져 있다.

    나라 없는 몸 무덤은 있어 무엇하느냐. 내 죽거던 시신을 불살라 강물에 띄워라. 혼이라도 바다를 떠돌면서 왜적이 망하고 조국이 광복되는 날을 지켜보리라.

  • 고향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278번지 생가 자리에는 그의 생가 터임을 알리는 표지석이 있다.

평가

[편집]

김동삼은 유교적 학식과 함께 '만주의 호랑이', '남만의 맹호’로 불릴 정도로 용맹한 기질을 겸비하여김좌진,오동진 등과3대 맹장으로 불리기도 했다.[3]

같이 보기

[편집]

참고자료

[편집]

각주

[편집]
  1. 이이화, 《한국사이야기21. 해방 그 날이 오면》(한길사, 2004) 23쪽
  2. 만해기념관,만해 한용운의 일대기 - 7.심우장의 정절보관됨 2007-09-27 -웨이백 머신
  3. 하민지 인턴기자2월에 기릴 인물, 독립운동가 오동진-문태수 선생보관됨 2008-05-14 -웨이백 머신 뉴스미션 2008년 2월 1일 작성
무오 독립선언 민족대표 39인
  1. 강기동
  2. 권동진
  3. 권병덕
  4. 김동삼
  5. 김상옥
  6. 김성수
  7. 김완규
  8. 김익상
  9. 김지섭
  10. 나석주
  11. 나용환
  12. 나인협
  13. 남상덕
  14. 남자현
  15. 노백린
  16. 민긍호
  17. 민종식
  18. 박동완
  19. 박승환
  20. 박은식
  21. 박준승
  22. 백용성
  23. 신규식
  24. 신돌석
  25. 신채호
  26. 신홍식
  27. 양기탁
  28. 양전백
  29. 양한묵
  30. 연기우
  31. 오세창
  32. 유여대
  33. 유인석
  34. 이갑성
  35. 이동녕
  36. 이명룡
  37. 이범윤
  38. 이봉창
  39. 이상설
  40. 이상재
  41. 이위종
  42. 이은찬
  43. 이인영
  44. 이재명
  45. 이종일
  46. 이종훈
  47. 이필주
  48. 임예환
  49. 장인환
  50. 전명운
  51. 전해산
  52. 조성환
  53. 지청천
  54. 최성모
  55. 편강렬
  56. 홍기조
  57. 홍범도
  58. 홍병기
  59. 문태수
  60. 신석구
  61. 이범석
  62. 정환직
  63. 진성
  64. 당계요
  65. 배설
  66. 송교인
  67. 여천민
  68. 임삼
  69. 호한민
  70. 황흥
  71. 우빈
  72. 손과
  73. 주가화
  74. 이승희
  75. 주시경
  76. 김하락
  77. 장건상
  78. 김붕준
  79. 박열
  80. 안재홍
  81. 오화영
  82. 유동열
  83. 윤기섭
  84. 조완구
  85. 김병조
  86. 문창범
  87. 박용만
  88. 이동휘
  89. 채상덕
  90. 최석순
  91. 구춘선
  92. 김경천
  93. 여운형
국제
국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동삼&oldid=40535904"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